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임옥상 전: 나는 나무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임옥상 <나는 나무다>
2021년 02월 02일(화) - 02월 28일(일) (월요일 휴무) 10am - 6pm
갤러리 나우 -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152길 16 (신사동 630-25)
02-725-2930 / gallerynow@hanmail.net


●임옥상은 흙, 종이, 쇠, 유화물감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또 동시에 페인팅, 조각, 설치를 넘나드는 다양한 장르를 통해 자신만의 조형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특히 대중과의 소통을 도모하며 실천하는 문화 전달자로서 오랫동안의 역할과 시선, 삶, 땅, 자연, 역사에 대한 관심과 서사가 있는 임옥상이 이제는 나무를 통한 깊은 성찰의 시간의 궤적을 보여준다. 나무가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거치면서 이어지는 죽음과 소생의 반복은 만물이 흙에서 생명의 움을 틔우고 흙으로 되돌아가는 흙의 모습과 그 궤를 같이한다. 흙 위에 나무가 서 있듯이 그의 캔버스 위에 나무가 서 있다.

갤러리나우에서 열리고 있는 <나는 나무다>展은 임옥상이 오래 전부터 사용했던 흙이 주재료이다. 흙을 두툼하게 캔버스에 올린 후 일필휘지(一筆揮之)의 음각 드로잉과 채색을 통해 완성된다. 민중미술가 1세대로 불리워지는 임옥상의 이번 나무와 매화 작업은 봄바람이 일기 전의 미묘한 생명의 신호와도 같이 그의 작업의 새로운 변화의 신호탄과 같은 작업이다. 문명비판적, 정치고발적, 사회참여적인 민중미술가로서가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숙명을 지닌 한 예술가의 모습으로만 서 있음을 볼 수 있는 전시이다. 나목과도 같이 인간의 모습을 인간이 아닌 다른 무엇에게서 찾는다면 단연 나무일 것이다. 임옥상의 나무는 바로 자신이다. “나는 나무다. 나무로 산지 오래다. 나무가 아프면 나도 아프고 나무가 춤추면 나도 춤춘다.” 임옥상의 나무는 바로 자신이다, 정제되어 있지 않은 날것의 모습을 보는듯한 임옥상의 ‘나무’에서 어깨춤이 저절로 들썩여지고 마음을 베어내는 듯한 감동이 가슴에 스미는 이유다. 그의 삶의 모습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먼저 배경은 완성하고 그 위에 매화를 심듯, 키우듯, 뿌리를 박듯, 그 힘이 솟구치듯 일필휘지로 그린다. 기운생동이 제일 강령이다.” 임옥상의 나무와 매화는 살아있는 생명, 날것의 숨길 그 자체이다. 무(無)로부터 어떤 것이 만들어질 때의 순간의 힘, 순간의 숨결이 기운생동의 강인하고 거친 숨결을 거쳐 일어난 가녀린 매화로 피어난다. 이것이 ‘임옥상 매화’의 매력이다. 익숙하지만 낯선, 낮설지만 익숙한 그 경계의 힘, 기운생동의 봄의 기운이다. 그것이 캔버스로 흙으로 나무로 매화로 온 것이다. 

“아~ 봄이 가깝다. 이젠 매화를 그릴 때다. 심매도(尋梅圖)는 새해를 맞는 나의 통과 의례이다.” 이제 나목 속에 든 봄의 씨앗과 눈속에서 피어날 매화를 맞이하는 마음을 가져 봄직한, 정제된 본연의 어떤것과 솟구치는 봄의 에너지를 만나볼 수 있는 전시이다.



봄날은 간다 181.8x518cm(2pc) 캔버스에 흙, 아크릴릭, 2019




임옥상 林玉相 b. 1950
KOR _ oksanglim.com  /  ENG _ oksanglim.net

임옥상은 1950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미대 회화과 및 동대학원, 프랑스 앙굴렘 미술학교를 졸업했다. 광주교대, 전주대 미술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민족미술협의회 대표를 지냈다. 
‘아프리카 현대사’, In the spirit of Resistance(NY), ‘바람 일다’, 'The wind rises(LA)', '흙 Heurk(Hongkong)' 등 개인전 21회, '십이월전', '제3그룹전','현실과 발언 동인'과 광주/베니스 비엔날레, 시드니 트리엔날레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가하였다.
현재 (사)세계문자연구소 대표이사, (사)자문밖문화포럼과 (사)흙과 도시에서 부이사, 임옥상미술연구소 대표이다.

