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제 15회 광주비엔날레 본전시《판소리, 모두의 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2024.09.07 ~ 2024.12.0130주년을 맞아 30개국 72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은 현시대 복잡성의 좌표를 그리는 시도이다. 분쟁적 국경, 반-이주 장벽, 감금, 사회적 거리 두기, 분...
2024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Gwangju Biennale Pavilion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국내외 미술 및 문화 기관의 네트워크 확장을 목표로 2018년 3개 기관의 참여로 시작하였다. 파빌리온의 규모와 참여 기관수는 꾸준히 성장하여 2023년에는 9개로 늘어났고, 2024년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는 30여개의 국가, 도시, 기관 등 다양한 창의적 예술주체가 참...
제15회 광주비엔날레 네덜란드 파빌리온: 두 개의 노래 Two Songs기간 2024.09.07 ~ 2024.12.01장소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제5전시실작가 마르히트 루카츠 & 페르세인 브루어슨기획 사너커 하위스만, 테우스 즈바칼스관람료 무료주최 및 후원 LI-MA, 암스테르담기획의도숲을 떠올려보라. 그리고 숲속의 야생을 상상하라. 그들이 내는 소리를 생각해보라. 어떤 소...
기획의도광주시립미술관은 동학농민혁명 130주년과 5·18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을 맞이하여 특별기획전 《시천여민 侍天與民》을 개최한다. 이 전시는 전쟁을 불사한 정치혁명으로서의 동학을 정신문화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를 5·18광주민주화운동이 남긴 오월정신의 뿌리로 삼으며, 한발 더 나아가 미래사회의 전지구적 보편가치로 제시하고자 한다.130년 전...
전시 제목 아카데미즘: 전통과 혁신의 변증법 Academism: The dialectic of tradition and innovation전시 구성 ‘한국 아카데미즘’의 의미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작품 및 아카이브전시 기간 2024. 9. 6 – 12. 30관람 시간 월-금 오전10시-오후5시, 토 오전10시-오후2시전시 장소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 ‘아카데...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은 광주비엔날레 30주년 특별기념전으로 <오를랑 하이브리드:A.rtistic I.ntelligence>를 개최한다. 신체로 끊임없이 자신의 예술적 내러티브를 담아내는 오를랑은 이번 전시를 통해 기술을 활용하여 물리적 신체를 다시 한번 가상의 공간에서 해체하고 결합하고 혼종한다. 자신의 몸이 예술을 활용하는 소프트웨어라고 말하는 ...
물의 삼중주 (장승효 Seunghyo Jang , 로버트 창 치엔 Robert Chang Chien)
2024-09-05 ~ 2024-12-05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 (062-613-6123)
G.MAP×Kiaf×C-Lab 실감콘텐츠전 《물의 삼중주》 G.MAP×Kiaf×C-Lab Immersive Media Art 2024-09-05 ~ 2024-12-05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제4전시실(3층) Gwangju Media Art Platform Gallery 4장승효(Seunghyo Jang), 로버트 창 치엔(Robert Chang Chien)2024년 G.MAP×Kiaf×C-Lab 실감콘텐츠전 《물의 삼중주》는 기후 관련 요소 세 가지라는 개념에서 착안하였다. 기후...
박테리아, 꽃, 기계 곤충··· ‘감각의 실험실’이 된 미술관‘스스로 진화하는 작품’아니카 이의 명상적이고 영적인 전환 □ 기술과 생물, 감각을 연결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전개하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 ‘아니카 이’ 의 세계를 조망하는 아시아 첫 미술관 개인전- 자아와 타자의 경계 없음에 대해 탐구하며 작업의 확장과 전환을 ...
국내 신진작가 등용문에서 아시아 동시대 작가로 확대한 아트스펙트럼미술관 속 ‘윈체스터 하우스’ 미로 같은 방을 탐험하는 색다른 경험□ 국내 신진작가 등용문인 '아트스펙트럼’ 전, 아시아로 범위와 규모를 확대하는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자 리크리트 티라바닛을 예술감독으로 초청- 대만,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터키, ...
신발, 차림의 완성: 소장품 테마전 29Shoes: The Finishing Touch to Attire우리 선조들은 태어나서 삶의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인생의 중요한 순간을 소중하게 생각했다. 특히 예를 중요하게 생각하던 조선시대에는 관혼상제冠婚喪祭와 같은 의례가 발달했고, 의례마다 의복을 갖추고 그에 알맞은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정갈한 옷차림을 완성하는 것을 예절의 기본...
Installation view_Johyun Gallery_Seoul, 조현화랑 제공한지로 도배된 바닥 위로 흑백의 브론즈 조각이 서로 조응하듯 서있다. 신라호텔에 위치한 조현화랑_서울의 단아한 공간이 하나의 화폭이 되어 관람객을 작품 안으로 초대한다. 도심 속 지하 공간을 가득 채우는 비정형의 구도는 문명 아래 묻혀있던 고대의 유적지를 발견할 때 마주하게 되는 경외심과...
Bosco Sodi, Untitled, 2024, Volcanic rock glazed in gold, 25 x 29 x 22 cm, 조현화랑 제공독특한 질감의 부조 회화 작품으로 잘 알려진 보스코 소디가 조현화랑에서 세번째 개인전 <Dawns>를 선보인다. 2024년 9월 4일부터 11월 24일까지 조현화랑_달맞이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나무, 점토, 돌,톱밥, 삼베 등 가공되지 않은 천연 재료를 다루는 작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