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윤중식10주기 추모전 《회향懷鄕》, 성북구립미술관

김달진



윤중식10주기 추모전 《회향懷鄕》

2022.3.30 - 7.3

성북구립미술관







한국 근현대 미술사의 주요 작가인 윤중식의 타계10주기를 추모하는 기획전시 《회향懷鄕》을 2022년 3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성북구립미술관에서 개최한다.









작가 윤중식




앞서 지난 3월 11일 서울 성북구와 故윤중식 작가의 유족은 ‘故윤중식 작품 기증을 위한 협약식’을 성북구청에서 개최하였다. 故윤중식 작가의 유족은 살아생전 성북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있었던 작가의 유지를 받들어 주요 유화 71점을 포함하여 드로잉, 자료 등 총 500점을 성북구립미술관에 기증하였다. 이와 같이 근현대 주요 서양화가의 작품과 자료 대부분이 지역의 공공미술관으로 환원되는 것은 선례를 찾기 힘든 일로서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향후 지역과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한 근현대미술 연구 또한 추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작가 화실




이번 《회향懷鄕》전은 故윤중식 작가와 유족의 작품 기증의 의미를 기리는 전시이자 2012년 성북구립미술관에서 열린 윤중식의 상수(上壽: 100세)전 이후 10년 만에 개최되는 추모전으로서 한 세기에 걸친 작가의 인생 여정과 작품 세계를 총망라한다. 전시에서는 윤중식이 1950년대 초부터 2012년 작고 전까지 그린 풍경화를 비롯하여 인물화, 정물화, 삽화 등 시대별, 장르별로 선별된 총 14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또, 그 동안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유작과 함께 작가의 삶과 예술세계를 보다 입체적이고 다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유품과 자료, 아뜰리에 재현 공간 등이 함께 전시된다. 전시는 3층에서 2층으로 풍경, 비둘기, 인물 그리고 정물, 6. 25 전쟁 드로잉시리즈, 아카이브로 구성하여 비교하며 볼 수 있게 꾸몄다.




6.25 전쟁 드로잉


‘석영(夕映)의 화가’, ‘황혼의 화가’ 등으로 불리는 윤중식 작가는 평생에 걸쳐 석양빛으로 물든 전원 풍경을 주로 그려왔다. 작품에 등장하는 노을 진 강변과 섬, 들녘과 농촌의 풍경 등은 작가가 늘 그리워했던 고향의 풍경이자 우리 민족의 서정과 향수가 깃든 풍경이다. 그 중에서도 밝은 색채와 검은 윤곽선의 강렬한 대비가 두드러진 아침∙저녁 나절의 풍경과 추수가 끝난 가을 들녘의 애잔한 풍경은 윤중식만의 회화적 독자성을 명료하게 드러내고 있다. 특히, 70년대를 전후로 두드러진 노랑, 주홍색이 주조를 이루는 석양빛 색채미와 도식화된 단순화, 안정된 수평구도 등은 그의 작품을 일관하는 양식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무제  1983  26.6×35.8cm, 종이에 유채,


이번 전시에서는 50, 60년대의 작품인 <풍경>(1953), <고깃배>(1962) 등을 비롯하여 작가의 화풍이 무르익었던 1970~80년대의 작품 <가을>(1974), <성북동 풍경>(1980) 등과 말년의 작품 <석양>(2004), <무제>(2012) 등 각 시기별, 주제별 특징을 아우르는 대표 풍경화 30여 점도 전시되었다. 풍경과 더불어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비둘기’는 윤중식 작품의 주요 모티브이다. 어린 시절 정미소를 운영하던 그의 집에는 실제로 비둘기 1백 여 마리가 살았었고, 그는 처마 밑에 비둘기집을 여러 개 만들어 달아주며 직접 새들을 키웠다. 6.25전쟁이라는 비극과 함께 실향민이 된 윤중식에게 비둘기는 그의 마음 속 고향이자 희망과 평화를 상징하는 소재가 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비둘기>, <새> 등 구상에서 반추상을 아우르는 20여 점의 작품이 한 공간에 어우러져 연출되었다.



김경민학예사, 김달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