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윤용욱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윤용욱_STUDYING LIGHT


갤러리바톤에서는 5월 28일 부터 윤용욱의 개인전 “STUDY ING LIGHT”이 개최된다.


새끼 손가락 한마디 크기의 수천 수만개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 이차원적으로 세밀하게 배열된 윤용욱의 작품은, 미술작품의 시각적 실제함을 뒷받침하기 위한 부차적 재료로써의 “빛(Light)”의 존재 가치에 대해 재고하도록 이끈다. 그의 작품에 있어 빛은 필수 요소이다. 여기서 필수 요소라 함은 일반적인 캔버스 작품에서의 빛의 역할, 즉 작품의 표면에 칠해진 물감과의 물리적 접촉 및 반사를 통해 타자에게 형태와 색을 인식시키는 일련의 작용 이상의 능동적인 소자로 작용함을 뜻한다.


페인터가 음영을 표현하기 위해 농담(gradation)를 조절하듯, 그의 작품에서는 빛의 강도와 위치, 각각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과의 조합에 따라 작품의 외형이 순간 순간 결정된다. 이러한 작품의 외형적 물성과 직결된 특징으로 인해, 타자는 무의식적으로 스스로 자리를 옮겨가면서 작품에 몰두하게 된다. 평면 작품이면서 마치 조각 작품을 대하듯 타자는 작가의 세계로 한 발 한 발 다가가게 된다.





작가의 오랜 경험이 농축되어있는 원형질이기도 한작은 플라스틱 조각은 통상적인 미술재료와의 연관성을 부정한다. 규칙과 불규칙이 반복되며 엄격한 행과 열의 진법에 의해 나열되는 단위 조각은 전체 이미지에 대한 부분적인 묘사에 무심하며 이로 인해 국지적으로 추상성을 띤다. 마치 디지털 이미지를 극한으로 확대하였을때 마주치는 정사각형 색면조각의 끝없는 배열과 유사하다.


윤용욱의 작품에서 빛은 일반적 회화에 있어서의 묘사된 선과 덩어리, 인접한 면과 다른 색으로 채색된 색면의 영역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빛에 반응한 조각들은 그 광원의 색과 광량을 반사시키며 작품이 설치된 공간의 특성에 민감하게 대응한다. 또한 채색된 플라스틱 조각 하나하나는 본연의 색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효과에 더해 마치 팔레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묘사된 이미지가 타자에게 보여지는 방식을 교묘하게 통제한다. 예를 들어 광원에 반응하는 각 조각의 방향성은, 특히 이미지 외의 영역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미지가 최종적으로 보여지는 형태에 직접적으로 간여한다. Van Gogh I (2012, Poly Styrene, 120 x 120cm)의 배경 부분을 보면 반사광을 절제하는 수준에서 머무르는 바, 고흐가 인접한 벽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듯한 효과를 나타낸다. 반면 Horse Head (2013, Poly Styrene,120 x 120cm)의 경우 배경 부분이 광원에 대해 “Off”로 설정되도록 배열되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빛을 최대한 흡수하면서 마치 구현된 이미지가 부유하는 듯한 착시 효과를 일으킨다.

수없이 많은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을 정교하게 배열함으로써 필수 요소로서의 빛의 능동적인 개입과 이미지와의 상호작용을 고찰한 윤용욱의 개인전“STUDYING LIGHT”에서는 작가의 신작 총 10점이 소개되며 7월 6일까지 이어진다. 


-GB-




윤 용 욱 (尹 用 旭) YUN YONG WOOK 

1965 강원도 춘천 生. 現 원주 거주 및 작업활동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서양화전공)졸업

강원대학교 미술교육과(서양화전공)졸업 


개 인 전

2009   미 공간 봄 (춘천) 외 3회


그 룹 전

2012 한국국제아트페어 (COEX, 서울)

                경남국제아트페어 (CECC, 창원) 

                아트쇼 부산, (BEXCO, 부산) 

                국제현대미술제 (나가타)

                 서울 오픈 아트페어 (COEX, 서울)


2011   Miami Red Dot Art Fair (마이애미) 

                제3회 서울아트페스티벌 (리츠칼튼 호텔, 서울)

                제12회 한국현대미술제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0   제11회 한국현대미술제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New Light Exhibition (갤러리신상, 서울)

2007   강원 현대 작가회 (박수근 미술관, 양구)   

2006   힘 있는 강원 전 (국립춘천박물관, 춘천)

                자연의 반영전 (방콕, 태국) 외 다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