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홍주와 정광호

박영택

김홍주와 정광호는 개념이나 언어의 덫에서 빠져나오려 한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드러내려하지 않고 대상을 상징화하는 것에도 반대한다. 그림의 의미란 작품 안이 아니라 바깥에서 형성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둘의 그림/조각은 오로지 망막에 호소한다. 망막의 표면에 강렬하게 다가와 부딪힌다. 그러니까 이들의 작업은 철저하게 눈으로 표현한 것이다. 망막이 보고 느끼고 표현한 것, 눈으로 그리고 만들어나간 것이다. 두뇌가 아닌 눈을 써서 그리고 손을 움직여 만들어나간 것이다. 김홍주가 꽃잎이나 잎사귀만을 커다랗게 그린다면 정광호는 꽃과 잎사귀의 피부를 선으로 재현한다. 사물의 표면, 피부에 기생하는 것이 이들의 작업이다. 둘 다 엄청난 시간을 요구하는 작업을 몸으로 떼우면서 해나간다. 누구도 대신할 수 없고 기계적으로 다루어질 수도 없다. 그것은 시간을 죽이는 일이자 시간의 축적과 밀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다. 시간의 두께 없이는 결코 만들어질 수 없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누적시켜서 나오는 결과에 탐닉하고 있다고 말할수 있을 것이다. 시간은 노동으로 연결된다. 이들은 하찮다고 여겨지는 노동을 통해서 작업을 하고 그 노동행위가 의미심장한 발언이 되고 있음을 은연중 일러준다.

아울러 김홍주는 붓질, 선을 촘촘히 오려놓아 기이한 화면의 피부를 얼룩지게 했다면 정광호는 선을 이어나가면서 그것이 문득 모종의 형상을 만들어나가는 형국을 보여준다. 붓질, 선은 그림과 조각의 가장 기본적인 시작이자 회화와 조각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것이다. 그런가하면 선을 지극히 추상적인 것이다. 세밀한 붓으로 정교하게(?) 혹은 끔찍할 정도로 미시적인 접근을 가한 회화적 이미지와 얇은 구리선을 섬세하고 정교하게 이어나간 자국으로 만들어낸 조각적 이미지는 매우 유사하다. 김홍주가 캔버스의 피부, 천의 올 하나하나에 물감과 붓질, 선을 올려놓고 문질러놓는 방식은 회화가 독특한 피부를 보여주는 것임을 상기시킨다. 동시에 그렇게 만들어진, 변형된 피부는 독특한 오브제, 사물이 되면서 회화와 오브제 사이에서 기이하게 놀이한다. 정광호가 가볍고 유연한 구리선을 무심하게 이어 붙여나가면서 형태의 표면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은 흡사 김홍주가 선/붓질을 촘촘히 올려놓으면서 슬쩍 형태를 보여주다가 면과 부피를 엿보여주는 과정과 닮아있다.




결국 이 둘은 회화의 피부와 조각의 피부를 보여준다. 회화란 결국 피부의 문제일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은 자명해 보인다. 반면 정광호는 조각과 회화 사이로 파고 들어간다. 아니 조각과 회화의 개념적 경계를 부단히 넘나드는 것 같다. 김홍주는 회화의 물리적 조건인 캔버스 천과 환영 사이를 또한 헷갈리게 넘나든다. 둘 다 월경을 도모하고 이것이기도 하고 저것이기도 하면서 그 둘 사이의 완강한 틀과 경계를 유유히 빠져나가는 이들이다.

김홍주는 실재와 회화적 환영간의 간극을 보여준다. 꽃잎이나 잎사귀는 세필로 섬세하고 완벽하게 표현되었으며 이 작가 특유의 세련된 화면 구성에 힘입어 새로운 형상성의 매력을 발휘한다. 그에 의하면 그림의 의미는 그림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그려진 바탕과 그림의 경계를 넘어서 있는 것들과의 관계 속에서 생산된다. 개개의 그림들이 그것이 놓여진 공간, 그림과 그림의 관계, 보는 자의 맥락 속에서 경험되어 짐과 동시에 의미가 생성되리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를 이미지로 있게 하는 전통적 회화 언어이기 보다는 이미지 자체가 오브제화 되는 회화적 장치를 능란하게 다루는 그는 회화적 아이러니를 잘 알고 있는 작가다. 밑칠을 하지 않은 캔버스(리얼 오브제)를 이용해 그린 곳과 안 그린 곳의 미묘한 관계를 문제 삼고 회화적 재미를 교묘히 감추면서 즐겨 사용하는 매력, 그리고 캔버스의 조직과 붓 자국이 함께 어우러져 서로 동질화된 상태로 화면을 만들어 보는 이의 시선을 이완시켜 회화적 착각에 빠지게 한다. 그의 그림은 또 한 수를 놓은 것 같이 세밀하면서도 촉각적인 필법에 의한 무수한 시간의 축적, 노동에 힘입어 이루어졌다.




정광호의 조각은 무엇보다도 마티에르가 결여되어있다. 무게도 윤곽도 부재한 이 작품은 그물망의 균열을 보여주며 이는 시선을 끌어들이지 않고 마냥 관통시킨다. 용접에 의한 구리선의 번식은 공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증식하며 용접의 순간적 묘미가 강조된 선은 즉흥적, 자발적이다. 3차원의 공간과 평면의 중간항을 교차하면서 평면과 입체의 애매한 성격을 지닌 이 작품은 조각이란 입체예술이 지닌 덩어리와 무게라는 전통적인 정의를 마냥 거부하고 있다. 그려진 대상이 실재하는 대상 자체는 아니듯 만들어진 대상이 실재를 연상시킨다. 해도 결코 그것이 될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눈으로 볼 수 있는 실재와 재현된 이미지 사이의 유사성을 동일시함으로써 보는 이들은 스스로 마술에 걸려들고 만다. 일루전으로서의 이미지란 실재를 드러내는 데는 어느 정도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으며 우리가 이미지를 실재라고 믿는 순간 실재는 개념 저편으로 사라져버린다는 사실을 새삼 환기시키고 있다.

그러니까 그의 조각은 회화적, 시각적인 대상인 동시에 사물성을 보유한다. 이 비조각적 조각은 추상적, 회화적이며 동시에 드로잉적인 조각과 미니멀 조각의 사물성 사이의 접점에서 다층적 의미를 확보한다. 3차원의 사물로 인지하던 관람자의 시선은 작품에 다가서는 순간 표피와 내피가 하나가 되어 겹쳐진 2차원의 가느다란 금속선만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와 그림이 같은 공간, 내면의 정수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표피, 사물의 본질로서의 껍질형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선으로만 이루어진 극히 가벼운 선의 조각이기도 한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