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학술/행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뮤지엄 산, 개관 10주년 전시 연계 ‘안도 타다오 초청 강연회’ 개최

  • 일시2023-03-30 오후 6시 30분
  • 장소서울대학교 문화관 대강당
  • 주최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주관 | 뮤지엄 산


뮤지엄 산, 개관 10주년 전시 연계 ‘안도 타다오 초청 강연회’ 개최

l  서울대학교 문화관 대강당에서 3월 30일(목) 강연회 진행
l  3월 1일(수) 오전10시부터 네이버 예약하기 사이트에서 신청을 통해 예매 가능

뮤지엄 산(관장 안영주)은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특별전 <<안도 타다오(安藤忠雄) -청춘>>전시를 진행하며 그에 맞춰 안도 타다오 초청 강연회 ‘꿈을 걸고 달려라'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안도 타다오의 특별 강연 ‘꿈을 걸고 달려라’는 급변하는 세대와 환경에 따라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꿈을 가지고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시작한다. 

안도 타다오는 “이번 강연을 통해 한정된 자원, 식량, 에너지는 고갈되고 있는 현재, 인간은 어느 분야에서 든 늘 지구 전체를 생각하며 활동해야 한다. 아이들이 꿈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전해주기 위해 건축가로서 일하며 꾸준히 고민해 왔다. 그 고민과 생각의 과정을 소개해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건축가 안도 타다오(安藤忠雄, 1941~)는 물과 빛, 유리와 노출 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하고 바람, 나무, 하늘 등 자연과 긴밀하게 결합한 건축을 선보이며 현대 건축사에서 중요한 건축가로 주목을 받아왔다. 이번 강연은 그의 회고전인 <안도 타다오-청춘>전시와 맞물려 그의 자연을 그대로 품은 건축 역사의 맥을 짚어 줄 것으로 보인다. 

안도 타다오의 개인전은 도쿄(2017), 파리(2018), 밀라노(2018), 상해(2021), 북경(2021), 대만(2022)에 이어 2023년 4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뮤지엄산에서 열리며 안도 타다오의 건축세계를 망라하는 대표작 250여점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세계 최초로 안도 타다오 본인이 설계한 건물에서 진행되는 전시로 의미가 깊다. 

‘꿈을 걸고 달려라’라는 제목의 이번 강연은 서울 대학교 건축학과 주최, 뮤지엄 산 주관으로 3월 30일 저녁, 서울대학교 문화관 대강당에서 열릴 예정이다. 강연은 사전신청자를 대상으로 무료로 진행되며 네이버 예약하기 사이트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뮤지엄 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강연 | 꿈을 걸고 달려라
일시 | 2023년 3월 30일(목) 오후 6시 30분
장소 | 서울대학교 문화관 대강당
연사 | 안도 타다오
예약 | 네이버 예약 (뮤지엄 산 검색 후 예약)
주최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주관 | 뮤지엄 산


전시 | 안도 타다오, 청춘 Tadao Ando, Youth
기간 | 2023년 04월 01일(토) ~ 07월 30일(일)
장소 | 뮤지엄 산 청조갤러리 1,2,3전시실, 복도, 조각정원
출품 | 원본 드로잉, 스케치, 영상, 모형 등 250점
티켓 | 대인 22,000원, 소인 14,000원

작가 | 안도 타다오(Tadao Ando, 安藤忠雄, 1941~)

안도 타다오는 1941년 일본 오사카 출신으로 우연히 중고서점에서 르코르뷔지에의 건축 카탈로그를 접하고 건축가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는 건축에 대해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으나 르코르뷔지에의 설계도면을 직접 드로잉 하면서 모두 외우다시피 했고, 르코르뷔지에의 영감을 바탕으로 1962년부터 1969년까지 세계 각지를 여행하면서 독학으로 건축을 배웠다. 이렇게 아카데믹한 과정을 밟지 않은 안도 타다오는 예일 대학교(1987), 콜롬비아 대학교(1988), 하버드 대학교(1990), 도쿄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기도 했다. 그는 1969년 건축사무소를 차리고 토미시마 주택을 건설하면서 건축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 중에 1976년 오사카 스미요시의 연립주택으로 일본 건축 학회상(1979)을 수상했다. 1989년에는 프랑스 건축 아카데미상, 1991년에는 미국 건축가 협회(AIA) 명예 회원이 됐고, 1993년에는 영국 왕립 영국 건축가(RIBA) 명예 회원으로 1995년에는 건축의 노벨상이라고 하는 프리츠커 상을 수상했다.

이전글 목록 다음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