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6년 4월

편집부




별별동행 2016전
2016-03-29 ~ 2016-04-19 | OCI미술관 (송암문화재단)
02.734.0440 | ocimuseum.org

이번 전시에서는 OCI미술관의 대표적 작가양성사업인 ‘OCI YOUNG CREATIVES’와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를 거쳐 현대미술의 최전방에 활약 중인 열여덟 작가의 생생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선주 : The Garden
2016-03-29 ~ 2016-04-10 | 공간291
02-395-0291 | space291.com

꽃의 아름다움은 영혼의 평안을 가져다 준다. 그 꽃은 사랑과 관심 그리고, 고통과 인내함 속에 피어나고 또 진다. 정원 갖기를 소망하던 나의 바램을 지난 몇 년간 내 삶의 일상 속 피어난 꽃들과 함께 이야기를 꾸며 보았다.
유근택·이진원 : 자연을 바라보는 시선
2016-03-24 ~ 2016-04-20 | 누크갤러리
02-732-7241 | facebook.com/nookgallery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자연 속을 거닐며 바라보고 생각하는 두 작가는 같은 곳을 바라보지만 다른 언어로 자연을 표현한다. 그들의 시선은 어디에 머무는지, 그들의 몸은 어떤 움직임으로 기록을 남기는지 전시를 통해 자연의 풍경 속으로 들어가 본다.
재단 창립 25주년 기념 특별전 1 : 타임 캡슐
2016-03-16 ~ 2016-04-16 | 한국국제교류재단 KF갤러리
02-2151-6520 | kf.or.kr

지난 10년 간 KF글로벌센터가 개최해 온 수 많은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다시 만나는 시간을 갖는다. 포스터, 도록 및 영상 등을 통해 10여 년 간 개최되었던 프로그램이나 아쉽게도 놓친 프로그램들을 다시 만나는 기회를 갖음과 동시에 포스터 디자인이 변화하는 모습 또한 한 눈에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충환 : 이태량 / 회화적 바이털리즘, 회화적 리비도
김종근 : 실패한 인사동, 성공한 베이징 798
김종근 : 눈과 마음으로 본 '유럽의 회상'
박영택 : 정대원 평론
윤진섭 : 문화 관광 인프라의 구축과 신화 발굴의 중요
이선영 : 이은영 / 은유적 단편들
이선영 : 도윤희 전 / 그림이 아니고서는 잡을 수 없는...
이 한점의 자료 : (5)조선미술사연구(朝鮮美術史硏究)



겸재 정선, 붓으로 조선을 그리다
이석우 지음 | 북촌 | 2016년 2월 | 22,000원

겸재의 문화 형성력과 창조적 대응, 개별적 예술혼을 주목하고자 했다.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급변의 시기에, 중국이나 서양으로부터 들어온 화법과 학문을 배척하지 않고 습득하고 포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곧 우리의 것으로 만들어내는 역량을 발휘했다는 점을 들며 겸재에 대한 보다 폭넓은 재조명을 과제로 남긴다.

지은이 | 이석우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및 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하고 동 대학 명예교수, 국제미술평론가협회(AICA)회원, 현재 겸재정선미술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예술가의 서재 : 당신의 마음이 쉬어가는 다락방
이하영 지음 | 페이퍼스토리 | 2015년 12월 | 15,000원

예술 작품 속에 밑그림으로 숨어 있는 책을 찾아본다. 지적 차이를 독서로 줄이려 했던 베토벤부터 책을 좋아해 서점에 취직하기도 했던 반 고흐, 아버지의 작은 서재에서 탄생한 독서광 프리다 칼로 등 23인의 예술가는 문학과 음악, 미술과 대중예술 등 장르도 다양하다. 마지막까지 이어지는 독서 이력은 이제 그들의 책으로 독자를 이끈다.

지은이 | 이하영
현재 OBS 경인TV에서 매주 토요일 밤 9시 15분에 방송되는 <전기현의 씨네뮤직>의 대본을 쓰며,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에서 발행하는 격주간 잡지 <기획회의> 편집위원회에 이름을 올려두고 있다.
예술 판독기
반이정 지음 | 미메시스 | 2016년 2월 | 22,000원

책 제목은 ‘무언가를 예술로 만드는 조건의 기록’이란 의미로, 전작 『사물 판독기』에 이어 이번엔 예술적 속성에 좀 더 치중했다. 영화 전문매체 ‘씨네21’의 연재되기도 했던 글은 다양한 사회ㆍ정치적 소재와 주제를 문화의 범주로 끌어드려 예술을 비평함으로써 비평 대중화를 지향한다.

지은이 | 반이정
「중앙일보」, 『시사IN』, 『씨네21』, 『한겨레21』 등에 미술 평론을 연재했고, 중앙미술대전, 동아미술제, 송은미술대상, 에르메스 미술상 등 각종 미술 공모전에서 심사와 추천 위원을 지냈다. 서울대, 세종대 등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한다.

미테-우그로와 함께하는 제11회 광주비엔날레 월례회 작품포커스 참여작가 공개모집
160407 ▷ 160415 | 광주비엔날레, 미테-우그로 | www.facebook.com/gbmite16
제12회 송혜수 미술상
160407 ▷ 160428 | 부산미술협회 | www.bfaa.or.kr
제16회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작품공모
160307 ▷160506 |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 beta.reelport.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