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독일 아리랑 45년에 묻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파독광부를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미술작가들의 작품전시, 파독광부의 삶과 역사를 기록한 자료를 모아 역사에 묻힌 파독광부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아카이브 전시, 독일에 거주하는 파독광부들의 인터뷰 영상 및 파독광부들의 역사를 담은 다큐멘타리 영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파독광부는 한국 역사상 최초로 국가가 주도한 인력 수출로 1963년부터 1979년까지 독일로 간 한국의 젊은이는 2만여 명(파독 간호사 포함)에 달한다. 파독광부는 우리 역사뿐 아니라 세계사에서도 매우 희귀한 경우로 45년 전 청년 파독광부들이 흘린 땀방울은 한국 경제 발전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오로지 경제 성장만을 위해 달려온 한국 현대사에서¬ 파독광부의 역할이 이렇듯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한국은 왜 이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일까?

2009년 말까지 이루어진 파독광부 복지사업은 파독광부 미지급 적립금 18억에 정부가 3억을 추가해 총 21억 원의 재원으로 이루어진다. 사실상 파독광부 미지급 적립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지사업은 파독광부들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만큼 파독광부의 역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사업이다.



『파독광부 45년사』 발간 기념행사 당시 재독한인글뤽아우프(Gluckauf)의 성규환 회장은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 현실이 슬퍼 우리 스스로라도 기록을 남기기 위해 70대 노인들이 나섰다”고 말했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독일 땅을 밟은 지 45년이 지난 지금 조국은 그들을 기억하지 않고, 그들 스스로 애환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누구라도 이들의 기록에 작은 도움을 주어야 하지 않을까? 이번 전시가 2009년 파독광부 복지사업을 기념하고 한국 경제 성장을 이루어낸 신화의 첫 주역인 파독광부를 기억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이번 전시는 파독광부를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미술작가들의 작품전시, 파독광부의 삶과 역사를 기록한 자료를 모아 역사에 묻힌 파독광부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아카이브 전시, 독일에 거주하는 파독광부들의 인터뷰 영상 및 파독광부들의 역사를 담은 다큐멘타리 영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작가 박찬경은 일년 가까이 슈트트가르트에 머물며 책 ‘독일로 간 사람들’을 만들었다. 이번 작품은 그때 작업한 사진 작품으로, 잊혀지고 있는 주제를 통해 현재 우리 자신에 대한 기억상실증과 무지, 배타적 민족주의에 대한 경고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작가 박경주는 2000년 작품 <독일의 기억>을 재해석하여, 파독광부들이 지하 갱도에서 캐내던 독일 석탄에, 독일어로는 이중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돈’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금박을 입혀 새로운 입체 설치 작품을 만들었다. 이 작품을 통해 “과연 우리는 그들을 기억하고 있는가?” 혹은 “현재까지 생생한 역사로 살아 있는 이들을 서둘러 우리의 기억 저장 창고에서 지워버린 것은 아닌가?” 묻고자 한다.


박찬경 朴贊景
PARK,CHAN-KYONG

학력
1965 서울생
198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96 캘리포니아 예술대학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예술/사진 대학원 졸업

주요 전시
2008
신도안 - 박찬경 개인전,
아틀리에 에르메스, 서울
Shoot Me Festival, 헤이그
2008 IAS Media Screening, Film Forum,
서울 김수영시인 40주기 추모전시 ‘전향기’,
대안공간 풀, 서울
2007
Activating Korea, Govett-Brewster Gallery,
뉴 플리머스
Seoul - Raume, Menschen, Ifa-Galerie Stuttgart/Berlin, 슈트트가르트/베를린
Fast Break, PKM Gallery Beijing, 베이징
오버하우젠단편영화제/국제경쟁부문
JNP Production, Tokyo Wonder Site - Shibuya,
동경
어제안의 오늘, 토탈미술관, 서울
2006
Move on Asia, 대안공간 루프/ Shanghai Biz Art,
서울/상해
광주비엔날레 2006, 광주비엔날레관, 광주
부산비엔날레 2006,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평양리포트, 북하우스, 파주 헤이리
대구사진비엔날레, EXCO/문화예술회관, 대구
2005
비행 Flying - 박찬경 개인전, 쌈지스페이스, 서울
Paralell Life, Frankfurt Kunstverein, Frankfurt, 독일 Critical Society, Badischer Kunstverein, Karlsruhe, 독일
2004
Seoul; Untill Now!, Charlottenberg Museum of Art, Copenhagen, 덴마크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 아트선재센터, 서울
2003
Facing Korea; Demirrorized Zone, De Appel, Amsterdam, 네덜란드
Koreans Who Went to Germany, Akademie Schloss Solitude, Stuttgart
2002
Paralell World, K&S Gallery, Berlin, 독일
Set, Akademie Schloss Solitude, Sttutgart, 독일
제4회 광주비엔날레 “포즈”, 광주

