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권여현전:오필리아의 연못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권여현 개인전 : 오필리아의 연못 The Pond of Ophelia


전시일정ㅣ  2015년 10월 28일(수) – 11월 20일(금)
전시장소ㅣ  금산갤러리(서울시 중구 소공로 46 쌍용남산플래티넘 B-103)
참여작가ㅣ  권여현 KWON Yeohyun
장     르ㅣ  회화
전시작품ㅣ  평면 10여 점


전시개요

현재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단색화의 주역들인 80년대 미니멀리즘 작가들이 미술계의 주류로 자리잡고 있을 즈음, 이에 맞서며 구상회화를 고집하던 작가들이 있었다. 이들은 민중 미술로 사회와 소통하기도 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을 기반으로 인간과 새로운 미학에 대한 탐구를 하던 젊은 작가들이었다. 

이들 중 매우 젊은 축에 속하였던 권여현 작가는 누구보다 빨리 데뷔하여 누구보다 열심히 다작을 하였고, 매년 빠짐없이 개인전을 할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해왔다. 심지어 평면 회화뿐 아니라 영상, 설치 작업 등으로 다방면의 활동을 하며, 동시에 글을 쓰는 몇 안되는 철학적인 작가이다. 이런 그의 행보 자체는 그의 그림에서 숲과 나무, 이리저리 뻗은 가지와 덩굴로 상징되는 리좀을 닮아있다. 형상과 실제, 내부와 외부, 체제와 반체제로 설명되던 이분법적 세계관에 반기를 들며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했던 포스트모던의 모델인 리좀은 모든 개체가 그만의 세계를 가지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현재의 세계를 닮아있다. 

그의 이번 전시작들의 두 축을 이루는 ‘숲’과 ‘오필리아’는 지난 십여 년간 그의 상징적 기호들 중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것들이다. 그의 숲은 마법, 꿈, 혹은 악몽의 공간이자 수난과 망각의 장이다. 숲이 주는 고요함 속에는 거꾸로 떠다니거나 나뭇가지들 속에서 잠든, 덤불 사이로 걸어오거나 덩굴의 그물 속에 사로잡혀 있는 형상들이 긴장감을 드러낸다. 그 형상들은 신화적 존재, 과거의 철학자를 상징하는 동물,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여체 등 역사적 전형, 철학적 레퍼런스, 과거와 현재, 시공간을 초월한 상징적 존재들이었다. 그 존재들 중 가장 중심을 이루는 오필리아는 햄릿의 복수를 완수하기 위해 죽은 희생적 존재로, 덫이자 미끼요, 끊임없는 유혹 자체를 상징하기도 하며, 동시에 그 욕망에 의해 파괴된 희생물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의 이러한 알레고리적 회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의미를 생각하게 하고, 철학이나 역사적 배경과 함께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그의 회화는 결코 편안하지 않다. 편안해 보이는 녹색 숲과 푸른 물 안에서 나무 덩굴에 사로잡힌 기표들은 넘쳐나는 기호들의 네트워크 안에서 고뇌 없이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커다란 의문부호를 던진다. 생기를 불어넣는 에너지이자 파괴로 이끄는 욕망의 이미저리에 맞닥뜨린 관객의 마음 속에 일어나는 공명과 반향, 그 불편함이 바로 작가의 의도이자 이 시대에 필요한 미술의 힘이다.  



