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달진뉴스 2015년 12월

편집부

화랑·미술관 변화
· 10월에는 인천시 남구 용현동에 토지금고박물관(T.032-440-6750)이 개관했다.

· 11월에는 광주시 서구 쌍촌동에 가톨릭갤러리현(T.062-380-2210), 인천시 강화군에 강화자연사박물관(T.032-934-4296), 종로구 계동에 갤러리송원(T.010-6225-1693), 파주시 탄현면에 골드마인스튜디오스(T.031-942-7645), 광주시 동구 광산동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T.1899-5566), 동두천시 지행동에 두드림작은미술관(T.031-876-6470), 남원시 수지면에 수지미술관(T.063-631-1020), 부산시 북구 만덕동에 스페이스만덕(T.051-997-0558),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아트뮤지엄벗이(T.031-288-0376), 인천시 동구 만석동에 우리미술관(T.032-764-7664), 성북구 성북동에 우리옛돌박물관(T.986-1001), 강남구 압구정동에 챕터투(T.597-5701)가 개관했다.

· 12월에는 종로구 교보문고 내에 교보아트스페이스(T.2076-0549), 춘천시 옥광산 내에 권진규미술관(T.033-243-2111), 용산구 한남동에 디뮤지엄(T.070-5097-0020), 종로구 와룡동에 갤러리너트(T.3210-3637). 강남구 청담동에 훈갤러리(T.544-5252)가 개관한다.


· 아트선재센터는 11월 29일까지 전시를 마지막으로 미술관 건물재정비 공사에 돌입한다. 2017년 재개관 예정.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1886-1965) 춘곡 고희동50주기 특별전 ‘한국 근대화단의 선봉’ (10.22-2016.1.31) 개막행사가 10월 22일 고희동 가옥에서 있었다. 특별전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춘곡의 작품 <과석도>, <산수도>, <추경산수화> 등 총 32점이 있으며 개막일에는 고인의 평전 출판기념식과 조각가 정현이 제작한 흉상 제막식이 열렸다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은 조각가 문신 서거 20주기를 맞아 11월 17일 문신 동상(93×180㎝)제막식을 개최했다. 문신미술관은 제막식과 맞추어 ‘문신 아트리에’전(11.17-2016.1.24)을 개최한다.

· 지난 8월 개관한 경주솔거미술관은 경주세계문화엑스포공원내 위치하여 자연과 동화된 문화공간이다. 건축가 승효상이 설계한 이 미술관은 전시장이 독자적인 행태를 유지하며 소산 박대성 화백이 기증한 총 830점(회화 435점, 글씨 182점, 먹과 벼루 등 213점)으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솔거미술관은 개관일부터 11월 29일까지 박대성 기증작품전 ‘붓끝 아래의 남산’과 최신작 위주의 ‘불국설경’ 전이 박대성전시관 5개 관에서 열었다.

·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진행한 미국 시애틀박물관 수장고에 훼손된 상태로 방치돼 있던 조선시대 수월관음도를 용인대 전통문화재보존연구소에 의뢰해 10개월간의 보존처리 작업을 마치고10월 30일 시애틀박물관으로 돌려보냈다.

·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은 11월 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청회를 개최해 문화재 지정번호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국가및 시·도 지정문화재에 일련번호를 붙이는 대신 종류, 유형, 소재지 등을 코드화해 새로운 번호 체계를 확립하자는 대안이 제시됐다.

· (서)서울특별시박물관협의회 주체로 제1회 서울뮤지엄페스티벌이 11월 14, 15일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렸다. 이번 서울뮤지엄페스티발의 주제는 ‘서울뮤지엄 160의 조화’로 박물관 창의체험 학습행사와 박물관 애장품 연합전시, 뮤지엄퍼블리케이즈 도록 및 포스터 부문 시상식이 있었다. 또한, 현 뮤지엄계의 현황과 트렌드에 대한 발표의 장인 심포지움에서 박암종(서울특별시박물관협의회장), 배기동(ICOM 한국위원장), 박현택(국립중앙박물관 홍보출판디자인팀장), 최재광(동답초 교장) 4명이 발표했다.