기금 및 수상
아카데미 슐로스 솔리튜드 펠로우쉽 (2002)(Akademie Schloss Solitude, Germany)
에르메스코리아 미술상(2004)

저서
독일로 간 사람들, 도서출판 눈빛/Edition Solitude, 2003
문화읽기- 삐라에서 사이버문화까지, 현실문화연구, 2000 (공저)





박경주

1968 서울 출생
2009년 현재 이주여성 극단 샐러드 대표
2005년 현재 예비 사회적 기업 샐러드TV 대표 (www.saladtv.kr, 구 이주노동자방송국)
2008년 아시아기자협회 운영위원
2007년 인터넷언론특별상 (샐러드TV- 구 이주노동자방송국, 주최: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학력
2001 독일 베를린예술대학교 수료 (공공미술 전공, Institut for Context Art)
1997 독일 브라운슈바익예술대학교 졸업 (실험영화 & 사진 전공, Experimental Film & Photo , 석사학위)
199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판화 전공, Print Art, 학사)

개인전
2005 ‘이주여성의 삶’, 조흥갤러리, 서울
2004 이주노동자 선거유세 퍼포먼스 순회전, 대구o광주o대전o창원
2002 이주노동자 뮤직프로젝트", 쌈지스페이스 소리, 서울, 한국
2001 "Working Holiday",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인사미술공간, 서울, 한국
1998 "근원, Ur-, Origin", 담갤러리, 서울, 한국

주요 단체전 & 페스티벌
2009 악동들 지금 여기展, 경기도미술관, 안산
Inter City展,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다함께다문화 展,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Magic Moment, 하노버, 독일
2008 민변 20주년 기념전, 갤러리 상, 서울
2007 OFF 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원예술매개공간, 서울
아트인대구전, 대구
실험영화 상영전, 인디스페이스, 서울
2006 Nuit Blanche 2006-made in Asia, Le Divan du Mond, 파리, 프랑스
Off 0°C, Space Cell, 서울
pre-국제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숨결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우표가 되려는 그림전, SBS 아트리움, 서울
미세스 사이공 전, 평화박물관, 서울
2005 Publicly Speaking, 쌈지스페이스 서울 & 도쿄 원더사이트, 한국& 일본
연접지점, 구 전남도청 별관, 광주
해방 60주년 “국기에 대한 맹세”, 공평아트센터, 서울
황해미술제 ‘20-80 How much?',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유쾌한 치맛바람 가족 風전, 서울여성프라자, 서울
2004 시각서사,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노동미술굿, 덕원 갤러리 외,순회전 , 한국
안양천프로젝트 F.L.O.W., 삼덕제지 외, 안양, 한국
리얼링전, 사비나미술관, 서울 , 한국
살림의 경계에서, 덕원갤러리, 서울, 한국
아뜰리에 리포트, 사비나 미술관, 서울, 한국
2003 이미지 엑트, 일주아트하우스, 서울, 한국
Art Project Plug-In, Plug-In, 바젤, 스위스
인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인천, 한국
전주국제영화제-JIFF MIND 2003, 전주, 한국
쌈지스페이스 오픈 스튜디오, 쌈지스페이스, 서울 , 한국
A4반전, 카페 시월, 서울, 한국
2002 광주비엔날레- 집행유예 (프로젝트 3), 5.18 자유공원, 광주, 한국
巫dia- 샤머니즘과 미디어 아트, 연세대학교 박물관, 서울 , 한국
럭키 서울-국제 대안공간 네트워크전, 쌈지스페이스 소리, 서울, 한국
Puddles- Reportage Exhibition/Art Reserch Program in Asia, 도쿄. 일본
소통, 미지센터, 서울, 한국
2001 현장 2001- 건너간다, 성곡미술관, 서울/ 광주롯데화랑, 한국
2000 젊은 모색 2000 - 새로운 세기를 향하여,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1999 Connected, 베를린 커뮤니케이션뮤지움, 베를린, 독일
1998 청년 실험예술 페스티벌, Postfuhramt Oranienburgerstrasse, 베를린, 독일
1997 Fotoraum 98, Quer Galerie der Hdk, 베를린, 독일
1996 1000 Watt Film Projekt - 본인 기획, Aktions Galerie, 베를린, 독일
Kasha Kasha Mutiku, FBZ, 브라운슈바익, 독일
함부르크 단편영화제, 함부르크, 독일
1995 인터네셔널 솔리스트 페스티벌 "Solo Lala", Hochzeitraum, 베를린, 독일
브라운슈바익 영화제, 브라운슈바익, 독일
브라운슈바익 자유연극제, 브라운슈바익, 독일
인터네셔널 언더그라운드 영화제, 베를린, 독일
1992 벼룩시장, 갤러리 2000, 서울, 한국
Neuvell Vague Estampe, 모인화랑, 서울, 한국
Print on Paper, 갤러리 도올, 서울, 한국

