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광호: 로고스의 불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기획의도

가톨릭교회는 예술가들은 표현에 있어서 종교미술과 일반 미술과의 차이를 두지 않으며 작품은 오로지 창조와 예술혼의 결실임을 당연히 여겼고, 교회는 그것을 지지했다. 그런 점에서 조광호 신부의 이번 작품전은 오늘 가톨릭 미술계에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작가 한마디
 나는 ‘로고스의 암호’라는 주제를 가지고 평생 작업을 해왔다.
2002년 모란미술관 초대전 ‘부루 로고스(the Blue logos)’에 이어 이번 전시 주제는‘로고스의 암호’에서 파생된 “불의 로고스(logos ignis)”이다. 

모든 생명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그 불꽃은 작업하는 내 의식의 지평을 흔드는 전율 속에서 ‘존재의 드러남’을 제촉한다. 단 한 순간 만이라도 자신을 온전히 놓아 주는 역동적이고 황홀한 존재론적 무위의 퍼포먼스’를  일필휘지의 단순한 드로잉으로, 혹은 숯을 오브제로 다룬 하이퍼 리얼리티와 실재를 혼합하여 연출 하고자 함은 자아도취적인  환상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까닭은 신앙 안에서 내 생명이 만물의 근원으로부터 나와 그 근원으로 다시 돌아감을 믿듯이 나의 소박한 창조 행위도 우주 만물의 창조자이시고, 초월자이신 하느님의 숨결에 맞닿아 있다고 나는 믿고 있기 때문이다. 






logos ignis B-01 -2 



존재의 실상에 내재하시고, 초월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그리움

고종희(한양여자대학교 교수)

미술사를 연구하고 책을 출판하면서 깨닫게 된 사실은 주님은 당신의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축복을 주신다는 것이다. 천국, 연옥, 지옥을 글로 쓴 단테는 <신곡> 한권으로 문학사상 가장 위대한 작가가 되었다. <천지창조>와 <최후의 심판>을 그린 미켈란젤로는 미술에서 가장 위대한 작가로 꼽힌다.
조광호 신부님 작품전에 대한 글을 쓰기전 나는 “일생을 사제로, 작가로 살아온 신부님께 하느님은 어떤 축복을 내리고 계실까?” 나는 마음속으로 그 축복의 상징이 그의 작품 속에서 어떤 빛으로 드러나기를 은근히 바라면서 그의 작업실로 향했다. 
나의 경험상 영화도, 그림도, 자연도 ‘하느님의 세계’라고 할 수 있는 ‘초월적 세계’는 빛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아, 그런데 신부님의 작업장을 방문하며 놀란 것은 이번 ‘예술의 기쁨 초대전에 출품되는 그의 모든 작품이 처음부터 끝까지 ‘빛과 불’의 이야기로 전시의 주제가 아예 “불의 로고스(logos ignis)라는 것이다. 

동일한 작가가 제작한 작품이라도 그냥 엄마와 아기를 그렸다면 평범한 모자상이지만 성인의 상징인 후광을 그려 넣음으로써 ‘성모 마리아와 아기예수’로 표현 되는 내적구조를 설명 해 주는 것이 도상학이다. 이와 같이 도상학은 시각예술에서 쓰인 상징·주제·소재를 식별·묘사·분류하고 해석할 뿐 아니라 어떤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서 특별히 사용하는 개인적 심상을 연구하기 위한 학문이기도 하다. 
조광호 신부의 작품에는 작가자신이 즐겨 쓰는 개인적 도상 (personal iconography)이 자주 등장한다. 이을 이해하기 위해서 때로는 도상학적 설명이 필요한데 나의 글이 미력이나마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숯, 불의 로고스 
신부님의 이번 작품에서 일관되게 등장하는 것은 불이다. 불은 그림의 배경으로 등장하거나 대상, 즉 숯의 형태로 등장한다. 조형예술의 모든 장르를 넘나들며 멀티미디어를 다루어 온
신부님의 이번 작품전에 등장하는 미디어는 숯이다. 
숯을 주제로 한 그의 작업은 2002년 모란미술관 초대전에서 첫 선을 보인 이후 보다 성숙한 단계로 오늘에 이른다. 숯이란 죽은 나무를 불에 구워내 에너지의 원천으로 되살린 연료다. 생멸하는 모든 존재가 타고 나면 숯이 된다. 그리고 그 죽음의 상징인 숯은 그 속에 불씨를 품고 있다. 그는 작품 속에 그 은밀한 불씨를 마치 살아 있는 불씨 같이 살려 내고 있다. 단순한 것 같지만 보면 볼수록 신비롭고 흥미롭다. 

