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남화연 : 시간의 기술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4월 10일부터 6월 28일까지 
2015 베니스 비엔날레 본 전시 초청작가 
남화연의 국내 최초 개인전 열어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권영빈) 아르코미술관은 2015년 아르코미술관 개인전으로 올해 제 56회 베니스 비엔날레 본 전시에 초청된 남화연의 국내 최초 개인전 <Time Mechanics - 시간의 기술>을 선보인다. 30대 후반에서 40대 중반 중진작가 중에서 국내 무대 뿐 아니라 국제무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선보이며 그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남화연의 이번 개인전은 신규 제작한 작품을 포함하여 총 다섯 편의 영상 및 사진작업을 통해 그 동안 퍼포먼스, 영상,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선보여온 그의 작업 스타일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이다. 특히 사물, 공간, 시간의 실체와 실존, 사회 시스템의 구조를 인식해 가는 남화연 작업의 특유한 언어적 퍼포머티비티와 형식적 특이성을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 전시개요

○ 사업명: 2015 아르코미술관 <남화연 특별전>
○ 전시명:  Time Mechanics - 시간의 기술 
○ 전시개막: 2015년 4월 9일(목) 오후 6시
○ 기자간담회: 2015년 4월 9일(목) 오전 12시,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 전시기간: 2015년 4월 10일(금) - 2015년 6월 28일(일)
○ 관람시간: 오전 11시-오후 7시(매주 월요일 휴관, ‘문화가 있는 날’ 행사인 4월 29일(수), 5월 27일(수), 6월 24일(수)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 연장 운영)
○ 전시장소: 아르코미술관 제 1 전시실(1층)
○ 작품: 영상, 사운드, 사진 작품 
○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 전시문의: 아르코미술관 학예실 02-760-4608/02-760-4625



□ 전시배경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은 융합, 다원예술의 중요성 증대에 따라 다원예술 전시 및 창작협력 사업을 지향하는 미술관의 운영방향에 맞춰 실험적인 다원 예술형 작업으로 주목을 받아온 작가를 초청하고, 작가와의 협력을 통한 신규 창작 작업을 선보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개인전 기회가 부족한 국내의 30대 후반 - 40대 중반 중진작가 중에서 국제 무대에서도 성장 가능성을 지닌 작가 발굴을 지속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첫 번째 작가로 이번 아르코미술관 중진작가 특별전에 초청된 남화연은 베를린과 서울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며, 2008년 광주 비엔날레에 참여하였고, 프랑스 FRAC Lorraine에 작품이 소장되었으며 2015년 오쿠이 엔위저 총감독 하에 진행되는 베니스 비엔날레 본 전시에 초청되는 등 국제무대에서 이미 그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그간 그의 작업세계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개인전이 없었기에 본 개인전에서 그 작업 형태의 규모를 키워 신규 제작한 영상 작업을 통해 그 동안 퍼포먼스, 영상,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선보여온 그의 작업 스타일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성장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현 미술계에서 그 무대가 부족하여 주목받지 못했던 중진작가 발굴에 기여하고, 미술관을 리서치 기반 협력형 창작의 플랏폼으로 기능하게 하고자 한다.              

□ 작가소개

베를린과 서울에 거주하며 작업 활동을 하고 있는 미디어 작가 남화연(b.1979)은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Move: on the spot>, 2013년 하이트컬렉션 <드로잉을 위한 공간들> 등 다수의 전시에 참여하였고, 2009년에는 에르메스 미술상 후보 3인 중 한 명이었다. 

남화연은 주로 퍼포먼스가 등장하는 비디오 작업과 실험적인 스테이지 퍼포먼스를 주로 선보인다. 그러나 가상의 방어적 공간 형태나 계급적 위계들을 압축하는 그녀의 초기 섬세하고 흥미로운 드로잉 시리즈는 인간 사회의 시스템 현실이나 규칙, 위계와 규율, 법칙 등을 환유하는 것으로 이후 작가의 비디오나 퍼포먼스 작업과 연결되는 지점을 시사한다. 

지난 몇 년간의 비디오 작업이나 퍼포먼스에서 작가는 특히 존재한다고 믿는 것의 실체에 대해 경험하는 방법, 그리고 경험할 수 없는 것과 직면한다. 예를 들어 전설적인 한국의 근대 안무가였던 최승희 같은 인물이나, 금속 활자로 인쇄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책인 직지심경과 같은 유물을 다루면서 작가는 이들의 실체에 접근하고 경험한다는 것의 불가능성을 작업화하고,  이 불가능성의 경험 자체에 집중하여 우리가 이해하고 안다는 것의 영역, 혹은 새로운 가능성을 질문하는  흥미로운 인식론적 작업을 시도해왔다. 

