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민석 건축 :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건축공학과 시대미학을 상상력으로 접목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조민석 개인전 
   - 건축의 완성 이전과 이후를 병렬식으로 구성하여 공간에 스토리를 부여
   - 지난 12년간 진행한 69개 프로젝트의 도면, 모형, 드로잉 등 283점 공개
   - 체계적 불균질성(Systematic Heterogeneity)을 추구하는 건축 세계 조망  

   □  전 시 명  :  조민석 개인전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
      □  기      간  :  2014. 11. 20(木) ~ 2015. 2. 1(日) (월요일 휴관)
      □  장      소  :  삼성미술관 플라토 
      □  출 품 작  :  69개 프로젝트, 283점 
      □  전시 프로그램
      강연회 및 워크샵  :  12/6,  12/20,  1/17, 1/24, 1/31 
      건축가와의 대화  : 11/29, 12/13, 1/10  

                
삼성미술관 플라토는 현대 미술과 함께 문화지형 변화를 주도해 온 건축영역에 주목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조민석의 첫 개인전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를 2014년 11월 20일(木)부터 2015년 2월 1일(日)까지 개최한다. 

건축가 조민석(66년생, 매스스터디스 대표)은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뉴욕 컬럼비아대학 건축대학원을 졸업했다. 세계적 건축가 렘 쿨하스의 OMA에서 근무하는 등 뉴욕과 네덜란드에서 활동했으며 2003년 매스스터디스를 설립하여 본인의 건축 세계를 구축해 오고 있다. 2000년 뉴욕 건축연맹이 주관하는 ‘미국 젊은 건축가상(Young Architects Award)’을 수상했고, ‘부티크 모나코’로 2008년 ‘국제 고층건물상(International Highrise Award: DAM) 톱 5’ 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0년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으로 ‘국제 박람회 기구(B.I.E)'의 건축부분 은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에는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커미셔너로 참여하여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한국의 차세대 건축가 중 가장 주목받는 건축가이자 현대 미술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조민석은 체계적인 건축 디자인 사업가임과 동시에 작가주의를 표방하는 섬세한 건축가의 모습을 함께 보여준다. 조민석은 주문 생산이라는 건축메커니즘 안에서 비판적이면서도 상황주도적인 태도를 견지하며 그만의 독창적인 건축을 고집스럽게 지켜 왔다. 

조민석의 건축관은 “체계적 불균질성”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그는 건축을 바둑과 비교하며, 바둑판의 규칙적인 선 안에서 기사가 자유롭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바둑을 두듯이, 건축가 역시 현실 인식과 고도의 지식, 그리고 몇 수 이후를 내다볼 줄 아는 통찰력을 갖춰야만 자신만의 건축관을 정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번 전시는 조민석 건축가가 처음으로 선보이는 개인전으로 2003년 매스스터디스 설립 후 12년간 진행한 69개 프로젝트의 사진 및 동영상 자료 뿐만 아니라, 건축가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살펴볼 수 있는 리서치, 드로잉, 도면, 모형, 자재 등 283점의 자료가 3개의  공간에 나뉘어 전시된다. 특히 주요 작품으로 ‘픽셀 하우스(2003)’, ‘링돔(2007)’, ‘실종된  매트릭스: 부티크 모나코(2008)’,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2010)’, ‘다음 스페이스닷원(2011)’, ‘오설록: 티스톤, 이니스프리(2012)’, ‘사우스케이프: 클럽하우스, 선라이즈 & 선셋(2013)’ 등이 건축 완성 이전(Before)과 이후(After)의 단계로 구분된 흑백 공간에 전시된다. 

글라스 파빌리온에는 750개의 훌라후프를 엮어서 만든 지름 9미터의 원형 임시구조물 ‘링돔’을 한국에서 최초로 선보인다. 뉴욕과 밀라노, 요코하마 등에 설치된 바 있는 ‘링돔’은 설치 공간을 원형의 강력한 기하학적 형태로 고정하는 동시에 개방된 모호한 공간으로 치환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건축물이다. 플라토는 공공성을 중시하는 조민석 작가의 건축 특성을 전시에 반영하고자, 전시 기간 동안 글라스 파빌리온을 시민들의 문화 휴식 공간으로 무료로 개방하는 한편 건축가와의 대화, 워크샵 등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관람객과 적극 소통할 계획이다.  

건축물 완성 이전을 보여주는 ‘Before(이전의 세계)' 전시장은 건축가의 창작이 실제로 이뤄지는 현실 속의 공간을 재현했다. 매스스터디스 사무실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공간에는 건축가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해왔던 과정의 결과물들을 전시했다. 이 중에는 실제 건축으로  완성되지 못하고 아이디어로 끝난 프로젝트들도 포함되어 있어서, 조민석 건축가의 상상력에서만 존재하는 다양한 아이디어의 결과물들을 살펴볼 수 있다. 

