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달진뉴스 2016년 2월

편집부

화랑·미술관 변화
· 12월에는 경기도 양평군에 갤러리아트셀시(T.031-773-5613), 광주시 광산구 소촌동에 소촌아트팩토리(T.062-670-7494), 마포구 상암동에 문화창조벤처단지(문화창조융합센터 T.02-371-5700), 강원도 화천군 육군 15사단에 명월백운갤러리가 개관했고,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일본군위안부역사관(T.031-768-0064)이 재개관했다. 전주시 완산구 어진길에 전북대예술진흥관(T.063-284-2008)은 폐관했다.
· 1월에는 세종시 어진동에 세종시대통령기록관(T.044-211-2000), 광주시 동구에 세계조각장식박물관(T.062-222-0072)이 개관했고, 용산구 이태원로에 서울용산구전쟁기념관(T.02-709-3139)은 ‘전쟁역사실’을 재개관했다.
· 2016년 봄, 스위스 바젤 쿤스트뮤지엄을 시작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현대미술관이 재개관 예정이다. 여름에는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 에든버러와 영국뉴테이트모던이 개관예정이며, 가을에는 미국 국립아프리칸아메리칸 역사문화박물관, 겨울에는 킹압둘라지즈세계문화센터, 아부다비 구겐하임, 루브르가 개관하고 미국 국제사진센터가 맨해튼바워리가에서 재개관 예정이다.
· 행정중심 복합도시건설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국토교통부 강호인 관장, 허재완 중앙대 교수)는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립박물관단지 건설을 꼽아 도시건축박물관, 국가기록박물관, 디자인박물관,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어린이박물관 등 박물관 5개와 통합수장고, 운영센터를 포함한 2개 시설이 건립될 예정이다. 2023년 개관 예정.

· 지역 내 관리 부실로 한때 폐관 위기까지 처했던 매헌 윤봉길의사기념관이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 활성화를 위해, 1월 1일부터 소유권을 국가보훈처로 이관.
·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문화기술(CT) 관련 최신 정보와 문화기술 연구개발(CT R&D) 지원사업의 주요 성과를 다룬 『문화:기술』 개정 창간호를 발간했다.
·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는 1월 28, 29일 페럼타워에서 국내 미술시장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미술 해외진출 전략을 모색하고, 신진작가 성장과 시장 진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각예술 해외진출 전략 컨퍼런스Ⅱ’를 개최했다. 발제
로는 김영석(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국내 거래정보 데이터 현황 및 활용 방안, 김봉수(예술경영지원센터)-K-ARTMARKET소개, 최창희(감성정책연구소)-미술 시장, 데이터로 말하다, 손성옥(갤러리EM)-갤러리 성장 및 해외진출의 필요충분조건, 김현희(서울옥션)-데이터로 푸는 단색화 열풍, 그 이후, 정종효(경남도립미술관)-아트페어 전성시대, 국내 페어가 취해야 할 전략.
· 한국문화예술회 예술자료원은 1월 14일 서초동 본원 세미나실에서 ‘2015 예술기록관리 전문인력양성과정: 심화워크숍결과고보’세미나를 가졌다. 윤혜준(심화워크숍 매니저)-심화워크숍운영 결과보고 발표를 시작으로 나지혜, 김민경의 현장에서 얻
은 경험사례공유 발표가 있었다. 또한, 백지원 교수-예술자료원구술채록 컬렉션의 조직화에 대한 소고, 김중효 교수-수요자 입장에서 본 무대미술 컬렉션의 구축 방향 발표가 있었다
· 백남준문화재단과 예술경영지원센터는 1월 27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2016 백남준문화재단 국제심포지엄 ‘백남준 테크니스트 3人에게 듣는다: 백남준 비디오 조각 보존과 뉴미디어 아트의 미래’를 진행했다. 마크 파스칼(신시내티대학), 폴 게린(비디오아티스트), 이정성(아트마스터)의 발제와 아날로그 매체인 비디오아트와 동시대 디지털아트의 관계, 보존 방식에 따른 윤리적 이슈, 비디오아트 및 뉴미디어아트 기록에 관한 이슈 등에 대해 토의했다.
· 박서보는 1월 15일부터 3월 12일까지 영국 런던 화이트큐브갤러리에서 1967-81년 작 ‘연필 묘법’ 16여 점을 전시한다.
· 프랑스 갤러리페로탱은 1월 9일부터 2월 27일까지 ‘오리진’전을 개최한다. 참여작가로는 홍익대 회화과 출신들로 구성된미술 단체인 ‘오리진’의 창립구성원인 서승원, 이승조, 최명영.
· 시애틀미술관은 2015년 10월 31일부터 3월 13일까지 ‘한국현대미술전: 장소의 패러독스’전을 개최한다. 참여작가로는 노순택, 양혜규, 이수경, 이용백, 임민욱, 정연두.
· 이강소 작가는 프랑스 생테티엔미술관에서 3월 4일부터 10월16일까지 개인전을 갖는다.
· OCI 미술관은 공개모집을 통해 고은별, 박상희, 박형진, 송윤주, 인세인 박, 정아롱, 조현익, 최수진을 2016년도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로 선정했다.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전 1.8-2.25)
· 서울문화투데이 제7회 문화대상 수상자 시상식이 1월 15일 서울시청 시민청 바스락홀에서 있었다. 문화대상은 특별상에 김남조 시인(김세중기념사업회 이사장·숙명여대 명예교수), 전통대상 정명숙 한국무용가(중요무형문화재 97호 이매방살풀이춤 전수조교·정명숙전통춤예술단 예술감독), 현대대상 정우범(서양화가), 문화경영대상 김후란(문학의 집 서울이사장·시인), 글로벌대상 이영칠(소피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종신객원 지휘자)씨가 수상했고 최우수상, 젊은 예술가상도 주어졌다.
· 2015대한민국도예공모전(인천광역시 서구 주최), 대상 황지혜·정기봉, 우수상 이지혜·노영재·이채림 수상.
· 2015 자랑스러운 홍익인상 대상, 조각가 김영원 수상.
· 제5회 협성사회공헌상 교육문화부분, 부산공간화랑 대표 신옥진 수상.
· 제20회 가톨릭미술상 특별상, 윤명로 서울대 명예교수 선정.
· 박물관 발전 업무 유공자 표창, 초전섬유퀼트박물관 학예실장주선·인도박물관 학예실장 김규원·참소리축음기박물관 교육사 윤종익·해금강테마박물관 교육사 이상미 수상.
· 2016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에 손지민 ‘재현성과 토톨로지 너머의 반복: 기존 단색화 비평의 메타비평’이 당선. 손지민(1984- )은 영국 정경대 경제학/환경정책 학사,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 현대미술사 석사,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 고등연구원 미학 박사과정 재학 중이다.

인물동정
· 강창일 전 오산문화재단 상임이사, 안산문화재단 대표이사 취임.
· 김종성 원로 건축가, 현대자동차그룹 삼성동 옛 한국전력부지의 신사옥(GBC) 설계책임 건축가로 선임.
· 나건 홍익대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장, 한국디자인경영학회 회장 선임.
· 목수현 서울대규장각연구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장 선임.
· 문인수 수원대 미술대학원장, 미술대학장 선임.
· 윤범모 미술평론가, 시집 『토함산 석굴암』발간,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예술총감독에 선임.
· 이상균,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체험관 관장 신임.
· 김영자, 서양화가, 12월 28일 별세.
· 이상무 만화가, 1월 3일 별세.
· 조성묵 조각가, 1월 18일 별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