사회착상기획@리우리윈(劉俐蘊),연결, 설치작품예술이 어떻게 현실세계에 더 밀접하게 개입해 대중과 만날 수 있을지를 궁리한 전시이다. 설치, 조각, 영상등 실험예술이 주를 이루고 사람들 간의 생활, 기억, 미래등을 표현한 작품들로 공공공간에서 예술과 생활간의 진실된 관계를 구현하고자 했다. 치우시우원(崔岫聞), 구원다(谷文達), 먀오샤오춘(繆曉春...
전시 설치컷 마리안 굿맨 런던 갤러리와 마리안 굿맨 파리 갤러리는 존 발데사리의 전시를 각각 런던과 파리에서 동시에 오픈하였다. 런던 갤러리에서는 그의 신작을, 파리 갤러리에서는 작가의 중요한 초기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다.런던 갤러리에 전시된 20여점의 새 회화 작품들(사진과 스크립트)은 영화대본과 필름에서 발췌한 텍스트와 흑백 이미...
조지 쇠라(Georges Seurat), 공장의 구석, 1883, 종이에 콩테 크레용 ⓒ메닐컬렉션모건미술관과 메닐컬렉션에서 뽑은 19세기 프랑스 드로잉을 소개한다. 드로잉에 대한 의미있는 대화를 발전시키자는 취지로 두 기관이 협업관계로 진행하고 있는 전시다. 들라크루아, 고흐, 쇠라, 세잔 등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이나연 미...
에루커 니시넨, 3-폴리스 X, 스틸 이전까지 특정한 주제에 제한없이 다양한 영상작업을 선정해 온 본 비디오날레가 이번 해 처음으로 ‘더 콜 오브더 와일드’라는 주제를 가지고 개최된다. ‘익숙하지 않은, 낯선’ 존재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과 현대인의 삶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지만, 그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가능성이 불확실한 데이터 컨트롤...
셀시리즈 마지막 상승, 2008 Collection National Gallery of Canada, Ottawa, Foto Christopher Burke ⓒ The EastonFoundation / VG Bild-Kunst, Bonn 2015 프랑스 작가 루이스 부르조아(Louise Bourgeois, 1911-2010)의 공간 설치 작품인 <Cells> 시리즈만을 모은 전시이다. 방, 세포 혹은 감옥 등으로 해석되는 셀은 실제 방과 같이 보이거나, 동물을 가두...
끌로드 비알라,무제, 1979-1980프랑스의 작가 끌로드 비알라(Claude Viallat, 1936- )는 캔버스를 버리고 주로 한번 사용된 천을 회수하여 활용한다. 그는 자연적이지도 기하학적이지도 않은 중성적 형태로 작가는 항상 같은 형태를 이용한다. 어떠한 상징성도 없는 이 모티프는 매체의 표면을 가득 메우며 색의 실험에 집중한다. 초기부터 오...
조안 미첼, 무제, 1967 ⓒEstate of Joan Mitchell미국 추상표현미술의 대가 중 한 명인 조안 미첼(Joan Mitchell, 1925-92)은 1955년부터 프랑스와 미국을 오가며 활동하는 가운데, 미국 추상표현주의와 유럽회화사이에서 전달자 역할을 해 온 것뿐 아니라, 자유로운 붓 터치와 다양한 색의 사용을 통해, 자연의 모티브들을 표현한 작업들로 유명하다. 작가의 캔버...
전시 포스터20세기 중반이후 영국에 거주한 흑인들의 경험들을 탐구하는 50여 점의 사진으로 구성된 이번전시는 흑인문화 아카이브에 의해 수집되고 구전역사 자료중에 발췌되었다. 빅토리아앤알버트뮤지엄은 흑인 사진작가가 직접 찍었거나 또는 영국내 흑인들의 삶을 기록한 사진들을 수집하기 위하여 지난 7년간 흑인문화아카이브와 함께 협업하였다. 음악...
줄스 애론, 뉴욕 브롱스 170번가의 나이 든 여자, 1960년대 후반, 실버 젤라틴 프린트 ⓒ 줄스 애론브롱스 출신의 세 명의 사진작가, 줄스 애론(Jules Aarons, 1921- ), 모톤 브로프만(Morton Broffman), 조 콘조(Joe Conzo)의 작품을 모아 소개하는 전시다. 총 80여 점을 작품을 모아 소개하며 1850년대 초반부터 1960년대의 시민운동 시기는 물론,...
Aung Ko(미얀마), 아웅고의 마을(Aung Ko’s Village), 2010여기에서 ‘나의 마을’의 의미는 ‘고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 모두가 시골이든, 도시이든 그 속에 소속되어 있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고향’이라는 곳은 우리가 살았던 그리고 선조들이 살았던 곳이였기도 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의 근원적인 질문을 모색할...