건물의 완성 후를 보여주는 ‘After(이후의 세계)' 전시장에서는 무수한 타협과 충돌 끝에 현실세계에 모습을 드러낸 건축물의 사진과 동영상 자료들을 볼 수 있다. 대개의 건축가가 건축 완공 이후의 변형된 모습의 공개를 꺼려하는 것에 반하여 조민석은 건물이 완성되고 사람들에게 사용되면서 변화하는 건축 이후의 모습까지 전시의 한 모습으로 담아낸다. 또한 ’04G', '08D', '11E' 같은 코드들이 벽면에 새겨져 있고, 원형 테이블에는 학문적 연구 등    전문서적부터 대중적인 패션잡지까지 매스스터디스의 프로젝트들이 소개된 다양한 매체 들이 원형 지도의 형태로 배치되어 궁금증을 자아낸다. 

삼성미술관 플라토는 속도, 규모, 가격이라는 시장경제논리가 기준이 되어버린 한국 건축문화 속에서 사라진 삶의 다양성을 복구하고 이질성에 기반한 동시대 정신을   반영하려는 조민석 건축가의 모습에 주목하여 전시를 기획했다. 이번 전시는 예술로서의 건축을 감상하고자 하는 미술애호가와 새로운 건축 공학에 관심이 많은 건축학도 뿐 아니라 다양한 창의력을 필요로 하는 현대인에게 조민석 건축가가 아낌없이 제공하는 모든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 PLATEAU 관람안내 >

■ 관람요금 : 일반 3,000원 / 초중고생 2,000원
              ※ 20인 이상 단체관람 관람료 할인
              ※ 매월 마지막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일반 2,000원 / 초중고생 1,000원
■ 관람시간 : 10:00~18:00 (매표마감 17:30) 
              휴관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 연휴, 추석 연휴
■ 위    치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55 삼성생명빌딩 1층 
              지하철 1,2호선 시청역 8번(남대문방면) 출구, 도보 2분
              시청경유 전 버스노선 시청 또는 삼성본관에서 하차
              자가용 삼성본관 지하주차장 1시간 무료(관람권 확인도장)
■ 문    의 : 1577-7595 / www.plateau.or.kr 



조민석 프로필

2003-현재  매스스터디스 대표
1998-2003 조슬레이드 아키텍처 설립 운영
1996-1998 OMA 근무
1966      서울 출생 

학력
1992     컬럼비아 대학 건축대학원, 뉴욕, 미국
1989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서울, 대한민국 

수상경력
2014    화관문화훈장 수상, 서울, 대한민국
   제14회 베니스비엔날레 황금사자상 수상, 베니스, 이탈리아
2010     대통령 표창
   2010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건축부분 은상 수상
2008    ‘부티크 모나코’, 국제 고층건물상, 최종 5인 후보 선정
2003    ‘딸기 테마 파크’, 프로그레시브 어워드, 장려상 수상
2000    뉴욕 젊은 건축가상, 뉴욕 건축 연맹, 뉴욕, 미국
1999    ‘폰 에르라흐 하우스’, 프로그레시브 어워드, 장려상 수상 (조슬레이드 아키텍처)
1994     일본 신건축 주택 디자인 공모전, 대상 수상    

주요 전시
2014     2014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 ‘한반도 오감도‘, 베니스, 이탈리아
2013     ‘동방의 약속: 동아시아의 현대건축과 공간만들기전’, 
          응용미술미술관(Museum fur angewandte Kunst), 빈, 오스트리아
2011    'Shenzhen & Hong Kong Bi-City Biennale of Urbanism / Architecture', 심천, 중국
2010     “Architektonische Sehnsucht," Portrait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베니스 비엔날레 2010, 독일관, 베니스, 이탈리아
2007    ‘Open House,’ Vitra Design Museum, 바일 암 라인, 독일
2007     ‘Open House,’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Pasadena, CA, 미국
2004     ‘Metamorph,’ 베니스 비엔날레, 베니스, 이탈리아

주요 작품
2014    돔-이노, 서울, 대한민국     
2013    사우스케이프: 클럽하우스, 선라이즈 & 선셋, 남해, 대한민국
2012     오설록: 티스톤, 이니스프리, 제주, 대한민국
   네 개의 중정들, 서울, 대한민국
   송원아트센터, 서울, 대한민국
   다음 스페이스닷원, 제주, 한국
2010     2010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상하이, 중국
2009     다발 매트릭스: 에스트레뉴, 서울, 대한민국
2008     실종된 매트릭스: 부티크 모나코, 서울, 대한민국
2007     링돔 - 뉴욕, 미국 키타큐슈, 일본 밀라노, 이탈리아 요코하마, 일본
2006     쪼개진 집, 파주, 대한민국
   깎인 집, 파주, 대한민국
2005     어긋난 매트릭스: 네이처 포엠, 서울, 대한민국
2004     딸기 테마파크, 파주, 대한민국
2003     픽셀 하우스, 파주, 대한민국
2002     충무로 영상센터, 충무로, 서울, 대한민국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