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16년 10월

편집부




제 38회 중앙미술대전
2016-10-10 ~ 2016-10-17 |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02-2031-1919 | fineart.joins.com

포트폴리오 심사 및 프리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선발된 ‘올해의 선정작가’ 10명의 젊고 뜨거운 창의력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대한민국 미술의 내일을 엿볼 수 있는 중앙미술대전에 많은 관심과 성원 바랍니다.
이승령: 풍경
2016-10-04 ~ 2016-10-17 | 갤러리조은
02-790-5889 | galleryjoeun.com

이승령 작가는 주요 소재들은 꽃과 새, 나비, 풍경 등 같은 그리움의 대상으로서의 사물이다. 이들은 모두 사랑과 생명에 관한 작가의 진실함이 담긴 기호의 역할을 한다. 내적으론 타인의 것을 억지로 취하거나 넘치지 않을 만큼만 소유하는 욕심 없는 삶을 가리키며, 넓게는 지나친 물욕에 멍들어가는 세태를 반영한 상징으로서의 형상이다.
파주 헤이리 ‘판 아트 페스티벌
2016-10-01 ~ 2016-10-09 | 헤이리예술마을 일대
031.637.0033/2 | heyri.net

헤이리 예술 창작인의 공방을 관람객에게 보여주는 오픈스튜디오와 체험활동, 다양한 장르의 퍼포먼스, 밴드, 악기 연주 등 실력을 갖춘 공연팀들의 무대 공연과 함께 시민을 위한 힐링 콘서트, 작가와 함께하는 공공미술프로젝트까지 문화예술의 삶을 다양하게 일구어내는 다방면의 예술 작가와 파주 시민들의 함께 어울림의 시간이 될 예정이다.
2016 타이틀 매치 : 주재환 vs. 김동규
2016-07-26 ~ 2016-10-16 |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02-2124-5248 | sema.seoul.go.kr/bukseoul

《2016 타이틀매치》전은, 전방위적으로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넘나들며 특유의 유머와 해학으로 현실에 대해 발언하는 작업을 해 온 주재환(1941~ )과 빠르게 소비되고 폐기되는 현대사회의 시각물들에 집중하여 이를 날카롭게 통찰하는 작업을 펼치는 김동규 (1978~ )를 참여작가로 초대하였다.



고충환 : 남영희, 한지의 물성과 색감이 매개하는 회화적 자의식
윤진섭 : 인코딩의 신비한 세계 : 가상과 실제의 경계에서
이선영 : 조현익 / 신념과 행동 사이에 있는 것
이선영 : 체화된 언어로서의 예술작품
이 한점의 자료 : 예술연감(藝術年鑑), 1947



빈 의자에 새긴 약속 : 평화의 소녀상 작가 노트
김서경ㆍ김운성 지음 | 도서출판 말 | 2016년 7월 | 15,000원

2011년 첫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한 후 현재까지의 사연들과 작업과정을 엮었다. 잘린 머리카락과 할머니 그림자 등 12가지 상징의 의미와 사회 예술적 공공조형물로 평가,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넣었다. 건립 일화와 관련 행사도 사진으로 전하고 소녀상들 위치도 지도로 담았다.

지은이 | 부부조각가 김서경운성
2015년 12월 28일 한일 ‘위안부’ 문제 졸속 합의 이후에는 이에 분노한 국민과 해외동포들이 소녀상 설치를 요청하고 있으며, 여러 곳에서 제막을 준비 중이다.
스크린의 추방자들
히토 슈타이얼 지음, 김실비 옮김 | 워크룸프레스 | 2016년 8월 | 15,000원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영상 작가이자 저술가인 저자의 책이다. 그의 대표작 ‘가난한 이미지를 변호하며’ 등이 포함되었고, 2015년에 발표한 두 편의 글을 추가했다. 글 곳곳에서 우리는 누추한 현실을 가리는 스크린으로 기능하는 현대미술의 민낯을 만나고, 그곳에 행동가로 뛰어드는 저자를 만날 수 있다.

지은이 | 히토 슈타이얼
영상 작가이자 저술가. 베를린 예술대학에서 미디어 아트 강의, 제11회 광주비엔날레, 제9회 베를린 비엔날레, 뉴욕 현대미술관, 제56회 베니스 비엔날레, 제12회 카셀 도쿠멘타 참여
시를 담은 그림, 그림이 된 시 : 조선 시대 시의도
윤철규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6년 8월 | 28,000원

미술 현장과 시장에서 대중과 소통해 온 저자는 그간 수집해온 자료를 망라해 2년여에 걸쳐 온라인에서 연재했고, 여기에 덧붙여 엮었다. 짚어주는 그림 속 시를 읽을 수 있게 도판이 실렸고, 한시는 한문학자이자 한문ㆍ한시 번역가인 김규선의 철저한 감수를 거쳐 해석ㆍ풀이되었다. 끝에는 ‘조선 후기 시의도 목록’을 실어 화제와 원시 전문까지 정리했다.

지은이 | 윤철규
㈜서울옥션 대표이사와 부회장을 지내고 지금은 한국미술정보개발원 대표로 인터넷 사이트 ‘스마트 K’를 운영하면서 한국 미술을 소개하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