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박물관 100년의 사람들]3.김리나 교수가 말하는 아버지 故김재원 초대 국립박물관장

김리나


“美외교관 제보로 1·4후퇴前 유물 피란”
“25년의 오랜 세월을 박물관에서 살았고 나의 세계는 모두 박물관 창문을 통해 보고 경험한 세계였다. 그것은 결코 화려하지도 않았으며 영달이 약속된 길도 아니었다.”
1945∼1970년 국립박물관의 수장으로 초기 한국 박물관의 기틀을 다진 김재원 초대 국립박물관장(1909∼1990)이 자서전 ‘박물관과 한평생’에서 남긴 말이다.
최선주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팀장이 김 전 관장의 딸 김리나 홍익대 명예교수(67)를 만났다. 한국 미술사의 원로인 김 교수는 아버지의 자서전을 펴낸 바 있다.
최선주=광복 직후 한국은 박물관이 어떤 곳인지조차 잘 모르는 시절이었죠. 김 전 관장님의 삶은 초기 한국 박물관의 역사나 다름없습니다.
김리나=아버지는 일제강점기 독일 등에서 10년간 유학하며 박물관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외국어에 능통해 미군정과의 의사소통이 자유로웠죠. 한국인이 주도한 첫 고고학 조사인 1946년 경주 호우총 발굴도 미군정과 교섭해 허락을 받아냈습니다. 성품이 강직해 미 군정청이 경복궁에 야전 건물을 짓는다며 당시 경복궁 안에 있었던 국립박물관 앞뜰을 파헤치자 언론에 알려 사회 이슈로 부각시켰다가 미군정의 조사를 받기도 했어요.
미군들이 경복궁 안의 민속 유물을 기념품이라며 몰래 가져가던 시절이었다. 김 전 관장은 이를 막기 위해 관장 직을 맡자마자 경복궁 경안당 관사로 이사했다. 관장이 된 뒤 지방에 있던 금동반가사유상, 금관 등 유물을 서울로 옮겼다. 개성부립박물관을 편입해 서울 본관, 경주, 부여, 공주, 개성 분관 체제가 갖춰졌다.
6·25전쟁 때 박물관은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았다. 1950년 9월 28일 서울 수복 이전 공산당원들이 유물을 북한으로 가져가려 한 것. 박물관 직원들은 지연작전을 폈다. 3일 동안 포장한 유물이 불과 9점. 포장 뒤엔 유물 기록을 빠뜨렸다며 포장을 풀었다. 국군이 서울에 다다르자 북한군이 후퇴했고, 유물을 납북 직전에 겨우 구할 수 있었다.
최=이후 유물이 어떻게 부산으로 내려왔습니까.
김=1950년 12월 부산 미국 공보원장인 유진 크네즈 씨가 중공군이 압록강을 건넜다는 정보를 몰래 알려줬습니다. 아버지는 유학 중 전쟁으로 문화유산이 파괴되는 것을 봤기 때문에 유물의 위험을 직감했습니다. 정식 공문을 받지 않고 문교부 장관 개인의 영문 문서로 허락받았어요. 정부의 유물 피신 사실이 알려지면 시민의 동요를 막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해서 1951년 1·4후퇴 한 달 전 유물을 미군 트럭에 싣고 부산에 도착했습니다.
전쟁이 끝나도 박물관의 시련은 계속됐다. 박물관 건물 자리가 없었다. 누군가 학교에 국립박물관을 마련하라고 했다니 박물관을 대하는 인식 수준을 알 수 있다.
김=이승만 대통령은 박물관 본래의 자리인 경복궁 안은 안 된다고 했습니다. 서울 중구 예장동 국립박물관 남산 분관에 자리를 잡았지만 연합참모본부가 사용하겠다고 나섰죠. 결국 아버지가 이승만 대통령을 만난 뒤 덕수궁 석조전을 얻었습니다.
김 전 관장은 한국이 전쟁으로 파괴되고 헐벗은 이미지로만 해외에 알려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우리 문화의 수준을 해외에 알려야 한다는 신념으로 국립박물관에서 나온 책을 전부 해외로 보냈다. 1964년 영어로 된 박물관 도록을 처음 내기도 했다. 백미는 1957∼1959년 사상 첫 해외 전시. 미국 워싱턴국립미술관,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등 8개 미국 박물관에서 금동반가사유상, 금관, 고려청자 등 유물 195점을 선보였다. 이 전시는 1957년 12월 15일자 워싱턴포스트지 1면을 장식했다. 1961∼1962년에는 영국 네덜란드 포르투갈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잇따라 국보 전시가 열렸다.
최=국내 전시도 힘든 시절이었는데요.
김=기획 교섭 전시 준비까지 혼자 하셨죠. 1960년대에는 이탈리아 전문가의 도움으로 국립박물관 소장 서역벽화의 보존처리를 시도했습니다. 당시 한국은 보존과학 개념 자체가 없던 시대였어요. 세계와 호흡하는 한국 문화에 대한 신념이 강했던 ‘세계인’이었습니다.
김 전 관장은 우리 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알기 위해서는 외국 것을 공부해야 한다며 젊은 연구자들에게 유학을 적극 권하고 도왔다. 현재 문화재위원장인 안휘준 명지대 석좌교수도 김 전 관장의 도움을 받아 미국 유학을 다녀왔다.
김 교수는 “그 뜻을 이어받아 4월 8일 ‘제1회 여당 김재원 박사 기념 학술사업회’ 연구지원비 수여식을 연다”고 말했다. 사업회는 매년 해외에서 연구, 자료 수집을 하려는 미술사 연구자 1명을 선정해 1000만 원을 지원한다.
- 동아일보 2009. 윤완준 기자
>>김리나교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