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요술 이미지로 둘러싸인 우리세계

박래경


실제와 비 실제, 현실과 가상세계,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가 쌍 방향으로 관계를 맺고 통합해 가는, 우리가 사는 오늘의 세계는, 시간과 공간, 크기와 중력에 이르기 까지 어느 것 하나, 고정적이고 국지적인 것이 없을 정도다. 모두가 상대적이고 비연속적이어서 모두가 낯설고 혹은 트릭과 요술에 꽉 차 있는 것 같다.

조형예술가, 특히 그 중에서 새로운 매체에 관심이 집중되어있으면서 한편 과거의 매체와 연계시켜 오늘의 세계를 풀어 보려는 젊은 작가들의 활동이 최근 매우 눈에 띈다.
최근 한미사진미술관이 주최하고 아트파크가 주관 하여 개최한 <요술 이미지>전은 사진작업과 회화, 조각, 컴퓨터그래픽과 같은 다른 매체를 연결 시켜 활발하게 작업 하고 있는 14명의 젊은 작가 작품이 소개된다.

사진으로 찍은 회화 작품에 그림을 그린 투명한 면이 포개어 지면 이 두 화면이 야기하는 예상치 않는 시간과 공간의 긴장감이 촉발되어 또 하나의 가상의 현실을 만들어 내는 배준성의 작품. 또는 평면적 사진에 작가의 행위적, 신체적 개입으로 입체적 조작을 부과 하고 이를 다시 평면화시켜 기하학적 드로잉을 완성 시키는 조 병암의 작품. 조각위의 회화적 행위로 완성된 오브제를 사진작업으로 마무리 짓는 유현미의 작품. 화분의 식물과 같은 실제 대상을 사진 찍은 표면에 그리는 행위를 간단하게 추가시킴으로서 그 실제성이 상실되고 중립적 상황으로 바뀌는 장유정의 작품이 있다.

그런가 하면 자연에 있는 나무에 흰 천을 차단막으로 배경을 만들어서 사진 찍으면 마치 캔버스에 그린 나무작품처럼 우리 눈은 일단 받아 드리게 된다. 이렇게 작가들은 실체와 이미지의 차이를 교란시킴으로서 어디까지가 실제이고 어디까지가 만들어진 이미지인지 햇 갈리는 요술에 일단 빠지게 된다. 사진작업이 입체적인 세계를 평면화 시킨다면 평면화의 대표적 매체인 그림도 여기에 간섭할 수 있었던 것이다. 조형 예술가들의 작업 과제는 무궁무진 할 수밖에 없다. 이런 평면성을 가진 사진에 입체적인 매체성이 들어온다면 일은 또다른 방향으로 치닫게 된다.

인물, 풍경 할것 없이 사진, 인쇄매체가 가느다란 알루미늄 줄에 프린트 되고 그 많은 줄들이 각각 다른 각도로 이어지면 내용상의 사물의 중력을 무시한 사진의 입체적 드로잉이 형성되는 강 영민의 작품. 사진에 담긴 인간의 몸이 줄 위에 프린트 되고 그것이 여러겹 겹쳐서 들어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지는 또 다른 입체화된 홍성철의 작품. 사진은 결국 입체적 사물의 평면화 라는 사진의 재현술을 주장하는 권정준의 작업. 작가자신의 내면적인 이미지를 여러 사진이 갖는 조형적 이미지 측면을 활용하여 객관화 시키고 있는 장승효의 작업이 있다.

한편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컴퓨터 이미지는 변형, 합성의 능숙한 기술로 대상세계가 여기에 걸려들면 달리 헤어날 길이 없다. 그러나 작가들은 이 최신기술로 오히려 근원적이고 고전적인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영역에 근접하고 있다. 그동안 터부로 낮게 인식 되어왔던 인간욕망의 살덩어리를 화려하고 마력적인 힘을 가진 고상한 실체로 표변 시키고 있는 김준의 작업. 그리고 전통 산수화의 웅장한 공간감을 프린트한 다른 이미지와 합성하여 그 속에서 유유히 노닐게 하는 설치물을 촬영한 임 택의 작품. 그리고 도형이나 도상을 다른 이미지로 합성하여 삼각형이나 원형, 혹은 대성당의 문설주조각상을 착각하게 만드는 착시효과를 노린 이중근의 작품이 있다. 영화 같은 사진, 연극 같은 사진 영역에서 매체상호통합적 관계를 준비과정까지 포함 시켜 실제와 비실제의 한계를 관객에게 묻는 작업을 한 정연두의 경우나 작가자신의 경험이나 기억을 이미지화한 무대를 연출하여 영상, 사진으로 기록한 정소영의 작업이 소개되고 있다.

사진예술의 외연의 확대와 더불어 한국현대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오늘날의 우리나라 젊은 작가들의 활발한 작품 활동은 이제 국지적인 미술의 협소한 공간성을 뒤로 하고 오늘을 사는 사람들의 공통된 과제를 앞서나가 풀어보려는 그래서 그 내용을 공유하려는 그네들의 의지력의 표출이라 하겠다. 모두가 지켜 볼 만한 일이다.

- Arts and Culture 2009년 9월호
<<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