· ( 재 )예술경영지원센터는 11월 한 달 동안 6차례에 걸쳐 DDP에서 ‘미술시장을 바라보는 여섯 가지 시선’이란 제목의 강의를 진행했다. 시각예술 해외진출 역량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강의로 박수강(에이콤파스 대표), 심소미(독립 큐레이터), 전민경(국제갤러리 대외협력 디렉터), 최선희(Choi&Lager Gallery 디렉터), 이현희(서울옥션 미술품경매팀 근현대 팀장), 박만우(플랫폼-L 컨템포러리아트센터 관장)가 참여해 순차적으로 미술시장과 아시아, 작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경매, 장기적비전을 주제로 강의를 했다.

· 서울특별시 미술관협의회의 창립총회가 10월 29일 토탈미술관에서 열렸다. 서울지역의 정부 등록 미술관 34개 관이 중심이 되어 서울특별시 미술관들의 발전, 창작환경조성, 미술교육사업, 전문직원의 교육 및 양성, 세미나와 미술관의 소통사업을할 예정이다. 초대회장으로 토탈미술관의 노준의 관장이 선임.

· 설치미술가 양혜규는 중국 베이징 울렌스현대미술센터에서 ‘양혜규: 우기청호(雨奇晴好)’전(10.30-2016.1.3)을 진행했다. 이번 전시에서 신작 <유덕한 먹을거리-정(情) 그리고 인(仁)>을 중심으로 환상과 현실, 미학적인 것과 지성적인 것의 경계를초월하는 다양성의 풍경을 선보인다.

· 한국미술품감정협회에 따르면 근현대 10대 인기 작가 그림 2,144점의 진위를 분석한 결과 이중섭 40%, 박수군 60%, 천경자 66%, 김환기 68%가 진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고한 작가의 작품이거나 유명 작가의 오래된 그림일수록 위작 비율이 높다는 분석이다. 감정 의뢰품 3점 가운데 1점 정도가 가짜인 것으로 나타나 근현대 미술품 거래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 2015 문화예술발전 유공자
보관문화훈장, 한국문화교류연구회 대표 박래경, 목천김정식문화재단 이사장 김정식, 
옥관문화훈장, 옻칠공예가 정해조, 숙명여대 명예교수 이인실, 영월문화원장 엄태성, 
화관문화훈장, 단청전문가(중요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보유자) 스님 유병순. 
대한민국문화예술상, 국제갤러리 대표 이현숙, 사진가 구본창,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미술부문, 시각예술가 김아영.

· 12회 미술세계상 송용, 미술세계 작가상 박태후ㆍ박태원 수상
· 2015 밀라노 엑스포 국가관 전시디자인 부문 은상, 밀라노 엑스포 한국관 수상.
· 제1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서양화가 김영재, 특별상 서양화가 김선태 · 설치미술가 정연민 수상.
· 제16회 이인성미술상, 서양화가 이태호 수상.
· 제2회 석남을 기리는 미술이론가상, 경기도미술관 관장 최은주 수상.
· 제6회 두산연강예술상 미술 부문, 강정석, 오민, 유목연 수상.
· 이대원 별세 10주념 기념 평론상, 미술사학자 김이순 수상.


인물동정

· 서양화가 나혜석 유족 이광일,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 <자화상>, <김우영 초상> 기증.
· 이구열 한국근대미술연구소장, 가천박물관에 김은호 <백모란도>를 포함해 미술관련 도록,도서 4,300여점을 기증.
· 김성홍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 2016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예술감독 선임.
· 김정완, 국립대구박물관장 선임.
· 박만우 전 백남준아트센터관장, 플랫폼 L컨템포러리 아트센터건립 관장으로 임용.
· 선승혜 전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 아시아 인스티튜트문화연구수석 임용.
· 윤재갑 중국 하우아트뮤지엄 관장, 2016 부산비엔날레 전시감독 선임.
· 은화수,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선임.
· 임학종, 국립김해박물관장 선임.
· 최영창, 국립진주박물관장 선임.

· 박충식 서예가, 10월 28일 별세.
· 엄혜실 판화가, 10월 28일 별세.
· 난나(본명 장하경) 일러스트레이터, 11월 4일 별세.
· 백현숙 서양화가, 11월 7일 별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