최근의 Dimensions Variable (2013- )과 같은 작업은 여러 댄서와 퍼포머들의 절제된 몸과 움직임, 동선을 이동하는 시간을 보는 경험을 통해 관람자들이 오히려 자신이 속한 공간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 역시 실존하지만 경험하기 어려운 시공간을 측정하고 인식하는, 매우 수려한 한편의 아름답게 절제된 형식주의 시와 같은 퍼포먼스 작업이다. 

특히 그녀의 비디오나 퍼포먼스 작업에서 드라마트루기적 요소는 작업의 흐름을 이끄는 주요한 방법론으로, 사물, 공간, 시간의 실체와 실존, 사회 시스템의 구조를 인식해 가는 남화연 작업의 특유한 언어적 퍼포머티비티와 형식성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 전시소개

○ 전시작품   

(1) Field Recording/ 2 single-channel video, 각 약 10분 

이 작업에서는 새소리를 수집, 분류,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드 레코딩의 방식을 차용했다. 퍼포머는 새소리 아카이브에서 취합한 다양한 새소리를 헤드폰을 통해 듣고 그 소리를 역으로 흉내 낸다. 이를 통해 자연이 아닌 인간을 대상으로 보고자 한다. - 과거에 녹음된 새소리 아카이브에서 고른 몇 가지 다른 새소리 파일을 헤드폰으로 들으면서 새의 목소리를 모방하는 작업으로, 실제 새소리가 아니라 퍼포머의 모습과 목소리를 촬영 및 녹음한다. 


(2) Coreen 109/single-channel video, 약 10분 

직지심체요절은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Coreen 109로 분류되어 있다.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의 열람을 요청하였으나, 도서관은 대신 인터넷 아카이브 링크를 보냈고, 전자책의 형태로 책을 열람할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물리적인 책의 부재를 대신할 수 있는 인터넷에 산재한 책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하나의 사물인 책이 겪은 소유의 경로-이를테면 직지심체요절을 소유했던 과거 콜렉터들의 이야기, 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오리엔트 앤 이스턴 콜렉션으로 소장되기까지의 여정 등-을 추적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시간대를 오가는 공간으로서 인터넷 데이터를 경험한다는 것은 가능한가, 경험이 부재한 기억은 소유 가능한가에 대해 질문하는 작품이다. 


(3) Ghost Orchid(유령 난초)/ single-channel video, 약 10분 

19세기 중반 영국과 벨기에 등의 식물 콜렉터나 식물 관련 사업자들은 남미, 아시아 등으로 난초 사냥꾼들을 보내 희귀하고 이국적인 난들을 유럽으로 들여왔다. Wihelm Micholitz라는 난초 사냥꾼이 의뢰인이었던 Frederick Sander에게 1981년 보냈던 편지를 읽는 목소리와 식물원이라는 이에 맞추어 추는 춤이 병치된 작업이다.


(4) 동방 박사의 경배/single-channel video, 약 15분 

지오토는 핼리 혜성을 보았고, 그것을 자신의 그림 동방박사의 경배에 남겼다. 1980년대 European Space Agency는 지오토가 핼리 혜성의 과학적 드로잉을 남겼다고 보고, 역사상 최초로 핼리 혜성의 클로즈업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미션의 이름을 지오토로 짓는다. 이를 통해 보는 것에 대한 욕망에 대해, 그리고 혜성이라는 자연 현상이 크리스천 믿음의 체계에서 과학의 영역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5)개미시간/사진 기록 

개미의 동선을 따라 이동하며 90cm 길이의 실로 그 궤적을 남기고 시간을 측정하는 퍼포먼스 기록 사진이다. 

  ○ 공간구성 
전시장은 입구에서 연결되는 긴 통로에 설치된 새소리를 흉내 내는 사람의 모습이 담긴 영상(title: Field Recording)을 보며 낯설고 기괴한 새소리를 처음 접한다. 이어지는 좁은 통로를 따라 들어가면 세 편의 영상작업을 한 공간에서 마주하게 되며, 이어지는 또 다른 통로에서는 앞서 접했던 새소리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마지막 작품인 <개미시간>의 사진작업을 만나면서 전시경험을 끝낸다. 전시는 서로 다른 영상과 사운드 작업들이 한 공간에 유기적으로 얽히면서 작업 하나하나가 지닌 개별적 요소들의 특수성을 엿볼 수 있는 동시에, 마치 하나의 작품처럼 한 공간에서 연극적으로 변주하는 영상과 사운드의 조합을 통해 관객들의 총체적이고 공감각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 전시 연계 부대 프로그램
남화연 특별전 <Time Mechanics-시간의 기술>은 연계 부대행사로 '작가와의 대화' 시간을 마련한다. 이는 전시에 출품된 작품 이외에 남화연의 작업세계를 개괄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시간이 될 것이다. 또한 남화연의 작업세계와 감상법에 대한 '전문가(비평가 또는 전시 큐레이터)의 토크 시간'도 마련될 예정이다. 이 밖에 아르코미술관에서 진행되는 특별 전시 해설 프로그램은 전시기간 내 평일 2시와 4시, 주말 2시, 4시, 6시에 진행된다. 
> 자세한 일정은 전시 오픈 전 아르코미술관 홈페이지(arkoartcenter.or.kr)에 게시됩니다. 




