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서울미술관의 개관 10주년 기념전 《두려움일까 사랑일까 Fear or Love》

김달진



《두려움일까 사랑일까 Fear or Love》

2022.4.13 - 9.18

서울미술관






서울미술관의 개관 10주년 기념전 《두려움일까 사랑일까 Fear or Love》는 대규모 기획전시가 4월13일부터 9월18일까지 약 6개월 간 열린다. 2012년 8월 29일, 종로구 부암동에 개관한 서울미술관은 개관 후 약 10년 기간 동안 누적관람객 수 100만 명을 기록했다.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명작들을 아우르는 소장품 전시부터 동시대에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젊은 현대미술작가를 소개하는 전시까지, 서울미술관은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다양한 기획전시를 선보이며 많은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박수근_우물가(집)_1953_캔버스에 유채_78.5x99cm



이중섭_황소_1953_종이에 에나멜과 유채_35.5x52cm



올해로 개관 10주년을 맞이한 서울미술관은 개관 10주년 기념 전시 《두려움일까 사랑일까 Fear or Love》를 선보인다. 본 전시는 ‘두려움’과 ‘사랑’이라는 양가감정을 기반으로, 시대의 고난과 개인적인 어려움 속에서 고뇌하면서도 창작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고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이룩한 한국근현대 거장 31명의 주요 작품 140점을 집대성했다. 소장품 규모가 서설미술관으로는 리움미술관 이은 두번 째이다.


1부 [그리다 draw]의 전시작가: 박생광, 도상봉, 박수근, 김기창, 천경자, 임직순, 유영국, 이대원, 한묵, 이중섭, 김환기, 최영림, 김상유, 문학진, 이응노, 황영성, 류병엽, 이왈종, 강익중, 고영훈, 손석, 전광영 (전시 동선 순) . 전시의 1부 [그리다]에서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 이중섭의 <황소>(1953)를 비롯하여, 제2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한 박수근의 대작 <우물가(집)>(1953), 환기블루의 마스터피스라 불리는 김환기의 <십만 개의 점 04-VI-73 #316>(1973), 미술 교과서의 표지인 도상봉의 <정물>(1954), 천경자의 자전적 기록이라 일컫는 <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1976) 등 한국미술사의 걸작을 만나볼 수 있다.



천경자_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_1976_종이에 채색_130x162cm



전시 출품작 중 김환기의 <아침의 메아리 04-VIII-65>(1965), 도상봉의 <국화>(1973), 한묵의 <푸른 나선>(1975), 황영성의 <소의 침묵>(1985), 정상화의 <무제 12-3-5>(2012)는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하는 서울미술관의 소장품이다.



전시의 2부 [바라보다 share]는 색채를 뛰어넘어 한국 미술의 우수한 정신성과 철학을 기품 있게 담아낸 대작들을 만나볼 수 있다. 참여 작가: 김태호, 정상화, 이우환, 김창열, 서세옥, 이건용, 박서보, 곽인식, 권영우 (전시 동선 순). 2부에서 소개하는 김창열, 박서보, 이우환, 정상화 등의 작가들은 ‘K-아트’로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는 단색 화가들로, 눈에 보이는 형상 보다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과 이를 표현하는 신체의 행위에 집중하며 대상의 본질을 파악한다. 본 전시에서는 300호가 넘는 초대형 걸작들을 통해 예술가들이 작품을 제작하며 감수해야 했던 육체적 고통과 그 안에 담긴 숭고한 정신성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김환기_아침의 메아리 04-VIII-65_1965_캔버스에 유채_177x126.5


이번에 최초 공개하는 김환기의 <아침의 메아리 04-VIII-65>(1965)가 2부 전시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아침의 메아리 04-VIII-65>는 김환기 화백의 뉴욕시대 대표 초기작으로, 서울미술관의 지난 10년이 메아리처럼 울려 퍼져 더 깊은 감동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의 10년을 묵묵히 걸어가겠다는 다짐을 담고 있는 서울미술관의 신소장품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캡션 옆에 작품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 설명문과 더불어, 서울미술관의 설립자 안병광 회장의 미술품 소장 이야기를 「수집가의 문장」으로 만나볼 수 있다.


안병광 회장


서울미술관 M2


석파정 일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