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현장에서 - 이영란 선임기자> 火魔가 집어삼킨 국립미술관

이영란

대낮 광화문 일대를 검은 연기로 뒤덮었던 국립미술관 화재 현장은 13일 오후 불길이 잡힌 후로도 매캐한 연기로 가득했다. 시민들은 목을 조이듯 파고드는 기분 나쁜 연기를 손수건으로 막으며 바삐 오갔다.

경복궁에서 50m 떨어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화재는 우리의 아픈 기억을 건드렸다. ‘숭례문 트라우마’ 탓에 시민들은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이번 사고 또한 인재(人災)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완공을 서두른 정황이 여러 군데서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서울관 계획이 발표된 것은 2009년 1월 15일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기무사 부지를 미술계 오랜 숙원인 현대미술관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유인촌 당시 문화부 장관은 “기무사의 10개 건물을 리모델링해 2012년께 서울관을 완공하겠다”고 했다. OECD 국가 중 도심에 현대미술관이 없는 나라는 한국뿐이기에, 문화계는 이를 반겼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급히 먹는 밥은 체할 수밖에 없다.

건립 계획이 발표되자 설계당선작이 서둘러 발표되고 총사업비 2460억원, 연면적 5만2627㎡(1만5920평)의 건물을 20개월 만에 완공한다고 하자 ‘촉박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더구나 국립미술관은 한 나라의 문화적 수준을 보여주는 척도인 만큼 천천히 제대로 지어야 할 ‘특별한 건물’이다. 건립을 발표한 이 대통령은 착공식만 하겠다고 했으나 아랫사람들이 ‘임기 내 완공’을 독려했다는 비판 또한 들린다.

어쨌거나 ‘새로운 예술의 시작’을 슬로건으로, 런던과 뉴욕처럼 멋드러진 미술관을 만들려 했던 국립미술관은 최대 위기에 빠졌다. 따라서 이제라도 신중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기관을 만든다면서 비문화적으로 대응한 측면은 없는지 잘 살펴야 한다.

국민들은 급하게 만든 미술관보다 제대로 만든 미술관을 보고 싶기 때문이다.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한 이들을 위해서라도 미술관은 차제에 ‘문화예술’을 중심에 놓고 이 난제를 슬기롭게 풀어가야 할 것이다.

 

- 헤럴드경제 2012.8.14

http://view.heraldcorp.com/view.php?ud=20120814000435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