1986   앙굴렘 미술학교 졸업, 앙굴렘, 프랑스
197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석사, 서울
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학사, 서울
1950   충남 부여 출생
  임옥상미술연구소 소장


개인전 
2021     나는 나무다, 갤러리나우, 서울
2019   흙의 소리, 흙의 침묵, Art Students League of Denver, Colorado USA
  흙 Heurk, SA+ H queen’s, Hongkong
2017   The Wind Rises, CMay Gallery, LA. USA
  바람 일다,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5   무릉무등, 메이홀, 광주
2013   임옥상 초대전, 노원문화예술회관, 서울   
2011   토탈 아트 : 물, 불, 철, 살, 흙,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5   Lim Ok-Sang, Gallery Hana, Germany
2003   한바람 임옥상의 가을이야기, 갤러리편도나무, 서울
2002   철기시대 이후를 생각하다,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1   물과 불의 노래, 코리아아트갤러리, 부산
2000   철의 시대 · 흙의 소리, 가나아트센터, 서울 
  DMZ Lim Ok-Sang, Orchard Gallery, Derry. United Kingdom
1997   In the spirit of Resistance Lim Ok-Sang, Alternative Museum, New York. USA
  임옥상 : 역사의 징검다리, 가나화랑, 서울
1995   일어서는 땅, 가나화랑, 서울
  Rising Land, Galerie Gana-Beaubourg, Paris. France
1991   임옥상 회화 초대전, 호암갤러리, 서울
1990   우리시대의 풍경, 온다라미술관, 전주
1988   임옥상 작품전, 온다라미술관, 전주
1988   아프리카 현대사, 가나아트갤러리, 서울
1984   한바람 임옥상, 서울미술관, 서울
1981   한바람,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2021.02 기준 24회)

주요 단체전
2020       강원키즈트리엔날레, 홍천탄약공장, 홍천
           그림과 말 2020, 학고재갤러리, 서울
2019    정태춘 박은옥 40 트리뷰트전 : 다시, 건너간다,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8    신라를 다시 본다,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창원조각비엔날레, 성산아트홀, 창원
   디지털 프롬나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시대유감 : 가나아트 컬렉션 상설전, 서울시립미술관, 서
   제주 사월꽃 기억문화제, 아라리오 뮤지엄, 제주
2017    코리아 투머로우 : 해석된 풍경, 성곡미술관, 서울
  종이조형 : 종이가 형태가 될 때, 뮤지엄 SAN, 강원
   청년의 초상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서울
  키워드 한국미술 2017 : 광장예술, 횃불에서 촛불로,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6    한국 현대미술의 눈과 정신 II : 리얼리즘의 복권,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5    트라우마의 기록,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 고양
   세기의 동행 : 광복70주년 한국근현대미술 특별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아시아 그리고 쌀, 전북예술회관, 전북
   플라스틱 신화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4    창원조각비엔날레, 성산아트홀, 경남
   한국근대미술소장품 기획전 : 나는 세 개의 눈을 가졌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서울
   이어령, 김병종 : 생명 그리고 동행, 영인문학관, 서울
   네오산수, 대구미술관, 대구
   아트라운지 : 소장품전, 대구미술관, 대구
2013    Contemporary Age : 가나아트 개관 30주년 기념전, 가나아트센터, 서울
  해인아트프로젝트 : 心, 성보미술관, 합천
2012    SeMA 중간허리 2012 : 히든트랙,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 : 거대서사 1,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경기
   여기 사람이 있다, 대전 시립미술관, 대전
  모성,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서울
2011    추상하라,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서울
  가을명작산책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사유의 방, OCI미술관, 서울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0    베이징 비엔날레, 베이징
   겸제화혼전 : 개관 1주년 기념, 겸재정선기념관, 서울
  생명과 평화, 서울 미술관, 서울
200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광주,부산 비엔날레 외 다수 (약120여회) 
1972


수상
2004 동아 플레이 어워드, 무대디자인
1993   토탈아트상 수상
1992   가나아트상 수상
1985   학원예술상 수상

저서 
2017     옥상,을 보다 (난다)
2017   벽 없는 미술관 : 벽을 넘어 ‘사람 사는 세상’을 향하여 (에피파니)
2003 가을 이야기 (명상)
2000 벽 없는 미술관 (생각의 나무)
     누가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지 않으랴 (생각의 나무)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http://www.moca.go.kr
서울시립미술관 http://www.seoulmoa.org
경기도미술관 http://gmoma.ggcf.kr
광주시립미술관 http://artmuse.gwangju.go.kr
경남도립미술관 http://www.gam.go.kr
제주도립미술관 http://jmoa.jeju.go.kr
가나문화재단 http://www.ganafoundation.kr
서울대미술관 http://www.snumoa.org 


나무 연작, 132x392cm(64pc), 캔버스에 혼합재료, 20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