출판
2005 ‘이주 + 노동+ 문화행동’-박경주 작품집, 다빈치기프트 현대미술 시리즈
2004 ‘꿈의 나라에서’, 사진집, 이주여성인권센터

문화예술기획
‘아시아문학낭송회’ 프로그램 기획, 공동주최 아름다운재단, 샐러드TV 등
추락천사페스티벌, 총괄 기획, 주최:언더그라운드아트채널, 후원: 서울문화재단
샐러드프로젝트 총괄 기획, 주최: 샐러드TV,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문화가정문화예술치유캠프 총괄기획, 주최: 샐러드TV, 후원: 경기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이주노동자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 제 1차~ 4차, 주최: 샐러드TV,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 등
이주노동자 창작동화 ‘돌 깨는 아이들’(출판 도서출판 작가들, 2009인천우수도서 선정) 출판 기획 및 진행, 주최: 샐러드TV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이주노동자뮤직프로젝트 '인생이란-what is life?' 음반 기획 및 제작,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강의경력
2001- 2006 경원대학교, 경희대학교, 대구대학교, 광주대학교 외 다수 출강
2004 한국사진협회 하계학술대회 특강
2007-현재 유네스코아태교육원, 숙명여대, 국민대 등에서 다문화 관련 특강



샐러드TV 소개

2005년 5월 작은 인터넷 대안언론사로 탄생했던 이주노동자방송국이 2009년 ‘다문화방송국 샐러드TV’라는 이름으로 새 출발을 하려 합니다. ‘다문화방송국 샐러드TV’는 사회적 목적을 갖고 국내 거주 이주민을 위한 정보 소통의 창구가 됨은 물론 다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배급, 교육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주민은 물론 내국인들의 문화 향유에 힘쓰기 위해 현재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서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다문화방송국 샐러드TV’는 이주민과 한국인이 함께 운영하는 다문화방송국으로 한국어 외에도 영어, 중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네팔어, 몽골어 등 총 8개 언어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주여성 문화 활동가로 구성된 극단 ‘샐러드’를 창단해 다문화 문제를 한편의 공연예술로 창작하여 한국 사회 다문화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다문화 관련 출판, 전시, 교육을 진행하는 문화예술 전문 기획팀 ‘샐러드붐’을 만들어 다양한 스팩트럼으로 한국 사회의 문화다양성 과제에 접근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문화방송국 샐러드TV’는 인터넷 미디어를 기반으로 이주민과 이주민, 내국인과 이주민 간의 소통을 매개하는 다문화 세상을 추구합니다.

