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GS칼텍스 예울마루 창작스튜디오 1기 입주작가 결과발표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GS칼텍스 예울마루는 2019년 5월에 ‘가꾸어가는 예술의 섬 장도’를 새롭게 개관 하였습니다. 예술의 섬 장도는 새로운 창작 결과물을 지역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확산시키고자 여러 장르의 예술프로그램 접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6월부터 창작스튜디오에 국내 입주예술가 예술인연합AAA, 이지연&성정원, 이민하 총3명(팀)을 선별하여 입주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였습니다. 장도의 모습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예술로 고민을 풀어낸 1기 입주예술가들은 설치, 영상, 회화 등 다양한 장르의 현대미술을 실험하였고, 각자의 전시를 통해 새로운 결과물을 선보입니다.

 첫 번째 라는 타이틀은 개인의 삶속에서나, 사회 속에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나, 어떠한 정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작점으로써 매우 중요한 의미로 다가 옵니다. 올해로 예울마루는 개관 9주년을 맞이하여 그 동안 다양한 공연, 전시, 교육프로그램 등 전남 동부권 대표 아트센터로 자리매김을 하였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새로운 도전을 멈추지 않는 아트센터로서 예울마루 창작스튜디오의 첫 번째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선보여 그 의미를 드높이고자 합니다.             

 2020년에 이어 지금까지 코로나 19가 바꿔놓은 일상이 많은 사람들에게 어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또한 언젠가 종식됨을 알고 다음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습니다. 예울마루 창작스튜디오 1기 입주예술가들도 이 어려움 속에서도 묵묵히 노력하여 결과물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러한 결과물을 공유하고 함께 어려움을 이겨내는 예울마루가 되고자 합니다.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는 코로나 19의 보건상 안전을 위하여 방역지침에 따라 안전한 결과발표전이 진행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입주기간동안 열정을 쏟은 1기 예술가들에게 감사를 드리고, 앞으로 그들의 행보에도 많은 기대와 응원 바랍니다. 또한 GS칼텍스 예울마루는 창작스튜디오가 국내외 예술가들에게 매력적인 창작활동의 산실이 되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힐링과 감동을 선사해 줄 수 있는 작품이 탄생하고, 이곳을 거쳐간 작가들이 세계적 명성을 얻는 작가로 성장하는데 디딤돌 역할을 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021. 1
GS칼텍스 예울마루   



예술인연합AAA

장도 1901
2021. 1. 8(Fri) - 1. 31(Sun)

장도 창작스튜디오가 들어선 자리는 이 소담한 섬이 진섬으로 불리던 때 살던 누군가의 집터다. 우리는 어떤 웹페이지의 위성 지도에 나타난 몇몇 집들을 발견했다. 이쪽의 현재에는 없으나, 다른 현재에는 있는 진섬의 집들. 섬의 시간에 비하면 섬에 머물렀던 것들은 순간이었고 이제 탈바꿈했으나, 섬 자체의 기억과 시간은 어떨까? 이 섬의 시간이 인간의 그것과 같은 방식으로 흐르지는 않을 것이다. 예전의 것들 사이에 새로운 것들이 겹쳐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는 어떤 잔상들이 아직 이 땅 위에 어른거린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잔상들을 불러들여, 지금의 장도 속에 놓아보고자 한다. 
 
이런 구상에 따라 프로젝트 <장도 1901>는 장도의 옛 지번에 가상의 집을 지었다. 원주민의 이야기와 수집된 자료를 통해 장도의 옛 기억을 집의 형태로 소환하고, 예술의 섬으로 탈바꿈한 장도를 찾는 사람들을 향해 장도의 시간을 발화한다.


시간의 집 : 진섬 190-1번지> 2020 / 해변가 가변설치_진섬, 여수

예술인연합 AAA는 시각예술가 4명(김도영, 송성진, 이창운, 이창진)으로 구성된 프로젝트그룹으로 작품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예술가들에게 다양한 창작환경을 제시하는 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열린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발>, <유령:시간이 어긋나 있다>, <파종:행동유도>등의 전시 참여 활동 외에도, 전국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예술가들에게 창작공간으로 제공하는 <아트스쾃프로젝트AAA>와 <언리미티드 스페이스>프로젝트를 서울문화재단, 영등포문화재단 외 기관과 협업하였으며, <ACT43>, <No Routine>, <To be the Best>, <Re:Edit>등의 전시 기획, 김해문화재단 웰컴레지던시 전시사업기획 및 자문, 지역리서치 프로젝트<도시노리>, 공공미술프로젝트<모여짐, 지금여기모두>등의 여러 시각관련 프로젝트들을 기획, 진행해왔다. 

