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정희: 풍경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4-04-24 ~ 2024-04-30

  • 참여작가

    이정희

  • 전시 장소

    선아트스페이스

  • 문의처

    02-733-0730

  • 홈페이지

    http://sunarts.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이정희 : 풍경



■ 전시개요

전 시 명 이정희 : 풍경
기     간 2024.04.24(수) ~ 2024.04.30(화)   
장     소 선아트스페이스
                 서울 종로구 삼청로 75-1, 지하 1층
                 T.02-733-0730
                 sunarts.kr
오 프 닝     2024.4.24(수) 오후 5시
참여작가    이정희




남한산성스케치 / 60*13*15 / 옹기토/ 1P

마을풍경 / 40*19*13 / 조합토, 유약, 투명 아크릴 / 1P




■ 평론

태초의 산이 전하는 ‘신화 속 창조적 원형’을 만나다
글_김윤섭(아이프미술경영 대표, 미술사 박사)

하늘과 땅이 생겨난 맨 처음, 태초에 산이 있었다. 그것은 하늘과 대지를 잇고, 대기의 숨결이 탄생하는 곳이다. 아마도 시원의 역할을 하는 ‘신화 속 창조적 존재’의 출현일 것이다. 이정희의 도조 작품은 시간을 초월한 절대적 시점인 ‘태초(beginning, 太初)’의 산에 대한 인상을 담아냈다. 마치 사유의 바다 위를 항해하고 있는 것처럼, 명상적인 고요함마저 감돌고 있다.

태초에 대한 대표적인 이야기는 성경 구절에서 만날 수 있다. 창세기 1장 1절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는 대목부터 극적인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어서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라는 구절로 천지창조에 대한 선언의 하나님 말씀이 전해진다. 

이를 요한복음 1장 1절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라는 구절과 비교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이정희 작가가 꼭 기독교적 종교 사상만을 작품에 담아 설파하려는 것은 아니다. 과연 이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졌다면 첫 모습은 어땠을까? 또한 그 첫 주인공은 누구(어느 대상)였을까?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의문이며 궁금증이다. 이정희의 작품은 인류의 첫 궁금증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 준다.

이정희 작품은 회화를 입체로 보는 것 같은 연출력이 돋보인다. 태고에 산이 태어나는 순간을 부감법으로 내려다본 산수풍경이 연출된 듯하다. 물 위에 떠 있는 섬(산)들은 환상적이고 초월적인 장면을 연상시킨다. 살갗을 스치는 바람의 흔적, 구름이 지나간 자리, 봄꽃 향기가 여운, 물과 불의 정기가 스민 형상 등. 그 안에는 자연 사계의 서정성을 품고 있어 친밀감이 넘친다. 태초의 산이 전하는 신화적 창조의 원형을 명징한 도자기법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이다.
  
작품 제작은 주로 ‘슬립 캐스팅’ 기법을 활용한다. 이는 흙물(슬립)을 석고틀(몰드)에 부어 원하는 형상 및 작품을 만들어내는 도예기법 중 하나이다. 액체 상태의 점토를 활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를 정확하게 얻어낼 수 있고, 부드럽고 유연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마치 아무런 접촉도 없는 무결점의 순결한 상태를 창조하는 것에 비유할 만하다. 이정희 작가 역시 이런 특성을 ‘태초의 영험한 순간과 창조적 첫 탄생의 대상’을 표현하는데 활용한 셈이다. 특히 슬립 캐스팅 기법의 도자에 최소한의 절제된 회화적 터치가 남다른 감각을 선사한다.

앞산 스케치, 마을풍경, 달 밝은 밤의 풍경, 바람이 머물다간 자리, 비 오는 날, 봄의 풍경화, 생명의 숲, 환희, 화평, 임재(臨在) …. 이정희 작품의 제목은 일상에서 출발해서 자연의 사계를 거쳐 절대자와의 숭고한 조우까지 아우르고 있다. 작품 형식의 변화보다, 유사한 형상이지만 그 안에 내재한 의미가 그만큼 폭넓고 다양하다고 이해하는 게 맞겠다. 특히 그리스도교에서 하나님이 인간에게 나타나는 일을 표현한 ‘임재presence, 臨在’를 작품 제목에 사용한 점이 주목된다. 그녀의 산이 궁극적으로 어떤 존재로서 다가가길 기대하는가 짐작되는 대목이다.