권여현 KWON Yeohyun

1987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198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현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교수

개인전 
2015 The Pond of Ophelia, 금산갤러리, 서울
The Pond of Ophelia, 이정아갤러리, 서울
2014 Ophelia in Forest, Faculty gallery UCSC, CA, USA
Double Mirror doors to the Net World,’ Arts Center & Eight College, UCSC, CA, USA
2013 맥거핀 디자이어, OCI 미술관, 서울
2012 서울 모던아트쇼, AT center, 서울
2011 코나투스의 체계, ITB 갤러리, 반둥, 인도네시아
2010 마법풀기, 더 컬럼스갤러리, 서울
2008 마법의 숲, 더 화이트갤러리, 서울
2007 Syntagm-Roleplaying, 갤러리 루멘, 파리, 프랑스
Syntagm-Roleplaying, 씨떼 데자르, 파리, 프랑스
2006 신템브리드, 북촌미술관, 서울 
2004 동서고금을 가로 지르다,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3 화랑미술제, 예술의전당, 공산갤러리, 서울
2002 부유자아, 국민아트갤러리, 서울
2000 회화1988-2000, 공산갤러리, 대구
1999 직설적 감성, 서신갤러리, 전주
직설적 감성. 토, 우덕갤러리, 서울
1998 아름다운 시절, 공평아트센터, 서울
서신갤러리, 전주
1997 한국갤러리, 서울
1996 바늘구멍, 이콘갤러리, 서울
바늘구멍, 화랑사계, 서울
1995 한국갤러리, 서울
1994 화랑사계, 서울
What Constitute I, 예술의 전당, 서울
1993 한국갤러리, 서울
1992 물맷돌, 금호미술관, 서울
물맷돌, 요코하마 인터내셔널 아트페어, 일본
깔때기, 한국갤러리, 서울
1991 남경화랑, 서울
화랑예술제,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미술관, 서울
1990 What Is I?, 갤러리 동숭아트센터, 서울 
What Is I?, 모란미술관, 마석
1988 실존공간, 토갤러리, 서울 
실존공간, 태백화랑, 대구

