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유희진: Le Mal Du Pays: homesickness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Becoming Like My Mom, 2024, Oil on linen, 121.9 x 116.8 cm , 48 x 46 in.


가나아트는 유희진(b. 1987)의 개인전, 《Le Mal Du Pays: homesickness》를 개최한다. 독일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는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시카고)에서 학사, 캘리포니아 대학교(UCLA, 로스앤젤레스)에서 회화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작가는 일기에 기록된 일상의 순간들과 기억, 감정에서 영감을 받아 떠오른 내면의 이미지를 캔버스 위에 재구성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지난 몇 년간 하프 갤러리(Half Gallery, 뉴욕), 알민 레흐 갤러리(Almine Rech Gallery, 브뤼셀), 스퍼스 갤러리(Spurs Gallery, 베이징), 쿤스트라움 포츠담(Kunstraum Potsdam, 베를린), 블룸 앤 포(Blum and Poe, 로스앤젤러스)와 같은 다양한 갤러리에서 전시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은 조지아주 애틀랜타 하이 미술관(High Museum of Art, Atlanta), 플로리다주의 마이애미 페레즈 컬렉션(Pérez Collection), 마이애미 현대미술관(ICA), 마이애미 마르케즈 아트 프로젝트(Marqués Art Projects), 뉴욕 플래그 아트 재단(The Flag Art Foundation), 중국 리자오 샤오 박물관(Xiao Museum) 등에 소장되어 있다. 작가는 이번 한국에서 갖는 첫 번째 개인전을 통해 집과 향수(鄕愁)에 대한 개인적 이야기를 담은 9점의 신작 회화를 선보인다.

유희진은 미국 서부에서 관찰한 자연환경과 햇빛에서 영향을 받은 따뜻하고 선명한 색감으로 그려낸 일상 속 풍경 위에 굵은 흰 선으로 신체의 일부를 그리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는 작업하는 과정에서 자기 성찰적인 사유의 시간을 보내며 내면의 기억을 떠올리고 화면을 구상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스쳐 지나간 일상과 감정의 편린에서 비롯된 심상 풍경을 그리고 그 위에 등장하는 다양한 형상들을 단순화시키며 그만의 독자적인 조형 언어를 발전시켰다. 또한 그의 작품에는 흰 선으로 실루엣을 그린 신체 일부분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이들은 종종 전경과 배경을 넘나들며 작품에 역동적인 공간감을 연출한다. 이는 작가가 현재 함께 사는 연인과 서로 떨어져 지냈던 시기에 느낀 그리움과, 사소하지만 행복한 추억과 감정을 되새기며 그림에 그려 놓은 것으로, 작업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그가 정체성을 탐구하고 자연과 소통하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의 근작에는 손이 자주 등장하는데 작가는 손이 얼굴을 그리는 것보다 더 깊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라고 말했다. 작가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손을 뒤틀고 단순화시켜 다양한 동작 및 크기로 표현함으로써 독창적인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신체는 작가 자신이기도 하고, 더 나아가 불특정 다수의 누군가가 되어 작품에 다양한 내러티브를 부여하며 관객을 상상의 나래로 이끈다.

이번 전시의 제목인 <Le Mal du Pay: Homesickness>는 전원 풍경이 사람의 마음에 불러일으키는 알 수 없는 향수, 또는 멜랑콜리를 의미한다.  이는 프란츠 리스트(Fraz Liszt, 1811-1886)의 ‘순례의 해’라는 소곡집에 들어있는 곡으로, 노년의 리스트가 연인인 마리 다구 백작부인과 함께 젊은 시절 스위스를 여행했을 당시를 회상하며 작곡한 곡이다. 작가는 이번 전시를 준비할 때 이 곡을 감상하면서 집과 고향에 대한 자서전적인 작업을 이어 나갔다. 유희진은 집에 돌아올 때 느껴지는 편안함과 안정감, 새로운 집으로 이사할 때 느껴지는 설렘, 그리고 집에서 함께한 이들과의 소중한 추억을 회상하며 전시를 준비했다고 했다. 작가에게 있어 한국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또 다른 집이자 고향이다. 이번 첫 번째 한국에서의 개인전을 위해 유희진 여러 국가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시킨 독창적인 조형언어를 사용하여 어린 시절을 보낸 한국에 대한 그리움과 설렘을 작품에 담아냈다. 

유희진은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의 공유를 넘어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체로서 회화의 가능성을 탐구해왔다. 따뜻한 햇살과 싱그러운 풀 내음이 느껴지는 듯한 그의 작품은 일상에서 지나치기 쉬운 사소하지만 소중한 기억을 되새기게 한다. 저마다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유희진 작가의 신작을 공개하는 이번 전시가 그의 내면세계와 예술적 여정을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New Chapter
2024, Oil on linen 
172.7 x 218.4 cm, 68 x 86 in. 

본 전시의 출품작에는 꽃, 창문, 손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만개한 꽃들과 푸르른 식물들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흰 선으로 묘사된 손이 그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대표작 <New Chapter>(2024)에서는 흰 선의 손이 화면 중앙에 분홍색 튤립을 들고 커다란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화면의 양쪽에는 제목처럼 새로운 막이 열렸음을 암시하듯 격자무늬의 회색 커튼이 활짝 걷혀 있고 그 사이로 내부인지 외부인지 알 수 없는 공간이 펼쳐진다. 집과 외부를 연결하면서도 공간 분할의 역할을 하는 창과 문은 안팎을 알 수 없는 다차원적인 형태로 재구성되어 초현실적인 요소를 더한다. 또한 그의 회화는 멀리서 보면 단순한 색면의 구성처럼 보이지만, 작가는 전원 풍경 속 자연물들은 작은 붓 터치로 잔디 잎 하나하나까지 세밀하게 묘사되여 밀도 있는 작품을 완성했다. 이처럼 작가는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것들을 떠올리며 느끼는 감정과 기억에 영감을 받아 떠오르는 내면의 이미지를 캔버스 위에 재구성한다. 작가는 일상 속 기억을 풀어내는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통해 단순히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의 공유를 넘어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체로서 회화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Hiejin Yoo b. 1987

