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일기예보전-김윤수

하계훈

일상의 사물을 골판지로 감거나 발자국과 같은 형태를 투명비닐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반복하여 중첩시키는 작업을 해온 김윤수의 작품은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이나 프랙탈 도형이론으로 설명되어 왔다.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형태적으로는 반복을 이야기 할 수 있다면 시각적 표현의 주된 색상 면에서는 청색을 이야기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번에 출품된 울트라마린을 모티브로 한 김윤수의 작품들은 작가의 말대로 푸른 심연의 바다의 색이며 창공의 푸른색이다. 미술사상으로도 화가들 가운데 푸른색에 탐닉한 작가들이 많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이브 클라인은 자신만의 청색을 개발하였고, 피카소는 친구 카사게마스의 죽음을 계기로 수년 동안 청색을 주조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소위 청색시대를 지내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빈센트 반 고흐는 노란색이 이승의 색이라면 청색은 천국의 색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번에 출품된 김윤수의 작품들은 모두 이러한 청색을 사용하고 있다. 긴 투명비닐이 천정으로부터 늘어뜨려진 화면 위에 울트라마린의 폭포가 분수처럼 솟아 넘치는 <마음의 폭포>와 마치 작은 병풍처럼 몇 겹으로 접을 수 있는 패널을 연속적으로 부착한 또 다른 작품 <마음의 폭포>를 통해 작가는 현실과 가상을 구분하기 어려운 시공간을 심상에 접목하여 간결하면서도 강렬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시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또 다른 작품 <네 개의 구멍>은 앞의 작품들보다 훨씬 개념적이며 이미지를 거의 소멸시킨 네 개의 청색조의 화면을 균등하게 전체 화면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면에는 마치 오래된 잡지의 체제처럼 왼편에서 오른 편으로 내려쓰기를 한 작가의 언술이 기록되어 있다. 의도적으로 내려쓴 듯한 그녀의 글은 마치 오래된 필자의 말처럼 세월과 권위의 무게를 갖으며 읽는 사람들의 의식을 압도한다. 그러나 정작 글의 내용을 살펴보면 말하지 못하는 눈이나 보지 못하는 귀와 같이 우리 감각기관의 고유한 기능을 엇바꾸어 놓음으로써 마치 초현실주의의 시를 읽는 것 같은 언어의 자학성과 함께 울트라마린의 변주에서 인체의 감각의 엇바뀜을 읽어내는 작가의 시각이 주는 신선한 자극이 느껴지기도 한다.

김윤수의 작품이 가벼운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결코 그 작품이 가볍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작가의 작업 과정의 노력과 작품에 대한 사유의 진정성이 배어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김윤수가 작품의 중요 모티브 가운데 하나로 삼고 있는 발바닥에 대한 작가의 생각은 매우 철학적이다. 직립 생활을 하는 인간에게 발바닥은 신체의 최하위 구조에 위치하여 온갖 노고를 다 감수하며 지면과의 압착 이외에 이렇다할 번듯한 일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발바닥이 인간의 머리나 팔과 같은 위상을 얻는 것은 누워있거나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이 이르렀을 때뿐인 것이라고 한다.

김윤수는 개념적인 작업과 함께 관람객과의 소통의 수단으로 텍스트를 자주 이용하기도 한다. 주변 사람들의 표현을 빌자면 김윤수는 시인처럼 자신의 작업을 둘러싼 사고의 발아에 관하여 문학적인 언술을 하고 있다. 명확함을 우리의 사고 영역을 제한하는 약속된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그녀의 작품을 논리와 증명에 의해 명확하게 설명하려는 우리의 시도는 어쩌면 스스로의 사고의 덫에 빠지는 위험성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작가의 작품과 언술을 관류하는 무심함은 동양적인 철학의 정화상태로까지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김정수의 작품은 관람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외면하고 선택적이고 제한적인 소통을 시도한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역시 그녀에게는 무의미할 수 있다. <하늘의 표면>이란 소품에서 김윤수는 하늘의 심상을 화면에 담아내는 자신의 작업을 간단한 글로 표현하면서 실제의 하늘과 캔버스에 담아낸 화면 속의 하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말장난으로 의심하고 있기도 하다. 김윤수와 같이 울트라마린을 둘러싼 작가의 말장난은 기대하지 않았던 시인의 물감놀이 만큼이나 신선한 자극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