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아트큐브 과천: 과천시 공공미술프로젝트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과천시민들이 직접 만든 공공미술 <아트큐브> 

○ 3월 28일부터 4월 4일까지 중앙공원에서 공공미술전시를 개최
○ 과천시민과 작가 102명이 81차례의 원탁회의를 거쳐 제작한 큐브작품 19개와 오픈채팅방, 
다양한 워킹스루 체험을 운영할 계획 


  
COVID19를 이겨내는 과천아트큐브 공공미술 축제
  워킹스루 전시로 주민 소통의 장을 열다
 
혼자 장을 보고, 홀로 걸으며, 따로 밥을 먹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소통에 대한 욕구는 사치가 되었다. 그러나 내가 사는 마을에 깃들여 살고 있다는 안정감은 소통의 힘에서 만들어진다. 소통의 힘은 소속감과 책임감도 넝쿨처럼 따라온다. 함께 깃들여 살고 있다는 시민 정신이 가져다주는 따뜻한 안정감이다. 

귀기울여 들으면 과천에도 다양한 목소리가 있다. 여성, 청년, 전문가, 장애우, 고등학생, 중학생, 도서관을 사랑하는 사람들, 대안학교, 40대 중장년 남성과 같은 9개 모둠이 2021년 새해 벽두부터 모임을 꾸려 대면-비대면의 방식을 아슬아슬하게 유지하며 소통을 시도하고, 이곳-이 시간에 깃들여 사는 각자의 방식을 털어놓고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 이야기를 담은 ‘사회적 조각’인 큐브 19개를 3월 28일부터 4월 4일까지 8일간 과천중앙공원에 전시한다.

‘사회적 조각’은 독일의 현대미술작가 요제프 보이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그에게 예술은 관객의 삶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정신을 말한다. 그 결과 삶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도록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열린 생각과 미적 감수성, 창의성, 상상력이 필요하다. 시민 누구나 이러한 능력을 가지고 사회적 조각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적극적 시민이 되어 공공미술 『아트 큐브』를 통해 우리 동네를 보여주는 것이다.

『아트 큐브』는 예술과 시민을 이어주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그래서 『아트큐브』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작품이 되도록 할 것과 워킹스루로 참여하는 시민들에게 놀이의 공간이 될 것을 지향한다. 시민이 예술 작품의 주체가 되면서『아트큐브』는 시민에게 문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탄생하는 것이다.
 
참여한 9개 공동체는 여성과 소수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하여 구성하였다. 추억의 놀이터(여성노인+성영숙작가), 나무야나무야(남성 노인+강영희, 오형숙작가), 해마루(장애우+김민관작가, 박정렬모더레이터), 열정(여성비전센터의 봉사활동 여성+김준아작가), 무지개(대안학교 학생들+김영숙작가), 팔방미인(과천고 학생+심효선작가), DoRun(마라톤을 뛰는 러닝크루 청년들+강철작가), 두근두근(방과후학교 아빠모임+박준하작가), GQ56.9(여성들의 영어클럽+김영란작가)이다. 

9개의 공동체가 다루는 주제는 매우 다양하다. 우리 사회의 당면 의제를 다루기도 하고 개인의 삶에 관한 담론, 취향과 삶의 방식, 개인들이 느끼는 사회적 책무를 다루기도 한다. 남성노인팀은 무엇보다 오랫동안 몸에 배인 사회적 책무를 다룬다. 여성노인들은 ‘추억의 놀이터’를 만들어 따뜻한 마음으로 사회를 보듬고자 한다. 무지개학교 초등학생들은 우주까지 펼쳐지는 상상력을 발휘한다. 가장 학구적인 영어클럽은 과천성당을 답사하는 한편, 참여자마다 가지고 있는 다른 색깔의 목소리를 어떻게 담아낼지 고민한다. 진지하게 환경을 고민하기도 하고 주변 환경을 몸으로 직접 체험하면서 이해하려는 그룹도 있고 축구와 달리기와 같은 개인의 취미활동이 공동체 활동으로 어우러지는 그룹도 있다. 

두 달 동안 옥신각신하며 생각을 모은 9개의 공동체 생각의 모양인 『아트큐브』가 현재 과천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주고 기록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시민에게는 팬데믹 이후에 관계를 엮어내는 새로운 예술 경험이, 정책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시민들의 생각을 읽어내는 즐거운 모험이 될 것이다.



개요
제    목 : [아트큐브과천] 과천시 공공미술프로젝트 
전시기간 : 3월 28일(일)~4월 4일(일) 
장    소 : 과천 중앙공원 현충탑 ~ 관악산 모형 사이 
행    사 : 오픈카톡방 작품감상문 모집, 커피체험프로그램 
참    여 : 카카오톡 오픈채팅 QR코드

참여공동체/작가 : 

추억의 놀이터(여성노인 : 김인애, 김종둔, 김지윤, 양영숙, 이금례, 이윤심 + 작가 : 성영숙)

나무야나무야(남성 노인 : 김용민, 김장수, 박건홍, 정재수, 조상제, 최재혁 + 작가 : 강영희, 오형숙)

해마루팡팡(장애인 : 권혁소, 김명란, 김세종, 김혜정, 남기민, 양혜원, 이유민, 정장엽, 정혜원, 조성진 ​+ 작가 : 김민관, 모더레이터 : 박정렬)

열정(여성비전센터의 봉사활동 여성 : 강명임, 김순자, 이금자, 장란희, 정연희, 조해숙, 차연경, 한점수 + 작가 : 김준아)

행동하는 아이들(대안학교 학생 : 김고운, 김민솔, 김시와, 김현준, 박승교, 이유주, 임현채, 장성민, 정효재, 한 채민, 현정아, 현정요 + 작가 : 김영숙)

팔방미인(과천고 학생 : 고은별, 노지원, 민지유, 백화영, 손율리아, 신성률, 조민영, 하주연, 허기환 +교사 : 신성률 + 작가 : 심효선)

과천러닝크루(GRC)(러닝크루 청년들 : 길영랑, 길영혜, 김병수, 김재호, 방수영, 원지연, 이혜성, 정대운, 홍문화 + 작가: 강철)

두근두근(축구하는 공동육아 아빠 : 김경호, 김영심, 오영배, 이성진, 이인구, 이중엽, 장현수 ​+ 작가 : 박준하)

GQ54.9(여성들의 영어클럽 : Chloe정은주, Janice나윤희, Jinee 최진희, Julie정경아, Laura정현주, Michelle조명희, Rie윤성례, ​+ 작가 : RangkeO김영란)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경기도
주    관 : 과천시, aec비빗펌 
문    의 : 이은주 코디네이터(ejl940727@gmail.com)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 관람 후기를 남겨주세요~”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