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의 美] 최고의 예술품을 찾아서 (5) 김정희의 불이선란도

편집부

글과 그림의 경계를 해체하는 書體 …混融의 극치 속에 살아나는 예술혼

서예 가운데 한국 역사상 추사체만큼 경지에 다다른 것으로 평가되는 작품도 드물다. 설문조사 결과 한국의 미술사가들은 모두 추사의 작품을 ‘최고의 글씨’로 꼽았다. 그 중에서도 ‘불이선란도’는 詩·書·畵의 일체를 보여주며 초서, 예서, 행서 등 다양한 글씨체를 혼융해내는 것에서 그 탁월함을 능히 알 수 있는데, 서예전공자인 이동국 씨가 이를 중심으로 추사체의 미덕을 살펴보았다. /편집자주
고도의 理念美를 전적으로 筆劃과 墨色으로 창설한 이로 추사(1786~1856)가 꼽히며, 그의 작품 중에서도 ‘불이선란도’는 최고 완숙미를 갖춘 작품이다. 혹자는 ‘세한도’를 앞세우기도 하지만 詩·書·畵의 혼융을 三絶로 완전히 보여준 ‘불이선란도’와는 성격이 다르다. 왜냐하면 ‘불이선란도’는 추사체가 완전히 농익어 소위 碑學과 帖學의 성과가 혼융·완성되는 말년의 작품이자 서예적 추상성과 불교적 초월성의 결정체이기 때문이다.
우선 작품의 구성을 보자. ‘불이선란도’는 이름 때문에 습관적으로 난초에 눈이 가게 되지만 글씨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 뿌리의 난화를 둘러싸고 한수의 題詩와 세 종류의 跋文, 自號와 다양한 印文의 낙관이 있기 때문이다. 난을 먼저 그린 후 제발을 했는데, 순서에 유의해서 봐야 그 내용적 맥락을 제대로 알 수 있다(표2 참조).
그런데 알고보면 시·서·화·각 등 다분히 이질적인 요소들이 主從의 관계없이 난화를 중심으로 돌아가며 절묘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런 조화로운 화면경영에는 그림과 글씨를 넘나드는 추사의 필법이 숨어있다. 이는 추사자신이 高踏을 추구하는 隱逸處士로서의 자부심을 표출한 발문에서도 밝히고 있는데, ‘草隸와 기이한 글자 쓰는 법으로서 그렸으니 세상 사람들이 어찌 알 수 있으며, 어찌 좋아할 수 있으랴(以草隸奇字之法爲之 世人那得知 那得好之也)’라고 한 데서 확인된다. 사실 ‘초예기자지법’은 문인화의 이상을 실천하는 방법론으로 동기창(1555~1636)으로부터 확인되지만, 추사처럼 蘭이라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형상을 극단적으로 관념화 해 점과 획으로 해체시킨 이는 드물다.
그림과 글씨영역에 따라 극도로 절제된 먹의 농담, 方圓의 필이 혼융되며 구사된 난의 줄기나 글씨의 획은 이미 둘이 아니라 ‘초예기자지법’ 한가지일 뿐이다. 나아가 점획의 太細나 長短 등 서로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조형요소가 그림과 글씨에 조화롭게 하나로 적용되는 데서 ‘불이선란도’의 아름다움은 역설적으로 奇怪와 古拙로 다가온다.
특히 <표1>의 1열과 2열의 ‘天’·‘達’·‘俊’·‘筆’ 과 같이 각종 획이 축약되거나 ‘有’·‘客’·‘蘭’·‘摩’와 같이 극도로 길게 강조되면서 이런 재미를 극대화하고 있다. 題詩의 章法을 봐도 <표2> ①-1의 첫 행에서 보듯 ‘不’와 ‘作’, ‘蘭’과 ‘花’의 大小대비나 예서와 행서·초서 등 서로 다른 서체의 운용을 통해 극단적인 변화 속에서도 조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표1>의 3열에서 보이는 ‘放’·‘筆’·‘可’·‘有’등과 같이 급기야는 필획마저도 뭉뚱그려지고 해체되면서 그림과 글씨의 경계를 없애기까지 한다. 난의 잎 또한 50세 전후 완성된‘난맹첩’의 작품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엄격한 비수와 三轉의 묘미와, 더불어 통상적인 鳳眼이나 象眼도 생략되거나 무시되면서 그저 점획으로 해체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기와 고졸의 미가 唐楷의 正法을 토대로 西漢 예서의 고졸함을 획득한 秋史體의 완성지점과 그대로 만난다는 사실이다. 