Education
2018 MF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Los Angeles, CA, US
2015 Post Baccalaureat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IL, US
2014 BFA,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IL, US
2011 BA, Seoul Womenʼs University,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4 Plan X Gallery, Capri, Italy (Forthcoming, September)
Le Mal Du Pays: Homesickness, Gana Art Nineone, Seoul, Korea 
2023 AM/PM 11:44, Loyal Gallery, Stockholm, Sweden 
2022 Habit of Necessity, Half Gallery, Los Angeles, CA, US
The Best Things To Hold Onto, Half Gallery, New York, NY, US
2021 Here and There (two person show with Daniel Heidkamp), Half Gallery, Los Angeles, CA, US
2020 Where I Want To Be, Half Gallery, New York, NY, US
2019 The Recovery of Openness, Intimacy, and Trust, Fredric Snitzer Gallery, Miami, FL, US
Solo Presentation, Half Gallery (organized by Marfa Invitational), Marfa, TX, US
2018 Quotidian, Half Gallery, New York, NY, US
2016 The traces of memories, Kopeikin gallery, Los Angeles, CA, US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3 Standing Still, Gana Art LA, Los Angeles, CA, US 
PDA: Public Displays of Affection (curated by Mollie Barnes), Galería Yusto/Giner, Madrid, Spain 
A Crack in Overton's Window (curated by Bill Powers), The Ranch Art, Montauk, NY, US
In New York, Thinking of You, The FLAG Art Foundation, New York, NY, US
Blue is the only color my heart can see, Giovanni's Room, Los Angeles, CA, US
LA Woman (curated by Sophia Penske), Phillips, Los Angeles, CA, US
Horizons, Sow&Tailor Gallery, Hong Kong 
El Royale, Loyal Gallery, Los Angeles, CA, US
2022 Books and Things (curated by Cameron Masters), Helen J Gallery, Los Angeles, CA, US
TUTTI FRUTTI (curated by Evgen Copi Gorisek), PlanX Gallery, Milan, Italy  
Figuration NOW!, Stems Gallery, Brussels, Belgium 
2021 One Day Art Show at Stiltsville, Half Gallery, Miami, FL, US 
Apostolic Succession (organized by Bill Powers), Spurs Gallery, Beijing, China 
Sweet Jane in Fields of Daisies (Curated by Joan Tucker), Phillips, New York, NY, US
A Flower Show, Gangway NPT Gallery, Newport, RI, US
THIS IS AMERICA, Kunstraum Potsdam, Berlin, Germany 
Resting Point of Accommodation, Almine Rech Gallery, Brussels, Belgium
The Void Is Sensation, New Release Gallery, New York, NY, US 
THE ARTIST IS ONLINE (curated by Johann König and Anika Meier), König Galerie, Berlin, Germany 
2020 Universes 3 Show (curated by Sasha Bogojev), Woaw Gallery, Hong Kong
Quixotic; in Pursuit of Romantic ideals, Ramp Gallery, London, UK
Sympathetic Magic (organized by Bill Powers), Blum and Poe, Los Angeles, CA, US
Riders of the Red Horse, The Pit LA, Los Angeles, CA, Us
Sit Still: Self Portraits in the Age of Distraction, Anna Zorina Gallery, New York, NY, US
To Paint Is To Love Again (curated by Olivier Zahm), Nino Mier Gallery, Los Angeles, CA, US
2019 The Passenger, Klowdenmann Gallery, Los Angeles, CA, US
2018 Early 21st Century Art (curated by Bill Powers), Almine Rech Gallery, London, UK
Summer Hots, Fredric Snitzer Gallery, Miami, FL, US
SEED (curated by Yvonne Force Villareal), Paul Kasmin Gallery, New York, NY, US
Everyday Muse, ltd Los Angeles Gallery, Los Angeles, CA, US
Las Lenguas (curated by Gladys-Katherina Hernando), BBQLA, Los Angeles, CA, US
JOAN Benefit Auction, JOAN, Los Angeles, CA, US
After Exit, SMART OBJECTS Landers, Landers, CA, US
Spring Fling Fundraiser, Locust Projects, Miami, FL, US
Still Crazy (The 40th Anniversary show), Fredric Snitzer Gallery, Miami, FL, US
FreshstART, Benefit Heart of LA, Arena 1 Gallery, Santa Monica, CA, US
A Body of Her Own, Makeroom LA, Los Angeles, CA, US
Rema Hort Mann Foundation Benefit Auction, Nicodim Gallery, Los Angeles, CA, US
2017 Mind's I, Dalton Warehouse, Los Angeles, CA, US
LA Woman, Saatchi Art, Santa Monica, CA, US
Haunted Memories, Center for the Arts, Eagle Rock, CA, US
Animal Farm, Dalton Warehouse, Los Angeles, CA, US
FAR Bazaar, Cerritos College Art gallery, Cerritos, CA, US

Selected Public Collections
High Museum of Art, Atlanta, GA, US
Pérez Collection, Miami, FL, US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ICA), Miami, FL, US
The FLAG Art Foundation, New York, NY, US
Marquez Art Projects(MAP), Miami, FL, US
Xiao Museum, Rizhao, China
Zuzeum, Riga, Latvia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Art Gallery, MI, US 
Beth Rudin DeWoody Collection (The Bunker), Miami, FL, US
The Hort Family Collection, New York, NY, US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