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ula dulcamara, 19382005년 스위스 베른에 개관한 파울클레센터를 비롯하여 세계 각처의 개인소장까지 주요 컬렉션들을 모아 140여 점의 작품으로 구성된 파울 클레의 회고전은 20세기 예술과 근대의 독창적 인물에 새로운 시각을 제안한다. 그의 작품은 마치 실현 불가능에도 불구하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말하려고 시도하는 일종의 놀이와 같다. “예...
192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촬영, 상하이, 1982매그넘(Magnum: 1947년 로버트 카파,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 등이 창립한 보도사진가그룹)의 일원으로 저널리즘 사진가·영화제작자 패트릭 자크만(Patrick ZACHMANN)의 개인전이다. 전시는 100여 점의 사진과 비디오로 1980년대 홍콩, 베이징의 변신, 천안문 광장 사건, 중국 쓰촨성의 대지진, 상...
세상의 오페라, 프놈펜(Phnom-Penh)의 폭격 이후, 캄보지아, 1975종군기자이자 순수사진작가이기도 한 크리스틴 스펜글러(Christine Spengler, 1945- )의 작업은 개인의 사적인 이야기가 민족이나, 전쟁중인 국가의 역사등과 만나게 되는 장면과 행위의 연속으로 읽혀진다. 독학을 한 작가는 마치 어린아이같은 열정으로 지난 40년넘게 작업을 하...
자화상의 미술사(고흐/청색), 2016, 작가소장일본의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모리무라 야스마사는 1985년에 <초상화( 고흐)>를 발표한 이후 명화 속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로 분장한 사진작품으로 알려져 왔다. 그의 신작을 포함한 미발표 작품과 과거의 대표작을 한자리에 모아 130여 점의 작품들과 장편의 영상작업을 선보이는 대규...
에바와 프랑코 매츠, 어두운 내용, 에피소드1-경찰, 2015, 필름에바와 프랑코 매츠의 작품은 웹 주변의 윤리와 도덕적 이슈들을 탐구한다. 작품 <어두운 내용, 에피소드 1,2,3>은 인터넷 콘텐츠 운영자들에 대한 비디오 시리즈로 웹사이트에서 공격적인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직된 보이지 않는 군대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토르 요르겐 반 에이...
아이 웨이웨이, 영원히, 2003, 42개의 스틸 자전거 ⓒCollection of Larry WARSH. Photography courtesy AI Weiwei베이징, 상하이, 뭄바이, 델리, 서울 등의 도시들은 인구 천만이 넘는 메가시티에 속한다. 이런 현상을 대변하듯, 보스턴미술관은 아시아의 대도시 삶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일상의 물건들로 이루어진 거대한 조각들과 설치물들을 미술관 내부와 외부에...
카오 페이, <아지랑이와 안개> 스틸 컷, 2013, 영상, 46분 30초베이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중국 작가 카오 페이(Cao FEI)의 미국 내 첫 개인전이 뉴욕에서 개최된다. 작가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중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혼돈과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중국의 젊은세대들을 탐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실과 가상이 혼재하는 멀티미...
‘소곤 소곤 별’ 일부 국내외에서 활약하는 영화감독 소노 시온이 자신의 독립프로덕션 이후 제작된 ‘소곤 소곤 별’을 발표하고, 영화에서 선보이지 못한 것들을 설치작업으로 발전시켜 선보이는 첫 전시이다. 그림자 설치작업과 555장의 그림 스케치 등을 선보인다. - 배상순 일본통신...
’대지’ (GSS 2015년) 히로가와 다이시 필림을 사용하는 ‘은염사진’은 카메라의 디지털화에 따라 시장규모가 급속히 축소되고 사라지고 있다. 그것은 은염사진으로 밖에 표현할 수 없는 독특한 감촉과 암실에서의 수공예 작업의 기술등이 다음세대에 계승되길 바라는 특별 사진 전시이다. - 배상순 ...