즉, 추사체의 미감은 단순히 글씨에 국한된 것도 아니며, 奇하고 怪함 또한 바름(正)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음을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불이선란도’의 진정한 가치는 몇 줄기의 극도로 절제된 필선으로 글씨 쓰듯 그림을 그린 것에만 있지 않다. 요컨대 작가가 궁극적으로 말하려던 것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난 주위의 여백에 추사 특유의 강건 활달하고, 서권기 넘치는 필체로 쓴 제시나 발문, ‘仙客老人’·‘曼香’과 같은 自號나 ‘樂文天下士’·‘金正喜印’·‘古硯齋’ 등의 인문이 가득해 오히려 시문과 글씨가 주가 된다. 사실 그림은 속성상 자연물의 외형적 묘사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는데, 추사는 畵題를 통해 난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자신의 심회를 드러내고 있다.
“난을 치지 않은지 20년/ 우연히 본성의 참모습을 그려 냈구나/ 문 닫고 찾고 또 찾은 곳/ 이 경지가 바로 유마 불이선일세”(不作蘭花二十年 偶然寫出性中天 閉門覓覓尋尋處 此是維摩不二禪). 이 화제를 통해 우린 추사가 난초 그림의 畵意를 ‘불이선’에 견주고 있음을 알게 된다. 요컨대 시를 통해 제시된 ‘불이선’의 화두는 초예와 기자의 글씨·그림으로 현현된다. 이러한 ‘不二’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維摩詰所說經’의 入不二法門品에 나온다. 유마가 “절대 평등한 경지에 대해 어떻게 대립을 떠나야 그것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문수가 답하기를 “모든 것에 있어 말도 없고, 설할 것도 없고, 나타낼 것도, 인식할 것도 없으니 일체의 문답을 떠나는 것이 절대 평등, 즉 不二의 경지에 들어가는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하고선, 다시 어떻게 생각하냐고 되물었다.
이 때의 상황을 유마경에선 “유마는 오직 침묵하여 한마디도 입을 열지 않았다”고 기록한다. 모든 행동이나 언어의 표현은 신발 위에서 가려움을 긁는 것과 같아 진실에 다가가고자 하나 도달하지는 못한다는 것인데, 이는 유가의 性이나 敬과도 통한다. 추사는 그런 경지를 한 포기의 난을 치며, 제시와 글씨를 통해 생각했던 것이다.
이상에서 보듯, 추사의 문인예술가로서 위치와 미덕은 한마디로 ‘혼융’, 즉 관념과 사실, 법도와 일탈, 유·불, 시서화, 서법과 화법, 碑派와 帖派를 아우르는-에 있다. 추사체가 전대 글씨와 차별성을 갖는 이유도 혼융의 미에서 발견된다. 조선의 이용, 한호, 이광사는 비록 중국의 조맹부나 미불, 동기창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왕희지를 글씨의 궁극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추사는 여기서 나아가 글씨의 이상을 王法 이전의 서한 예서에서 찾고 있다. 서예미학적 관점에서도 그 기저는 다같이 5백년 조선유학을 토대로 하고 있지만 초기 왕조 개창기의 화려함, 중기 도학시대의 엄정함, 후기 실학시대의 개성적인 아름다움위에 추사는 엄정함과 개성이 禪氣 가득한 기괴와 고졸과 하나 되는 지점위에 서 있는 것이다.
고인이 된 동주선생은 완당에 대해 ‘청조취미가 淸人의 작품도 脫態하여 자기의 것을 만드는 특유한 소질을 가졌고, 고관대작과 더불어 문인, 묵객, 역관, 釋家에 까지 문인화의 새 바람을 집어넣고 심지어 직업화가에까지 문인풍을 흉내 내게 하는 완당바람을 만들었지만, 이것이 오늘의 시점에서 뒤돌아보면 한국이라는 땅에 뿌리 뻗고 자라날 그림의 꽃나무들을 모진 바람으로 꺾어 버린 것 같다’고 피력한 바 있다.
이는 ‘완당바람’이 진경산수화 등 사실주의 화풍의 발전을 가로막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필자는 의견을 달리한다. 이유는 이미 겸재와 단원에 의해 진경산수와 풍속화가 절정에 다다랐으며, 추사에 의해 마지막으로 문인화가 완성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요컨대 추사는 유·불을 넘나들며 글씨와 그림을 하나 되게 하며 그림의 지평을 글씨로까지 제대로 넓혔던 인물인 것이다.