작업 과정은 먼저 숯을 사진으로 찍어서 컴퓨터 작업을 통해 불씨를 입히고 그림자를 그린 후 이미지를 인쇄한다. 실제 숯이 가상이 되고, 가상은 그림자를 통해 진짜처럼 보이는 환영효과를 발산한다. 그렇게 인쇄된 종이에 이번에는 진짜 숯을 붙인다. 어느 것이 진짜이고 어느 것이 사진인지 모호해진다. 진짜 숯의 파편들과 사진으로 재현된 숯들은 한데 어우러져 하얀 캔버스 위를 부유한다. 신부님에 따르면 이들 숯 파편들은 존재의 실상이요, 인간이자 죽음과 부활을 의미한다. 작업의 마지막 단계는 실재하는 숯의 파편들 사이에 또 다른 숯의 파편들과 기호, 글자 등을 붓으로 그려 넣는 작업이다. 작품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초월적 세계를 의미하는 3이라는 숫자, 무한대를 의미하는 기호 ∞, 빈집으로 표현 되는 이승의 거처, 하느님의 말씀을 뜻하는 Logos ignis(불) 등이 그것이다. 순서가 다를지는 몰라도 대략 이런 작업 과정을 거쳐 그의 작품은 완성된다. 

 작업노트에서 밝히고 있듯이 그는 “자신의 삶의 자리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이 경계에 서 있음을 리얼하게 감지하고 있다. 원본이 상실된 복제와 닮은 복제로 지극히 세속적인 이 시대의 다원주의적 시뮬라르크”라고 표현한다. 자연과 모방이라는 전통적 회화 개념을 바탕으로 사진과 컴퓨터그래픽, 가상현실과 실재, 모호함, 혼돈, 더 진짜 같은 가짜 등 오늘날 우리가 처한 사이버 문명의 현장에 대한 신부님 특유의 미학적 표출이다. 작가노트에서 그가 밝히고 있듯이 이 모든 예술 형식을 눈여겨보되 그는 예술의 무의미성을 전리품처럼 내세우는 이 시대의 흐름을 무작정 추종하거나 매몰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더 극명하게 그리움과 열망으로 가득한 조형언어를 통해 세계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궁극적 관심으로서의 신앙세계를 표현 해 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이들 숯 작업 중에는 강렬한 붉은 톤의 배경으로 채워진 유형도 있다. 바로 불의 랜드스케이프로서 실제의 풍경이라기보다는 추상에 가깝다. 사실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세계를 가시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이 온전히 가능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인지 이들 그림에는 시간, 발자국, 문자 등 암호화된 이미지들이 등장한다. ‘00:00’로 표현되는 시간은 ‘태초의 시간’이자 ‘창조의 시간’을 의미하고, “Logos ignis”라는 문자는 ‘하느님의 말씀’을 상징한다. 이들 암호는 오래전부터 신부님 작업에 등장한 요소들로서 그에게 예술이란 지속적이며 일관되게 “초월자 하느님의 말씀을 해독하려는 인간의 뜨거운 열정과 그리움”인 것이다. 




logos ignis B-02 -2



먹 + 추상 
하느님은 기분이 좋은 날이면 석양이라는 드넓은 캔버스에 멋진 추상화를 그려놓는데 먹 + 추상 시리즈는 그런 하늘에 그려진 한편의 풍경화처럼 보인다. 빛이 가득한 이들 작품을 실제로 보면 단숨에 그려낸 듯 과감하고 다이내믹한 붓자국이 강렬한 포스로 다가온다. 그래서 미술작품은 역시 직접 봐야 한다. 먹 + 추상 시리즈를 통해 작가는 암호 없이도, 하느님의 조화롭고 아름다운 창조의 세계에 온전히 합류하였다는 느낌이 들었다. 