샐러드TV www.saladtv.kr

(1) 연혁

2009청강산업대학 만화과와 산학협력협정 체결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실험센터 입주
네이버 다음 포털 사이트 뉴스 크롤링 서비스 시작
2008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 시작 (16명)
서울외국인노동자센터와 협력해 샐러드TV 사업단 구성
신문발전위원회 기획취재지원금 수령
2007배화여자대학 통합교육지원센터와 협정체결
샐러드 프로젝트 팀 개설
신문발전위원회 소외계층매체 지원사업자 선정
2006다음세대재단 문화다양성 기금 지원 단체 선정
제 2회 후원의 밤
다국어 라디오 방송 개국
종이 소식지 제 2호 발행
2005인터넷언론네트워크 회원사 등록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회원사 등록
제 1회 후원의 밤 개최
계간 소식지 제 1호 발행
한국어사이트 개국

(2) 주요활동

2009다함께 다문화 전 개최 및 다문화 예술품 판매
‘초원의 바람- 몽골’ 다문화 워크숍 개최
2008다문화가정 부부 문화예술치유캠프 실시
2007‘다문화가정’ 문화예술치유 1차 프로그램 실시
창작동화 '돌 깨는 아이들' 출판 기념회
'1963_ 2007, 그 곳' 다국어사이트 개국 기념 공연 개최
심포지움 '이주민과 미디어' 개최
(장소: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 라운지, 공동주최: 한국언론재단)
다국어 사이트 개국 및 기념 기자회견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 라운지)
인터넷 언론 특별상 수상 (주최: 인터넷 기자협회)
제4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
2006제3회 시민기자 양성을 미디어교육
제2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교육 실시 (후원: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5제 1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 실시




파독광부의 역사
1961. 03. 18. 대한민국 정부와 독일연방공화국간의 기술 원조에 관한 협정 체결
1961. 04. 14. 대한석탄공사와 서¬독 지멘스사 사이에 루르 탄광에 한국 광부를 고용한다는 각서¬ 교환
1961. 12. 13. 한•독간 경제 및 기술 원조에 관한 의정서교환
1962. 05. 24. 서독 M.A.N.사 주독 한국대사에게 한국인 근로자 500~1,000명 고용 의사 표명
1963. 01. 07. 한국 정부 주서¬독 대사에게 인력진출 종합계획 추진을 지시
1963. 05. 11. 독일 노동성 광부 250명의 고용을 희망(3년간)
1963. 08. 09. 한국 정부 서울 시장 및 각 도지사에게 서독 광부 모집 선발 지시
1963. 12. 16. ‘한국 광부의 독일 광산 임시취업 계획‘ 제1차 협정 체결
1963. 12. 21. 파독광부 제1진 제1기 123명 출국
1963. 12. 21. ~ 1966. 7. 30 제1차 광부 총 7진 2,521명 출국
1964. 06. 10. 독일 측에서¬ 3년간 총 2000명 범위 내에서¬ 광부 요청
1965. 01. 29. 주독 대사관과 독일 탄광협회간에 제2차 파견(2,000명) 합의
1965. 10. 26. 서¬독 탄광협회 11월 중에 140명의 광부, 1966년 1, 2월에 400명의 광부를 고용할 수 있다고 외무부에 요청
1969. 11. 27. 제1차 광부협정 개정
1970. 02. 18. 한•독 정부간 제2차 광부 파독을 위한 협정 체결
1970. 02. 19. ~ 1977. 10. 22. 제2차 광부 총 47진 5,415명 출국
1970. 05. 22. 독일 석탄광산에서의 한국 광부의 취업에 대한 한독 정부간의 협정
1973. 11. 23. 독일 정부 ‘외국 노동력 도입 중지’ 방침 발표
1978. 독일 정부 외국 신규 근로자 고용 전면 금지




한국파독광부총연합 파독광부 복지사업 결과 보도자료

사단법인 한국파독광부총연합에서는 2009년 파독광부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파독광부 백서를 발간하고 파독광부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기자회견을 갖는다.
 장소: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 일시: 2010년 1월 16일 오후 5시
 파독광부백서 2009

