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6년 1월

편집부




황순원 탄생 100주년 기념전 : 황순원, 별과 같이 살다
2016-01-07 ~ 2016-01-21 | 용인포은아트갤러리
031-260-3331/3332 | yicf.or.kr

황순원 탄생 100주년을 맞아 7명의 작가를 초청하여 그의 대표단편 7편을 그림으로 새롭게 형상화. 문확과 미술의 상호소통을 확인할 수 있는 37점을 전시.
구자현 : 현현(顯現)
2016-01-06 ~ 2016-01-26 | 갤러리조선
02.723.7133 | gallerychosun.com

구자현 작가는 판화계의 원로로 70년대 부터 대내외로 꾸준히 활동하며 자신의 작업을 알린 몇 안되는 판화가 중 한 명이다. 작업 초기 한동안 석판화에 천착했던 구자현 작가에게 판화가 갖는 의미는 완성된 작업 보다 하나의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다.
김덕용·전병현전 : 기억 속에 피어난 白花 봄날 오는가
2016-01-15 ~ 2016-02-26 | 갤러리조은
02-790-5889 | galleryjoeun.com

김덕용, 전병현 두 작가는 역설적이게도 각각 동양화와 서양화 전공으로 출발점이 다르나 두 작가 모두 추상과 구상,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독창적 작업 세계를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작가들이다. 또 가장 일상적이면서도 평범한 나무, 한지 등을 소재로 한국적 정서가 가미된 작품세계를 그리고 있다.
랩소디 인 안산전
2015-12-10 ~ 2016-01-24 | 단원미술관
031-481-0504 | danwon.ansanart.com

오랜 시간 동안 예술 활동을 지속 하면서 안산 지역의 미술문화 발전에 기여한 원로 작가 성백주, 장성순, 정문규, 신성희의 초대전. 안산 지역을 기반으로 창작 활동을 해왔거나 안산에서 출생한 작가로 각기 다른 개성과 조형언어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하며 우직하게 한국 근현대미술을 이끌어온 작가들이다.



고충환 : 모혜준 / 소외와 소멸, 종이박스의 사회학
김성호 : 제16회 GPS_FINE (st) ART전 / 신진 작가들의 이머징 프로젝트
윤진섭 : 신체와 행위, 그리고 사물로서의 그림
이선영 : “장욱진의 심플(SIMPLE) 정신”, 그 현대적 변용
이선영 : 이소진 / 건설 중인 상징적 우주
이선영 : 김희용 / 물질의 표면에서 떠나는 나선형 시간여행



꿈꾸는 현대 미술
세바스티안 치호츠키 지음, 알렉산드라 미지엘린스카, 다니엘 미지엘린스키 그림, 이지원 옮김 | 풀빛 | 2015년 11월 | 15,000원

『생각하는 건축』, 『상상하는 디자인』, 『꿈꾸는 현대 미술』로 이루어진 총서. 흥미로운 소재의 건축부터 현재까지 사랑받는 작품과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으며, 탄생기와 더불어 영감은 어디서 얻었는지, 왜 그러한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꼼꼼하게 일러스트와 한 눈에 들어오는 기호로 정리했다.

지은이 | 세바스티안 치호츠키
1975년에 태어나, 사회학자, 큐레이터, 예술 평론가로 현재 바르샤바 국립 현대 미술관의 큐레이터.
참여적 박물관 The participatory museum
니나 사이먼 지음, 이홍관, 안대웅 옮김 | 연암서가 | 2015년 12월 | 25,000원

문화 기관을 보다 역동적이고 세상과 연관된 삶 속의 문화발전소로 만들어 가기 위해 지역사회와 방문자가 함께하는 실무 안내서이다. 박물관 컨설턴트이자 전시설계자인 저자는 연구 사례들을 엮어 문화 기관과 방문자 사이의 괴리감에 대한 해결책을 참여 증진에서 찾고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지은이 | 니나 사이먼 (Nina Simon)
커뮤니티 중심의 설계 접근법을 현시한 “박물관 비전가”. 현재 캘리포니아의 산타크루즈 예술 역사 박물관 실행감독.
목수 고집
최기영 지음 | 예경 | 2015년 11월 | 32,000원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보완 최기영 대목장의 55년 목수 인생을 정리한 작품집이자 자서전이다. 그의 손길이 거쳐 간 수많은 전통건축물이 세월과 함께 적혔고, 사용해온 연장 중 대표적인 것들이 추려져 목수의 세계를 엿볼 수 있게 했다.

지은이 | 최기영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 74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그는 명실공히 전통 한옥 건축의 일인자이자 대한민국의 보물로 일컬어진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