작가 소개 자료 

Education
2008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졸업, 서울
2004 
코넬대학교, 이타카

Solo exhibitions(forthcoming*)
2015 아르코미술관, 서울 Arko Art Center, Seoul*
2009 Grammar of the world, 카스코 예술, 디자인 
그리고 이론을 위한 사무소, 위트레흐트, 네덜란드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4 결정적 순간들: 공간 사랑, 아카이브, 퍼포먼스, 아르코아카이브, 
 Inventing Temperature, 영국 한국 문화원
2013 No Mountain High Enough, 시청각
 기울어진 각운들, 국제갤러리
  드로잉을위한공간들, 하이트콜렉션
  Memorial Park, Novelle Vague, 팔레드도쿄
2012 Playtime, 문화역서울 284
  Move: on the spot, 국립현대미술관
2011 H BOX, 아트선재센터
  Quiet Attention, 미토아트센터
 사랑의노동, 아르코미술관
2010 지난해여름, 갤러리정미소
  Projected images, 플랫폼서울
  Oblique strategies, 국제갤러리
  지휘부여각성하라, 스페이스해밀톤
2009 에르메스미술상, 아뜰리에에르메스
  Video: vide & 0, 아르코미술관
  The Antagonistic Link, Casco, Office for Art, Design and Theory
2008 Now Jump!,Station 2, 백남준아트센터
  I have nothing to say, and I am saying it, 플랫폼서울, 구서울역
  Fiction and Non Fiction, 서울시립미술관남서울분관
  연례보고, 광주비엔날레
  연극되어지다, 사루비아다방
  Close to you, 갤러리 27
  출판기념회, 갤러리팩토리
2007 열전, 인사미술공간
2006 Somewhere in Time, 아트선재센터

Performances

2013 가변크기, 송원아트센터, 페스티벌봄
2012 이태리의정원, 백성희장민호극장, 페스티벌봄
2013 Operational Play, 아르코소극장, 페스티벌봄

Screenings

2009 서울국제실험영화제
2009 Beursschouusburg
2008 IAS미디어스크리닝

Artist Publication

2014 가변크기, 스펙터프레스
2008 제 3세계심포니

Solo exhibitions(forthcoming*)
2015 Arko Art Center, Seoul*
2009 Grammar of the world, Casco office for art design and theory, Utrecht, the Netherlands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4 The Decisive Moments, Arko Arts Archive, Seoul
     Inventing Temperature, Korean Cultural Center UK, London
2013 No Mountain High Enough, Audio Visual Pavilion, Seoul 
The song of slant rhymes, Kukje Gallery, Seoul
Space for drawing, Hite Collection, Seoul 
Memorial Park, Novelle Vague, Palais de Tokyo, Paris
2012 Playtime, Cultural Station Seoul 284
Move, on the spot, The Korea National Museum of Arts
2011 H BOX, Art Sonje Center, Seoul 
Quiet Attention, Mito Art Center, Mito, Japan
Labor of Love, Arko Art Center, Seoul
2010 The last summer, Gallery Jungmiso, Seoul
Projected images, Platform Seoul 2010, Art Sonje Center, Seoul
Oblique strategies, Kukje Gallery, Seoul
Bridges too far, Space Hamilton, Seoul
2009 Hermes Foundation Missulsang, Atelier Hermes, Seoul
Video: vide & 0, Arko Art Center, Seoul
The Antagonistic Link, Casco, Office for Art, Design and Theory, Utrecht
2008Now Jump!,Station 2, Nam June Paik Art Center, Yongin, Gyeonggi-do
I have nothing to say, and I am saying it, Platform Seoul 2008, Old Seoul Station, Seoul
Fiction and Non Fiction, Nam Seoul Annex Building of the Seoul Museum of Art, Seoul
Annual Report, Gwangju Biennale 2008, Gwangju
Between the lines, Project Space Sarubia, Seoul
Close to you, Gallery 27, Uiwang, Gyeonggi-do
Society for artistic publication, Gallery Factory, Seoul
2007Yeol, Insa Art Space of the Arts Council Korea, Seoul
2006Somewhere in Time, Art Sonje Center, Seoul


Performances
2013 Dimensions Variable, Songwon Art Center, Festival Bo:m
2012 A Garden in Italy, BaekSunghui& Jang Minho Theater, Festival Bo:m
2013 Operational Play, Arko Art Theater, Festival Bo:m

Screenings
2009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Seoul
2009 Beursschouusburg, Brussels
2008 IASmedia screening, Insa Art Space of the Arts Council Korea, FilmForum, Seoul

Artist Publication
2014 Dimensions Variable, Specter Press, Seoul
2008 The Third World Symphony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