현재 경남 김해에서 아티스트-런-스페이스 <SPACE사랑농장>을 운영 중이다.





이지연&성정원

긴 섬, 드문 바람 오롯한 그림자
2021. 2. 9(Tue) - 3. 7(Sun)

물때에 따라 잠기고 드러나는 진섬다리의 상황은 두 작가에게 어떤 모양과 색의 경험이 되었을까?




“긴 섬, 드문 바람 오롯한 그림자” 는 장도를 소재로 하는 [열쇠 없는 방] 프로젝트의 두 번째 전시이다. ‘장도 창작스튜디오’라는 특정된 낯선 공간에서 일상의 시간을 보내게 된 경험을 토대로 공간과 공간, 사람과 사람 그리고 시간의 흐름 사이에서 [열쇠 없는 방]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공간과 시간의 개방성과 폐쇄성에 대한 고민과 실험을 보다 확장시킨다. 

긴 형태의 지형 때문에 장도(長島)라고 불리는 섬. 원래 토속어로는 ‘진섬’이었고 그 섬과 육지를 잇는 다리는 ‘진섬다리’로 물때에 따라 사람의 움직임은 제한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특성은 이제 원주민이 떠나고 그 자리에 새로운 건물들과 누구나 자연과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현대적인 예술의 섬으로 변모하였고, 예술가는 원주민이 있던 자리에서 달과 지구의 관계에 따라 변하는 물때, 시시각각 움직이는 해의 빛, 계절에 따라 변하는 바람을 간절히 호젓이 느끼고, 이제 장도의 감성을 표출한다. 
‘장도’라는 장소에서 느끼고 경험한 시·청각적 기억과 기록 등을 바탕으로 영상, 설치, 평면작업 등 각자의 조형 언어로 표현함을 고민하였다. 


[열쇠 없는 방] 프로젝트는 이지연&성정원의 기획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두 작가가 우연히 혹은 일적으로 여러 도시를 경험한 것을 조형적으로 해석한다. 청주, 김해, 제주 등 여러 지역에서의 ‘경험의 우연한 교집합’을 바탕으로 2017년 대청호 미술관에서 동명의 전시를 구성했다. [긴 섬, 드문 바람 오롯한 그림자]로 2020~2021년 장도의 시·공간을 겪으며 느낀 ’장소감‘에 대한 관심사를 새롭게 펼친다.


이민하

장도에서
2021. 3. 12(Fri) - 4. 4(Sun)


나는 새로운 장소들과 그곳의 이미지들에서 끊임없이 작업의 영감을 받는다. 풍경을 그리는 것이지만 단지 풍경화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장소에 대한 이야기와 분위기 그곳이 주는 독특한 암시 등이 상상을 불러 일으켜 작업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장도에서 (No3) 43.5x35cm Acrylic on canvas 2020


“장도에서” 시리즈는 장도 창작스튜디오에서 작업하며 느끼고 관찰한 주변 환경(계절, 공기, 대기, 낮과 밤, 시간)에 대한 연속적 기록의 작업들이다. 하늘과 바다 섬에 대한 구조적 작업은 나의 기억의 원형 속의 이미지와 현재 바라보는 장도 주변 풍경에 대한 결합의 산물이다. 나는 늘 바다의 풍경에 매료되어 대부분의 물에 관한 작업은 바다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바다를 바라보며 느끼는 감성과 심상을 다양한 구도와 색채를 통해 독특한 나만의 바다 풍경으로 표현된다.


8월30일 장도하늘 (No1) 162x260cm Acrylic on canvas 2020


“8월 30일 장도하늘” 시리즈 또한 이번 여름태풍이 지나간 후에 스튜디오에서 바라본 장도 하늘의 드라마틱한 형상을 통해 실재적이면서 감정적인 요소와 작업현장 속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내면의 반응이 작품으로 표현된다.
주로 자주 다루는 내 그림 속의 형태와 구도는 비사실적인 낯선 형태의 풍경이 그려진다. 그것은 닮은 듯 닮지 않는 사여불사지간(似與不似之間)의 형태로 표현된다. 사실주의적 풍경을 그리지 않기 때문에 표현방식은 왜곡, 과장, 편파구도를 주로 사용하며 사의적 호흡에 치중하기 때문에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에 몰입한다.


이민하는 1963년 여수에서 출생하여 경기대학교 서양학과 및 同 조형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했으며, 1991년 서울 백송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9년까지 26회의 개인전, 450여회의 단체전 및 기획전에 참가했다. 경기대, 전남대, 창신대, 호남대 등에서 강사를 역임했으며, 구상전공모전 대상,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의 수상경력과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2회 등 25회 각종 공모전 심사위원으로 지낸바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한국미술협회 이사, 여수미술협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