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학술/행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봄정기 학술대회

  • 일시2023-04-15 오후 2시 ~ 오후 5시 20분
  • 장소문화예술위원회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 주최(사)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3년 
봄 정기 학술대회 

▶  일시: 2023년 4월 15일 토요일 오후 2시 ~ 오후 5시 20분
▶  장소: 문화예술위원회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대학로 혜화역 2번 출구)
▶  주최: (사)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주차장이 협소한 관계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 근현대 미술사 연구의 바로미터
신진 연구자들의 참신한 연구 발표의 장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봄정기 학술대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는 2023년 봄에 새로운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장을 마련하여 회원 여러분과 연구자분을 초청하고자 합니다. 

발표하는 논문들은 미술사의 연구 대상을 심화시키고 시야를 확장하면서 그동안 간과되었거나 충분히 주목하지 못했던 주제를 과감하게 다루어내려 합니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20세기 미술사를 풍부하고 윤택하게 구성하고, 동시대 미술 현상의 기원을 이해하며, 한국 미술의 현재와 미래를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모두 다섯 분의 연구자들이 한국의 근대 유화, 인쇄미술, 사진사, 미술관 제도, 소그룹 미술활동 등의 주제를 발표하게 됩니다. 

전설과 명성만이 아니라 수용의 담론적 양상을 엄밀히 따져보는 <한국에서의 피카소 인식변화 연구>(강은아)는 서양미술의 이해 방식과 이에 반영된 한국미술의 자의식을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심산 노수현은 근대기 출판미술에서 전방위적인 활동을 보여준 전통 화법의 대가로서, <심산 노수현의 삽화 연구>(이송은)에서 소개되는 삽화 작품은 대중 미디어와 미술이 만났던 다채로운 역사적 단면을 제시해 줄 것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형성과 한국 근현대미술의 역사화>(구지원)에서는 미술사의 구성이 미술관의 제도적 설립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를 참신한 문제설정을 통해 살펴보게 됩니다.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포스트모던한 설치미술이 당대 현실과 역사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점에 주목한 <일상의 사물을 통해 현실을 이야기하다-1980년대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입체 및 설치미술>(이윤수)은 1980년대 미술의 다층적 갈래들을 살펴보도록 도울 것입니다. 

<한국사진에서의 ‘사진성으로서의 리얼리즘’ 관념 연구>(유지의)는 꾸준히 연구성과가 축적되어온 현대 사진사 영역에서 핵심적인 리얼리즘과 스트레이트 포토 개념이 전개되어간 양상을 추적하려 합니다. 

이상과 같은 주제의 연구성과들이 2023년 봄 정기 학술대회를 통해서 소개됩니다. 

기존의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대상을 드러내고, 새로운 프레임으로 미술사를 재구성하며, 확장된 시야로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는 논문이 발표될 이번 학회는, 한국 근현대 미술사 연구의 현재를 확인하고 미래를 예견해 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입니다. 


□ 학회 프로그램 □

14:00-14:30 | 토론: 홍지석 (단국대학교)

한국에서의 피카소(Pablo Picasso) 인식변화 연구
강은아 (홍익대학교)


14:30-15:00 | 토론: 정희정(한국미술연구소)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의 삽화 연구
이송은 (이화여자대학교)


15:00-15:30 | 토론: 권영진(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국립현대미술관의 형성과 한국 근현대미술의 역사화
구지원 (한국근현대미술연구재단)


15:30-15:50 휴식시간


15:50-16:20 | 토론: 문혜진 (서울대학교)

일상의 사물을 통해 현실을 이야기하다-1980년대 소그룹 난지도와 메타복스의 입체 및 설치미술
이윤수 (도쿄대학교)


16:20-16:50 | 토론: 박평종 (중앙대학교)

한국사진에서의 ‘사진성으로서의 리얼리즘’ 관념 연구
유지의 (성균관대학교)


16:50-17:20 청중 질의 및 보충 질의




이전글 목록 다음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