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6년 1월

편집부




김덕용·전병현전 : 기억 속에 피어난 白花 봄날 오는가
2016-01-15 ~ 2016-02-26 | 갤러리조은
02-790-5889 | galleryjoeun.com

김덕용, 전병현 두 작가는 역설적이게도 각각 동양화와 서양화 전공으로 출발점이 다르나 두 작가 모두 추상과 구상,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독창적 작업 세계를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작가들이다. 또 가장 일상적이면서도 평범한 나무, 한지 등을 소재로 한국적 정서가 가미된 작품세계를 그리고 있다.
김호원 서양화전
2016-01-14 ~ 2016-01-27 | 아트스페이스퀄리아
02-379-0403 |

그의 그림은 여리고 가늘한 선의 꿈틀거림에 의해 남도의 자연과 인물의 형태를 창조한 것이다. 그 같은 선의 움직임은 육자배기 같기도 하고 피리의 선율 같기도 하며 누에가 실을 뽑아내는 것처럼 작은 나뭇가지 끝이며 머리털까지 신경세포를 뻗치고 있다.
박권수 10주기 추모전 : 내일 더 빛날
2015-12-23 ~ 2016-01-25 | 아라아트센터
02-733-1981 | araart.co.kr

박권수10주기추모 연장전은 1989-1992년도 Black light를 이용한 Neon color의 설치작품, 1988-1991년도 300-500cm규격의 대형작품, 1972-1985년도의 소외된 인간조건의 군상을 회색조로 표현한 ‘失題’ 연작작품, 1986-2003년도의 자연과 인간을 밝은 색감으로 표현하거나 나무판 또는 한산모시등 타재료를 사용한 작품, 연대별로 150점 전시합니다.
제15회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2015>
2015-12-04 ~ 2016-02-14 | 광주시립미술관
062.613.7100 | artmuse.gwangju.go.kr

열다섯 번째를 맞은 이번 전시에는 박자현(부산), 이인희(대전), 이주리(전북), 정문경(서울), 정지현(대구), 최요안(광주), 하루(광주) 작가가 초대되었다. 표현하는 방식과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현실에 좌절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작가로서 도전하는 용기를 보여주고 있는 아름다운 청년들이다.



고충환 : 김지현, 빨간 벤치에 앉아서 시대를 생각하다
김성호 : 박서하 / 객관적 시각성에 반문하는 세 개의 눈
박영택 : 강경구 / 모필과 칼 맛이 어우러진 흑백화면
윤진섭 : 단색화의 세계, 정신, 촉각, 행위
이선영 : 이태호 / 사막을 횡단하기
이선영 : 백지혜 / 현실만큼이나 상상이 필요한 재현



오밤중 삼거리 작업실
홍동원 지음 | 동녘 | 2015년 10월 | 18,000원

클라이언트의 거친 생각과 디자이너의 불안한 눈빛과 그걸 지켜보는 아트디렉터. 30여 년간 디자인을 삶으로 살아온 저자의 사적이고도 공적인 일상을 그의 작업물을 바탕으로 엮었다. 자료수집ㆍ스케치ㆍ디자인ㆍ제작의 순서로 진행되는 내용은, 저자의 철학이 드러나도록 책 안에서의 디자인과 책에 대한 작업 일화를 감정의 거름 없이 현장감 있게 이야기 한다.

지은이 | 홍동원
글씨미디어 대표. 홍익대학교와 같은 대학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독일의 에센종합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공부했다.
비평 페스티벌 .1: 비평의 육체를 찾아
강수미 기획 | 글항아리 | 2015년 11월 | 15,000원

새롭게 시도되는 비평예술 프로젝트인 동명 행사의 참여와 성과를 엮었다. 현역 문화예술 전문가ㆍ시각예술 창작자ㆍ비평가ㆍ이론가와 다음 세대 예술가 및 인문 연구자가 참여해 무대 위에서 각자의 감각과 지식ㆍ경험ㆍ미래비전을 다층적이고 비권위적인 형태로 교류하여 도출된 결과물이다.

기획 | 강수미
미학자이자 미술비평가. 동덕여대 회화과 서양미술이론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발터 벤야민 미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대미학과 미술비평이 전공 분야다.
The Collector
신상호 지음 | 책(Chaeg) | 2015년 9월 | 12,000원

작가이자 컬렉터인 저자가 세계를 돌아 아름다움에 갈증을 느끼며 컬렉션을 수집한 과정과 그 일부를 소개하는 도록ㆍ수필집이다. 시간ㆍ인연ㆍ시선ㆍ변화ㆍ융합의 다섯 가지 주제에 대한 소신과 철학을 밝히고, 각 주제 아래 분류한 오브제들의 역사 및 조형과 영감에 대한 이야기를 곁들였다.

지은이 | 신상호
평생 흙과 불의 다양한 성질을 탐구해온 예술가이자 전통 도자를 도조로 혁신시킨 혁명가. 아프리카 미술의 원초적인 에너지와 시간성에 매료되어 수십 년간 수집에 몰두한 컬렉터이기도 하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