이정희의 작품들은 꼭 종교성이 아니라도, 다양한 신화적 관점에서 해석도 가능하다. 신화(神話, myth)는 흔히 ‘섬김을 받지 않는 종교’에 비유된다. 한 나라 혹은 한 민족, 한 문명권으로부터 전승되어온 일상에 스민 특별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신화는 우주론을 포함해 종교의 체계를 갖긴 하되, 건축·문학·예술·언어 등 다양한 문화 속에서 전승된다. 그래도 인류가 한 뿌리에서 출발했다고 믿듯, 온갖 종류의 신화들도 서로의 많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가령 고조선 시대의 단군신화에도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 등이 등장한다. 어떤 이는 바람과 비와 구름을 관장하는 그 예비자들의 흔적을 이정희 작품으로 만나기도 할 것이다. 그만큼 그녀의 작품은 누구에게나 어떤 상황에서도 열려 있다. 그 옛날부터 인간이 가장 궁금해하는 이야기의 답을 찾기 위한 여정으로 출발했기 때문이다. 신화가 시작되고, 혼돈과 천지개벽, 세상의 탄생 등 태초의 시작에 대한 궁금증을 이정희 작품을 통해 단편적으로나마 상상할 수 있는 즐거움을 얻게 된다.




밤바다 / 120*90*68 / 레진, 아크릴 칼라, 흑경 / 7P

봄날의 풍경화 / 86*35*40 / 슬립, 안료




■ 작가노트

어린 시절 툇마루에 누워 바라보던 산 능선이 눈앞에 선명하다.
높지도 낮지도 않은 산들이 가는 곳마다 펼쳐진 우리 땅의 익숙한 풍경들.
자칫 지루한 듯 반복되는 능선들.
비슷한 듯 다른 고향마을의 산들이 떠올라 부드러운 흙을 만지며 창조주 하나님의 마음을 상상해 본다.

"어느 것 하나 사랑스럽지 않은 것이 없었단다."

모든것 들이 질서 있고 정결하게 창조되어 그 안에 생명을 담아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자세히 보면 어느 것 하나 버려질 것 없이 창조주의 사랑을 담고 있어 감탄하게 된다.
그 앞에선 나는 그저 겸손하게 머리 숙여 감사할 수밖에 없다.

시시각각 계절의 옷을 갈아입고 상처받고 아픈 우리들의 마음을 품어주는 산들이 좋다. 
굳이 오르지 않아도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어 주는 그 산이 좋다.
온갖 새와 짐승을 품어주는 그 산에 오늘도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분다. 
봄, 여름, 가을, 겨울바람을 타고 변함없이 생명은 자란다.
육지에서도 바다에서도 만날 수 있는 풍경들을 조형이라는 언어로 드로잉을 한다. 
그 속에서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창조의 원형을 만나고 싶었다. 
어느 것에도 구속되지 않는 영원한 자유.
에덴동산을 꿈꾼다.

- 이정희




비오는 날 / 55*40*40 / 슬립, 유약

생명의 숲 / 85*30*30 / 흑토, 흑경




■ 약력

이정희 (b.1964)

학력
1986년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개인전 및 그룹전
1986 년 ~ 1992년 | 그룹조각전 다수
2009년 3월 ~ 2010년 3월 | 대치동 디오리지날 가구점 전시
2009년 12월 ~ 2010년 2월 | 압구정 런던아이 전시
2014년 12월 | “도자기와 꽃의 하모니” 플라워아트 콜라보레이션전: 네오 플라워 갤러리
2015년 | 양천구 장애인 복지관 벽화제작
2018년 2월 | 슬릭 그룹전 / 슬릭 갤러리(부산)
2020년 6월 | 천안 범양 레우스 아파트 조형물제작 및 설치

Contact
E-mail : tedymanse@naver.com
instagram : jeongheeyi7




섬풍경1 / 85*45*11 / 슬립, 투명유, 아크릴/ 2P

앞산스케치 / 55*25*10cm / 옹기토 / 1P

임재1 / 42*42*40 / 슬립,안료

패턴 / 70*30*25 / 조합토, 유약, 아크릴 물감 / 2P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