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5년 12월

편집부


 
 
레섹 스쿠르스키 : Stranger than Paradise
2015-12-18 ~ 2016-01-31 | 갤러리제이제이
02-322-3979 | galleryjj.org

 
현재 독일에서 활동하고 있는폴란드 출신의 작가는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큰 호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스쿠르스키는 일상 속 찰나의 순간을 담은 드넓게 하얀 캔버스를 제시한다. 작품은대부분 끝없이 하얗게 얼룩진 평면이 배경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심 혹은 한 켠으로 어디선가 나타난 듯 작고 검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랩소디 인 안산전
2015-12-10 ~ 2016-01-24 | 단원미술관
031-481-0504 | danwon.ansanart.com
 
오랜 시간 동안 예술 활동을 지속 하면서 안산 지역의 미술문화 발전에 기여한 원로 작가 성백주, 장성순, 정문규, 신성희의 초대전. 안산 지역을 기반으로 창작 활동을 해왔거나 안산에서 출생한 작가로 각기 다른 개성과 조형언어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하며 우직하게 한국 근현대미술을 이끌어온 작가들이다.
진유영:빛 위에 그리다전
2015-10-24 ~ 2015-12-31 | 환기미술관
02.391.7701/2 | whankimuseum.org

 
1969년 도불한 후로 시대의 격랑과 예술의 위기를 마주하며 상황이나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자신의 예술적 신념에 따라 질문하고 답을 구해 실천해왔다. 회화로써 세상과 만나고 소통하고자 했던 그에게 회화는 자신의 정체성을 투영시키는 자아의 또 다른 형상이자 자신의 신체로서, 성장하는 생명체 자체였다.
박돈 작품&아카이브:고향의 정서, 추억 속의 편린
2015-12-15 ~ 2016-03-12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02-730-6216 | dmma.metro.daejeon.kr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서양화가 박돈 선생이 기증한 작품과 자료를 바탕으로 작가 아카이브 전시와 함께 전 생애에 걸친 작품을 망라하여 다루고 있다. 1950-60년대 다양한 경향이 나타나는 초기 작품과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까지 2단 구조와 모티프가 나타난 작품, 1980년대 이후 3단 구조의 깊은 공간감이 표현된 작품에서 작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박돈 선생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아우르고자 하였다.
 
 
고충환 : 현대조각의 경계와 탈경계
김성호 : 조귀선 / 물의 생명력으로 창출하는 숲, 빛 그리고 우주
윤진섭 : 단색화의 세계, 정신, 촉각, 행위
이선영 : 한대희 / 선들 사이의 유토피아
이선영 : 권인경 / 변화하는 전체의 조망
이선영 : 지니 서 / 그림 속을 거니는 체험
 
춘곡 고희동 : 격변기 근대 화단, 한 미술가의 초상
조은정 지음 | 컬처북스 | 2015년 11월 | 33,000원
 
한국 근현대 미술사의 중요한 사건과 상황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고희동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 관심으로 연장되면서 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저자는, 집요하게 문헌과 신문ㆍ잡지 등 기록물들을 발굴ㆍ선택하고 앞뒤 정황에 맞는 합리적인 설명과 해석을 더해 이 책을 정리했다.
 
지은이 | 조은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국제미디어아트시티, 창원조각비엔날레 등의 운영위원과 모란미술관 자문위원을 역임하였고 소마미술관 운영위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이사, 국제미술평론가협회 회원, 한국인물미술사학회 회장으로 활동.
컬렉터 : 취향과 안목의 탄생
박은주 지음 | 아트북스 | 22015년 11월 | 25,000원
 
아트 컨설턴트인 저자가 11명의 예술 애호가를 만나 그들의 컬렉션과 예술에 대한 마음을 인터뷰해 묶었다. 3대째 컬렉션을 이어오고 있는 가족, 문화예술공로훈장을 받은 프랑스인 컬렉터, 대형 아트페어 전시기획자 등 인물들이 컬렉터의 삶과 현대미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지은이 | 박은주
예술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하고자 파리 국립예술사학교(GRETA)와 고등예술연구원(IESA)에서 예술사, 컨템퍼러리 아트, 미술시장을 공부했다. 갤러리와 경매장에서 유럽의 저명한 아트 컨설턴트들에게 경험을 전수했으며, 월간 『아트 프라이스』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예술가의 항해술 : The white review interviews
화이트 리뷰 인터뷰, 정은주 옮김 | 유어마인드 | 2015년 9월 | 16,000원
 
신예 예술가가 창작한 예술적 또는 교육적 가치가 뛰어난 작품들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영국의 문예지 ‘화이트 리뷰’에 수록된 문답을 엮은 책이다. 인터뷰어들은 면담자의 작품 세계, 다른 매체에 남긴 말까지 이미 섭렵하여 그의 세계관 안에서 대화한다. 그 덕에 이전까지 누설된 적 없는 생각과 철학, 방향과 말투를 엿볼 수 있다.
 
인터뷰어 | 화이트 리뷰(The White Rview)
2011년 창간된 영국의 문예지다. 신예 예술가 및 작가가 창작한 예술적 또는 교육적 가치가 뛰어난 작품들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잡지를 표방하며 창간되었다. 예술과 문학, 그리고 그 교육을 진흥하는 것을 목표로 2011년 2월 시작하여 2015년 현재 14호까지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