피터 반 덴 헤케(Peter Van den Hecke) 워크샵, 카마초 결혼식에 도착한 여자 양치기(세부), 1730-45 (1748년 이전), 울과 실크 ⓒ프릭컬렉션세르반테스의『돈키호테』는 1605년과 1615년 두 권의 책으로 발행됐을 때 굉장한 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찰스 코이펠(Charles Coypel, 1694-1752)이 제작한 28점...
통합, 1966, 캔버스 위에 아크릴, 꼴라쥬, 198×273cm아이티 출신의 프랑스 작가 에르베 텔레마크(Hervé Télémaque)는 다양한 예술적 방식을 실험하는데, 초현실주의 그룹에 가까운 작가의 다양한 시각을 전달하기 위해 페인팅. 데상, 꼴라주, 오브제와 조립품등의 70여점을 전시한다. 전혀 무관한 오브제와 이미지들의 결합의 대가답게 반문화와 반식민주의에 관...
줄리아나 헉스터블(Juliana Huxtable), 무제(Untitled) 부분, 2014, 칼라사진큐레이터 로렌 코넬(Lauren Cornell)과 작가 라이안 트레칼틴(Ryan Trecartin)이 꾸린 2015년 뉴뮤지엄트리엔날레가 시작됐다. 올해로 3회째인 이 행사의 제목은 ‘청중을 둘러싸기.’ 25개국으로부터 온 51명의 작가를 모았다. 코넬과 트레칼틴은 10여 년간 함께 일해왔으며 둘 다 디지털 ...
장 밥티스트 프레네, 말과 신랑, 1855, 사진: 윌슨 센터사진의 초기 형태중의 하나였던 소금인쇄 기법은 소금에 절인 종이에 사진을 인쇄하는 기법으로 영국인 윌리엄 헨리 폭스 탈봇이 1839년에 발명하였다. 이 소금인쇄 기법은 이후 전세계로 확산되어 새로운 시각 언어를 창조하였다. 이 혁신적인 기술은 주제-정물화, 초상화, 풍경화, 일상의 ...
자화상, 1928, 39.3×25.5cm영향력 있었으나 아직까지 자세히 다루어지지 못했던 여성 사진 작가 회고전이 열린다. 20세기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진가 플로렌스 헨리(Florence Henri, 1893-1982)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는 작가로 피아니스트이자 화가로 바우하우스에서 수학하였다. 1, 2차 세계대전의 중간시기에 그녀의 추상적 구도와 거울...
바르토로메오 만프레디(Bartolomeo Manfredi), 바쿠스와 술꾼, 1621경, 유화, 132x96cm전시는 교황권 승리의 상징이자 전성기를 기념하는 17세기 로마 바로크의 어둡고 잔인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60여점의 작품은 이 수도의 은밀한 지하세계를 보여준다. 17세기 로마의 알려지지 않은 놀라운 예술적 작품의 한면을 소개한다. 교황청의 화려함과...
무고한 사람들, 2002, 잉크젯 프린트, 121.9x157.5cm타린 시몬(Taryn Simon, 1975- )의 작업은 엄격하고 은밀한 조사와 연구 과정의 결과이다. 표현의 정책과 같은 생각의 생산과 순환을 다루는 개념적인 프로젝트의 사진, 그래피즘, 텍스트의 혼합물이다.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들은 2000년대부터 진행해온 작품들로 구성되며, 가장 오래된 시리즈인 '무고한 사...
쉴라 힉스, 전시 포스터미국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 쉴라 힉스(1934- )는 거대한 스케일의 작품들로 응용미술, 조각, 퍼포먼스 사이에 걸쳐져 있으며 지난 50년간 섬유와 실을 사용한 현대미술의 가장 영향력있는 작가로 두드러진다. 헤이워드 선셋 파빌리온의 투명한 곡선 벽면앞에 설치된 밝은 컬러의 거대한 섬유작...
‘의자’, 1950-65년, 虎尾光藝堂제작 개인소장, 코지마 모토이톳토리 현립박물관에서는 시대를 앞서 공예산업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디자인계를 이끌어온 톳토리현 출신의 코지마 모토이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는 전시이다. 전쟁후의 산업 공예계의 디자인 이라는 개념이 정착되지 않은 시기부터 죽공예, 칠공예, 도예, 목공예 작가들과 ...
설치전경프랑스작가로 2013년 제55회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의 수상자이자, 독일 노트라인베스트팔렌에서 수여하는 백남준어워드의 2014년 수상자인 까미유 앙로(Camille Henrot, 1978- )의 개인전이다. 이번 전시의 아이디어의 바탕이 되었다는 비디오 작업 <거대한 피로(Grosses Fatigue)>(2013)는 이러한 학문적인 구조나 철학, 다양한 문화의 원칙과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