이동국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학예연구사)
출처-교수신문 5.22

▒▒▒▒▒▒▒▒▒▒▒▒▒▒▒▒▒▒▒▒▒▒▒▒▒▒▒▒▒▒▒▒▒▒▒▒▒▒▒▒▒▒▒▒▒▒▒▒▒

中·日 서예와의 비교
奇怪와 古拙 유사 … 경지는 달라


▲정섭 作 ‘난죽석도’, 지본수묵, 240.3×120cm, 상해박물관 소장, 18세기(왼쪽). 이케노타이가 作 ‘裴迪의 ‘竹籬館’시’, 지본수묵, 130.9x57.5cm, 개인소장, 18세기. ©
추사의 난과 영향관계를 따질 때 꼭 짚어야 할 인물은 중국의 정섭(1693~1765)이다. 그는 시·서·화 삼절에다 난죽과 隸·楷·行의 破體인 ‘六分半書’로 이름을 날렸는데, 이 중 파체의 기괴나 고졸의 미학으로 寫蘭에 잠심하는 모습은 추사에게 많은 영향을 줬다. 특히 ‘불이선란도’의 ①②와 같이 좌에서 우로가는 題畵방식이나 파체는 정섭에게 먼저 보인다.
또한 ‘불이선란도’와 ‘난죽석도’의 화제를 비교해 봐도 두 작품 모두가 파체서가 역력한데, 결구상 전반적으로 어깨가 올라간 정방형에 행서기미의 예서필법을 지극히 정적인 글씨로 구사하고 있는 정섭이나, ‘作’·‘花’·‘千’,‘是’,‘之’,‘達’,‘客’ 등과 같이 행서를 중심으로 예서와 초서의 필법과 결구를 혼융해 쓰는 추사는 동일한 방법론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난죽석도’는 전대 작가들과는 달리 정섭에 이르러 ‘난의 형상과 화제글씨의 필획을 대등하게 통합시킨다’는 평가를 감안하고 보더라도 여전히 그림 글씨가 구도나 필법상 따로 배치되고 있을 따름이지, 추사의 ‘불이선란도’처럼 구도와 필법에서 그림과 글씨가 경계없이 하나로 넘나드는 지경에까지 이르지는 못한다.
더구나 여기에는 난잎의 분방한 動勢를 다분히 인위적이고 정적인 정방형구도의 예서 필의의 화제가 억누르고 있어 부자연스러움이 노출돼 있다. 그림의 필법 또한 글씨에서 체득한 예서의 금석기운이 그대로 녹아들어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불이선란도’에서는 더 이상 난잎이 아니라 글자의 획이기도 하고, ‘不’·‘花’·‘天’·‘閉’·‘之’·‘爲’·‘達’·‘俊’·‘放’·‘有’ 등은 글자나 획이 아니라 난잎이자 꽃인 것이다. 나아가 화면을 크게 나선형 대각으로 가로지르며 바람을 맞서는 난잎의 역동성을 행초와 초서기운의 예서 화제가 뒷받침함으로써 화면의 생기를 배가시키고 있다. 여기가 바로 추사가 문을 닫고 찾고 또 찾은 ‘불이선’의 세계이고, 추사가 정섭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경지인 것이다.
사실 정섭 시대는 古隸는 물론 팔분예서조차 본격적으로 소화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림에서 고졸한 재미는 없다. 그러나 추사는 팔분과 고예는 물론 전서, 해서, 행서를 녹여낸 파체의 필획으로 사란에 임함으로써 그 그림의 맛이나 경지 또한 기괴·고졸 등 이전의 어느 누구도 이룩하지 못한 데 까지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일본의 경우 같은 한자문화권이지만 문인사대부 층이 아닌 무사계급이 정치·문화를 주도해갔다. 따라서 글과 그림에서도 禪僧들이 주도가 돼 선필이나 선묵을 구사해, 한·중과 비교할 때 문인화는 취약한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문인화가가 없었던 건 아니다. 에도시대에 들어서 유학이념에 의한 정치는 새로운 문예를 부흥시켰다. 특히 중기에 활동한 이케노타이가(1723~1776)를 꼽을 수 있는데, 명청대 문인품격의 서풍을 견지한 서예가로서 뛰어난 필력을 바탕으로 중국적 문인화를 일본적으로 소화시킨 인물이다. 그는 讀萬卷書하고 行千里하는 문인교양을 몸소 실천하기위해 일본 여러 지방을 주유하며 자연을 깊이 관조해 풍부한 조형으로 정신을 담아내는 제작태도를 견지했다. 일본적인 문인화를 구축한 이로서 그를 추사나 정섭에 견주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케노타이가의 경우 당시 일본의 보편적인 서풍에서 보듯 여전히 王法에 머물러 있어 그 이전의 전예를 비첩으로 종합해낸 추사에는 미치지 못한다 하겠다.