드로잉, 인간에 대한 연민
수천 장에 이르는 미발표 드로잉은 그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다. 사제로서, 교수로서 살아야 했기에 신부님은 재직 중에는 그림에 집중할 시간이 많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잠깐 자투리 시간이 나면 그린 순간적이고 즉흥적인 드로잉이 수천 장에 이른다. 신부님이 드로잉을 즐겨 그리게 된 데에는 서양 판화의 선구자인 뒤러의 고향 뉘른베르크에서 유학한 경험이 무의식중에 있었을 것이다. 
드로잉은 내면의 표현이다. 6천장 이상의 드로잉을 남겼던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드로잉을 지적 세계(disegno interno)의 첫 출발점이라고 칭송하면서 자신의 생각과 실험과 관찰을 드로잉으로 그려냈다. 나는 신부님의 드로잉 중에서 특별히 최근의 작품에 관심이 간다. 흰 종이에 흑연덩어리로 그린 이들 드로잉은 주로 사람의 얼굴을 그린 것인데 눈을 감고 있는 사람, 눈알이 없는 사람 등 대부분 인간에 대한 연민이 드러난다. 이들 드로잉은 선의 굵기와 흐름이 자유분방하며, 어떤 부분은 강한 터치로 인해 종이에 구멍이 나기까지 했다. 마치 바람 속에서 베일이 흩날리듯, 순간의 동작에서 나온 즉흥적인 선들이 거침없는 예술혼을 느끼게 한다. 이들 드로잉은 10여 년 전의 드로잉과는 테크닉이나 감성이 많이 달라 보이며, 인간을 바라보는 작가의 마음이 거울처럼 비춰진다.


logos ignis B-03 -2



조광호 신부님이 한국의 교회 미술에 던진 화두
가톨릭신자라면 조광호 신부님을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지금까지 그러했듯이 그의 예술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사람도 많지는 않을 것 같다. 그의 작품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종교미술과는 달리 강렬하고, 과감하며, 실험적이다. 나는 이 글을 쓰게 된 것에 감사드린다. 신부님과 그의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신부님에게 있어서 예술이란 하느님을 만나고자 하는 소망이자, 그리움임을 알게 되었고, 무엇보다 그가 한국의 교회에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음을 깨달았다.
나를 비롯한 많은 신자들은 교회미술에 대해서 일종의 선입견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세속 미술과는 달리 경건하게 보여야 한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미술사를 보면 가톨릭 미술은 교회를 대표하는 미술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를 대표하는 보편적 미술양식이었다. 단지 주제가 종교였을 뿐이다. 
비오 성인의 성지인 산 조반니 로톤도에 가면 반지(Vangi)와 메시나(Messina)처럼 20세기 최고의 거장들의 조각들이 있다. 반지는 이 성지의 새로 지은 성당의 대리석 제대를 제작했는데 그의 세속 작품과 다르지 않은 과감한 형태에 놀랐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경건한 성물’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곳의 예술가들은 표현에 있어서 종교미술과 일반 미술과의 차이를 두지 않으며 작품은 오로지 창조와 예술혼의 결실임을 당연히 여겼고, 교회는 그것을 지지했다. 
그런 점에서 조광호 신부님은 오늘 우리 한국 가톨릭 미술계에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미켈란젤로, 베르니니, 도나텔로, 카라바조가 그러했듯이, 가톨릭 미술은 그 시대의 가장 치열한 예술적 표현이었고 신부님도 그렇게 작업해 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는 아직도 많은 경우 교회에 설치할 조각이나 그림에 대해 선입견을 가지고 있으며, 예술가의 혼이 살아있는 창작품 대신 복제품을 걸거나 기성제품을 사서 설치하기도 한다. 신부님은 평생 해온 실험적이고 창의적이며 도전적인 작품으로 우리의 교회 미술이 가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고단하고 외로웠으며, 때로 환희에 찼을 그 동안 신부님의 작품 생활은 그 자체로 하느님의 축복이었음을 믿으며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 



logos ignis C-02 -2

조광호


1947       강원도 삼척 출생
1977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졸업
1979       사제 서품
1985-1990  독일 뉘른베르크대학 및 동대학원 졸업
2002-2013  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학 교수
2013-현재  가톨릭조형예술연구소 대표, 인천가톨릭대학 명예교수


국내외 30여회 개인전과 그룹전을 가졌으며 1990년 이후 부산 남천성당 유리화(60×27m),  숙명여대박물관 로비 유리화(10×10m), 대구 범어동 100주년 기념성당, 구 서울역사 로비 천창 스테인드글라스를 제작하였고 서소문성지 기념탑 및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철교 구간 대형 벽화(250×6m)를 제작하였다.

  

logos ignis C-01 -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