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씨줄날줄] 초상화

김광일

‘나폴레옹 포즈’라고 불리는 특이한 자세가 있다. 한 손을 자신의 품속에 집어넣는 자세를 일컫는다. 나폴레옹의 초상화를 보면 바로 그 모습이다. 나폴레옹 외에도 모차르트, 스탈린, 마르크스, 워싱턴 등 유명인사들도 자신의 초상화에서 이런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를 놓고 “일부 명사들의 단순한 버릇”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일각에서는 “비밀 결사조직인 ‘프리메이슨’의 수신호”라는 주장도 있다.

품속에 손을 넣는 비밀 의식은 하느님이 모세에게 “손을 품속으로 넣으라.”라고 명령하는 내용의 성경 출애굽기에서 나온 것으로, 프리메이슨 회원 간의 신호라는 것이다. 댄 브라운의 소설 ‘다빈치 코드’에 나올 법한 얘기이지만 꽤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한다. 화가 스틸러가 그린 베토벤의 초상화는 춤추는 듯 머리카락이 날리는 것이 눈에 띈다. 법의학자 문국진은 저서 ‘명화와 의학의 만남’에서 “지병인 간경변의 증상”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이렇듯 초상화는 인물을 단순히 그리는 것에 머물지 않고 사회상이나 인물의 건강, 정신상태 등까지 보여 준다. 사실 초상화를 보면 ‘터럭 하나라도 다르지 않게’ 그린, 마치 사진을 찍어 놓은 듯한 초상화보다는 ‘내면의 진실’을 포착한 초상화가 더 눈길을 끌기 마련이다. 영조의 초상화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실물 모습 그대로를 그린, 몇 안 되는 왕 중 한 명이다. 초상화 속 영조는 상당히 말라 있는 모습이다. 채식 위주의 식단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숙종과 미천한 신분인 숙빈 최씨 사이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궁궐이 아닌 사가에서 일반인들의 음식을 접한 경험 때문일 것이라는 것이 은연중 초상화에서 드러난다.

그런 초상화가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정치 지도자에 대한 ‘충성 맹세’와 ‘체제 유지용’으로 변질됐다. 베이징의 톈안문 광장에 걸린 마오쩌둥의 대형 초상화나 구 소련 곳곳에 걸렸던 스탈린과 레닌의 초상화가 이를 말해 준다. 최근 북한전문 매체들은 북한 김정은의 초상화가 현지 암시장에 나왔지만 팔리지 않아 철시됐다고 보도했다. 평양과 청진 등지에 김정은의 초상화가 등장했지만 곧 팔리지 않자 자취를 감췄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지도자로서 인기가 없어서라고 한다. 게다가 각 가정에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김정일의 생모) 등의 초상화가 너무 많아 처리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는 북한 주민들 입장에서 과연 누가 그런 애송이의 초상화를 사겠는가. 초상화 인기로 보면 3대 세습은 실패한 것 같다.
<
-서울신문 2012.3.5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30503101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