이동국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학예연구사)
출처-교수신문 5.22
▒▒▒▒▒▒▒▒▒▒▒▒▒▒▒▒▒▒▒▒▒▒▒▒▒▒▒▒▒▒▒▒▒▒▒▒▒▒▒▒▒▒▒▒▒▒▒▒▒
이광사의 東國眞體와 석봉의 강한 필획 ‘탁월’
한국 최고의 서예 전문가 조사
김정희의 불이선란도 ★★★★★★★★★
이광사의 두보시 ★★★★★
한호의 두보시 ★★★★

▲이광사가 쓴 두보시, 35.2×23.2㎝, 18세기(왼쪽). 한호가 쓴 두보시, ‘한석봉증유여장서첩’ 中(보물 제1078호), 감지에 금니, 25.5×20㎝, 조선 16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한국 최고의 서예를 꼽는 데 있어, 총 9명의 전문가들 모두 추사의 글씨를 “가장 탁월한 작품”으로 평가했다. 隸書에 바탕을 두고 각 서체의 조형미를 융합한 데서 “돌의 거친 질감과 견고함, 강함을 느낄 수 있다”라는 평이다. 특히 추사체의 조형미와 글씨는 한국과 중국을 아우르는 역대의 서예사 속에서 “모든 이상적 요소를 통합해 표출해낸 완성체”라며 추천되었다.
왕희지의 해서체를 위시해 중국의 옛 비석 글씨를 연구, 재구성해 東國眞體라는 서풍을 이뤄낸 것으로 평가되는 이광사의 글씨 또한 5명의 추천을 받았다. 특히 그의 작품 가운데서도 두보시가 최고로 꼽히고 있는데, “一陰一陽하는 자연의 도에 바탕했기에 의기가 횡출하고 변화가 무궁하게 되었으며, 화려함을 함축하고 그 근골을 힘있게 했다”는 평가다. ‘석봉체’라 불리우는 한호의 글씨 역시 “강한 필획으로 굳세고 개성적인 서체를 보여주며, 조선 고유의 색감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그의 초서는 강함과 아름다움이 잘 어우러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외에 김생의 전유암산가서, 허목의 애민우국, 양평대군의 몽유도원도 발문, 안평대군의 소원화개첩, 최치원의 쌍계사진감선사비,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탄연 문수원기, 신위 시고 등도 ‘훌륭한 글씨’로 거론되었다.
추천해주신 분들: 박도화 문화재청, 박은순 덕성여대, 이내옥 부여박물관장, 이원복 광주박물관장, 이태호 명지대, 정병모 경주대, 조선미 성균관대, 한정희 홍익대, 홍선표 이화여대 교수, 이상 총 9명 가나다순.

이은혜 기자 thirteen@kyosu.net
출처-교수신문 5.2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