제1장. 한국 광부의 파독 배경 및 목적
: 독일은 어떤 나라인가, 한국광부 파독의 배경, 한국광부 파독의 목적, 독일광산사, 국가발전의 역군들(광부, 베트남파병, 중동근로자
제2장. 한국광부의 파독 과정
: 파독절차, 주요협정, 고용계약서, 광부의 파독규모
제3장. 파독광부의 독일광산 및 독일 생활
: 근무조건 및 환경, 파독광부가 일했던 주요 광산들, 근무외에 독일 생활, 사망자 및 부상자, 광부의 일기와 일상생활
제4장. 한국을 빛낸 파독 광부
: 귀국 독일 체류 및 제3국 진출, 국내 외 파독광부 수기와 에피소드, 2세들의 눈부신 활동
제5장. 파독광부의 의의
: 파독 광부의 경제적 의의, 파독광부의 사회문화적 의의, 경제성장의 초석 놓고 독일엔 한국 혼 심어,
제6장. 국내외 한국파독광부 총연합회 활동
: 국내활동의 현황 및 향후활동, 국외활동 현황 및 향후활동, 파독광부 총 명단, 파독광부와 관련된 기사내용,
제7장. 이 책의 후기
: 45년 세월이 흘러-외국인 노동자와의 만남
독일과 한국 폐광촌의 과거․현재․미래
파독광부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보상 없어
파독 광부․간호사 기념관 건립(안)
한강의 기적-회원에게 드리는 편지

파독광부 백서 편집인 약력: 권이종(權彛鍾)

전북 장수 태생으로 전주 신흥고를 졸업하고 1964년 독일로 건너가 메르크슈타인 아돌프 광산에서 3년간 일했다. 그 후 독일 아헨교원대학교에서 학사 ․ 석사 및 교육학 박사학위와 교사자격증을 취득했다. 독일에서 한글학교 등 청소년운동에 힘을 기울이다 16년간의 독일생활을 정리하고 귀국 후 한국청소년운동과 교육발전을 위해 한평생을 보냈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전 한국청소년개발원 원장으로 재직 했으며,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문경해보라대안학교 이사장으로 재직중이다.
주요 경력으로는 문교부 ․ 체육청소년부 ․ 교육부 자문위원, 문화관광부 청소년정책 자문위원, 한국청소년연구소 연구위원, 대통령 자문기구 새교육공동체 위원, 서울특별시 청소년위원회 부위원장, 서울특별시 소년 ․ 청소년상 심사위원장, 한국청소년학회 회장, 한국간행물윤리위원, 대통령 자문 청소년보호위원, 대통령 교육자문 사교육 공동체 위원, 민주평등 자문위원, 체육청소년자문 분과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국가발전과 사회교육』, 『청소년 지도의 실제』, 『유럽 주요국 교육제도』, 『자녀지도 어떻게 해야하나』, 『맴도는 아이 방황하는 부모』, 『청소년의 두 얼굴』, 『학교가 환자를 만드는가』, 『청소년학개론』, 『내일에 사는 아이 어제에 사는 어른』, 『현대사회와 평생교육』, 『청소년과 교육병리』,『청소년이해론』,『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제』,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 50여권의 저서가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 ‘고난의 벽을 넘어 – 기적의 라인강으로’ 의 내용(30분):
S#1. 아름다운 대한민국 금수강산
S#2. 침략, 약탈, 전쟁, 가난, 50년의 세월
S#3. 고난의 벽을 넘어 라인강으로
S#4. 정부간 협정에 의하여 모집된 광부들 1차 500명 교육현장
S#5. 김포공항 1963년 12월 21일, 대형 여객기와 우리 젊은이들
S#6. 독일-1960년대 고도성장으로 선진화를 이룬 그리고 동서로 갈라진 분단국, 독일로 가다
S#7. 한국에서 온 젊은 광부들, 독일에서 고난의 삶이 펼쳐지다
S#8. 독일로 간 한국 간호사, 1966년 1월 김포공항
S#9. 박대통령 독일 방문
S#10. 지금까지 일하는 그곳 마지막 탄광
S#11. 오늘의 독일 광산 전경, 해외도시
S#12. 45년이 지난 지금, 세계 각국에서 꿈을 펴는 동료들
S#13. 그들은 세계 곳곳에서 지금도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S#14. 독일의 오늘 - 이제 독일은 한국동료들의 제2의 고향이다. 2세들은 그곳이 출생지다. 그들은 독일 문화를 역사를 알고 있다.
S#15. 기적의 한강 : 2010년 맞는 한강, 그리고 고향

영화제작자 약력: 김태우
1964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3년수료
1964년 파독광부로 3년 근무
1969년 신영필름 영화사 설립 現 신영필름 대표
1994년 대통령 산업표창
2008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사 졸업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