요한 토마스 룬드비, 아레소에의 초원, 1840 ⓒSammlung Christoph MULLER, Andres KILGER덴마크 ‘황금시기’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가로 꼽히는 크리스토퍼 빌헬름 에케르스베르크(Christoffer WILHELM ECKERSBERG)가 6년간 파리와 로마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1816년을 시작으로, 덴마크의 정치적 분쟁이 심화한 1848년에 그 막을 내린다. 이번 전시는 덴마크의...
쿠트 슈미트와 F.W. 보글러, G. 텔쳐 <기계적 발레(1923)>의 Theater der Klänge에서의 신연출 공연 장면(2009), Foto: O. ELTINGER카툰을 연상시키는 라그나 카르탄슨(Ragnar KJARTANSSON)의 <바우하우스와 나(2015)>에는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현대적인 느낌을 주는 바우하우스 디자인에 감탄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렇듯 이번 전시는 바우하우...
아트파리아트페어 전경, 2015세계 70여 개국 143개 갤러리가 모여 현대미술을 선보이는 올해 ‘아트파리아트페어’는 한국이 주빈국이다. 전상아 큐레이터가 기획하는 한국 전시에서는 첫 번째 모더니스트 세대였던 이응노의 작품을 비롯하여 한국의 시적이고 미스테리한 모노크롬인 단색화의 대표작가 이우환, 윤명로 등 80여 명의 작가 ...
Monument(Yellow), 2016, Light box, 76×95×12cm터키 출신의 미국 디아스포라 작가인 바하르 유르코글루(Bahar YURUKOGLU)는 대자연과 동시대 문명의 관계성을 자연성과 인위성, 실재와 환영, 원인과 결과 등의 이분법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한다. 본 개인전 ‘관류하다(Flow Through)’는 작가가 북극의 경계에서 체험한 백야의 여름과 칠흑 같은 겨울을 현존과 부...
Supermuslim #12, 2003, Detail from series of 12, 50x70cmCourtesy of the artist and Pilot Galeri터키의 아티스트 세네르 오즈멘 (Şener ÖZMEN)의 해학적인 작업의 방식은 사회구조안에서 당연시 되어온 고정관념과 권위적 위계관계 그리고 금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촛점을 둔다. 아르테르(ARTER)에서의 개인전은 토착적 건축의 형태 안에서...
제1회 중국 추상예술대전@전시현장닝보시문화관(寧波市文化館)이 주관하고 린홍(林红)의 총기획으로 중국 추상예술대전을 개최한다. 전시는 회화 작품 뿐 아니라 영상, 설치등 다양한 형식의 추상예술로 3파트로 나눠 구성된다. 작가는 탄핑(譚平), 인시우전(尹秀珍), 위요한(余友涵), 짜오우지(趙無極), 왕꿔펑(王國鋒)등 45명이 참...
창신 선도의 길-뤄공리우 백년 탄신 기념전@뤄공리우(羅工柳), 정풍보고(整風報告), 캔버스 위 유채, 168×240cm, 1951, 중국국가박물관소장뤄공리우(羅工柳, 1916-2004)는 중국 저명한 예술가이자 미술교육자이며 중앙미술학원 역대 총장을 역임했던 분이다. 그의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400여점의 작품과 대량의 문헌자료가 역사별로 전시되어 그의 ...
인시우전(尹秀珍), 내성강(内省腔), 설치작품본 전시는 저장성 통샹시 우전 관광지구(浙江省桐鄉市烏鎮景區) 내에 위치한 시짜 관광지구(西柵景區), 베이짜비단공장의 두 곳으로 실내 외에서 이뤄진다. 참여 작가는 15개국과 40여 명의 작가로 130여 점이 전시되며 회화, 조각, 사진, 설치, 영상 외 행위예술과 음향까지 어우러진 다방면의 예술이 전개된다. 그...
한 남자와 한 여자의 두상, 1877-80, 종이 위에 모노타입, ⓒ대영박물관대표적 인상주의 화가로 꼽히는 에드가 드가의 50여 점의 회화 및 드로잉 작품을 포함한 120여 점의 모노타입 작품들을 통해, 판화가로서 면모를 드러내는 전시이다. 드가는 모노타입 기법을 이용하여 드로잉의 가능성을 확장했고, 재료의 촉각적인 측면을 더욱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