주요 그룹전 (350여회)
2015 30Artists, SIA NY 갤러리, NY, USA
봄이 있는 풍경展, 오승우 미술관 기획전시실, 무안
마나우 투파파오, 모란미술관, 마석
2014 한국 방글라데시 교류전,’ 목금토 갤러리
2014남, 북, 중 평화 상생 공존전, 아라아트센터 미술관
Space in & Space out 국외입양작가와 국내예술가전, 갤러리 미술세계
2013 박물관 Image 展, 동덕아트갤러리
알레고리의 힘, 아다마스갤러리
ASIA국제미술전람회, Rajchadamnern Contemporary Art Center, 방콕, 태국
국제 아트쇼부산, 백스코 제2전시관, 갤러리 fazi, USA
역사 속에 살다 - 초상, 시대의 거울, 전북도립미술관
신화와 전설 展,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 
2012 뫼비우스의 띠:신화적 사우를 삼키다, 인터알리아, 서울 
이미지 스토리텔링, 갤러리나우, 서울 
샤먼을 찾아서, 국민대 박물관, 서울
2012 여수국제아트페스티발-장소의 긍지, 예울마루 전시관, 여수 
한국-대만교류전, 한국현대미술전,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 Taichung, 대만
한국현대유리조형전, 맥아트미술관 개관전, 유리박물관, 맥아트미술관
명화는 명화를 훔친다, 산토리니 서울
만다라를 찾아서 10.8~10.26, 국민대 박물관주최 국민아트갤러리
제27회 ASIA국제미술전람회, Rajchadamnern Contemporary Art Center, 방콕, 태국
2011 Convergence. 융합. Fusion, OCI미술관 전관, 서울
26회 아시아국제미술전, 예술의 전당, 전북도립미술관
페스티벌 코레아, 문갤러리, 홍콩
이미지의 수사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명화에 대한 명화, 일현미술관
2010 모나리자의 콧수염, 광주시립상록미술관
노란선을 넘어-통일전, 경향갤러리, 서울
25회 아시아국제미술전, 몽골
2010 부산비엔날레 'Now Asian Artist' 韓•中•E日 지금의 작가전,’ 부산문화회관 전관 
2010 한국드로잉 30년 전, 소마미술관, 서울
Performance Art Network ASIA 2010, 서울
2009 더 블루 전, 더 컬럼스갤러리, 서울
격양가, Accent Gallery, 호주 
성령의불, 루멘갤러리, 파리
몸의 언어, 터치아트, 서울
미술시네마:감각의 몽타주 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4회 아시아국제미술전,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 
Mulart 국제미술전, 부산문화회관 
2008 동아시아 작가 국제 교류전, 중국 상해 한국 문화원
퀄른 국제 아트페어, 퀄른, 독일
홍콩 국제 아트페어,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2007 Les Visages Du Christ, Galerie Lumen, 파리, 프랑스 
한국현대미술전, 모로코 Bob El Kebir 갤러리, 카타르
2006 한국현대미술전, Bab L'Kbir 전시관, 리비아, Mahmud Mukhtar 박물관 부속 Nahda Misr Hall, 이집트
2005 한일 2005 참 우정의 형태, 큐슈 아세아미술관, 일본 세종문화회관, 서울
포천아시아미술제, 포천 반월아트홀
고대문명발상지에 비추어 본 한국의 현대미술, 멜리나 문화센터, 아테네 시립화랑, 그리스 아세아국제전, Ayala Museum, 마닐라, 필리핀 
20세기로의여행. 피카소에서 백남준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서울 
2004 서울현대미술, Center Of The Association Of Architects Of Rome, 로마
Asia국제미술전, Fukuoka Asian Art Museum, 후쿠오카
2003 제18회아세아국제미술전, 홍콩시립미술관, 홍콩
2002 살롱2002 그랑에 존느 파리전, Espace Auteuil, 파리
제17회 아세아국제미술전, 대전시립미술관
2001 한국현대미술 아세아 순회전, 베트남
아세아 국제전, 광주, 중국
2000 제15회 아세아 국제미술전, 타이난 문화관, 대만
1999 제14회 아세아 국제미술전, 아세안 아트센타, 후쿠오카, 일본 
한국현대미술전, 뉴델리국립현대미술관, 뉴델리, 인도 
1998 한국현대미술전, 구주연합대표부, Centeralbert Borschette, 벨기에, 프라하국립미술관, 프라하,체코, 국립미술관, 소피아, 불가리아 
동화와 이화 - 대한민국 이 시대의 영상과 설치, 시카고현대사진미술관, 시카고, IL, USA
아세아국제미술전,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
1997 동방으로부터의 제안, 솔레릭미술관, 마요르카, 스페인 
아세아국제미술전람회, 마카오국립미술관
한국현대미술해외전 – 전통으로부터 새로운 형태로, 조셀로프갤러리, 미국 
1996 아세아국제미술전람회, 필리핀국립미술관
1995 아세아 국제전, 싱가폴국립박물관 
한.중.일 교감미술제, 기린프라자, 오사카, 국제교류기금전시장, 동경 
95, 한국현대미술 함부르크전, 갤러리 아이다/갤러리 아트리움, 함부르크, 독일
한국현대미술 헝가리전, 헝가리 국립미술관 

퍼포먼스
2009 불의모험 구도자, 제5회 국제도자비엔날레 국제 퍼포먼스
2007 Red Cross, 국민아트갤러리, 인도네시아 수나리오미술관
2004 Wind Fish, 김포평야, 금호아트홀 2009
2002 부유자아, 국민아트갤러리
2000 예술혼
1994 Self Armor, 예술의 전당

수상 
2005 제5회 하종현미술상 
1995 제1회 한국일보 청년작가전 우수상 수상, 백상 갤러리
1991 제 10회 석남미술상 수상 
1990 제 13회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수상, 호암갤러리
1986 ’86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수상, 국립현대미술관
1984 제 9회 창작미협 공모전 대상 수상, 미술회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후쿠오카 문화재단 
선재 현대미술관 
서울대학교 
한국석유공사 
대전시립미술관 

출판물 
1994 생동하는 미술 총서[Art Vivant-26 권여현] 시공사

저서 
1999 드로잉의 세계, 도서출판 재원

레지던시
2014 UCSC, Santa Cruz, CA. USA
2007 Residency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파리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