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법관 개인전: 숨.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법관 개인전: 숨.다.
2018-04-12 ~ 2018-05-11
갤러리마크




작가 법관 평론
고연수


숨, 결로 비치다


 "인생은 가까이에서 보면 비극이요, 멀리에서 보면 희극이다Life is a tragedy when seen in close-up, But a comedy in long-shot." 예민한 통점으로 느낀 시대적 아픔과 인간에 대한 따스한 시선을 언어 대신 몸으로 표현하여 시대를 넘나들며 사랑받고 있는 배우이자 감독인 찰리 채플린Charles Chaplin의 농축된 몇몇 촌철살인적 명언 중 하나이다. 동서고금 막론하고 합의된 우리의 상식에서 살짝 그 이하로 보이는 듯 한 몸짓은 편안한 웃음을 자아내지만, 그 안의 내용은 우습지는 않다. 인간이 만들어낸 역사의 거대한 물결에 좀처럼 보이지도 않는 작은 점인 인간은 그 안에서 얼마나 미약한 존재인지 그리고 또 얼마나 거대한 존재인지 실처럼 가느다란 선들의 에피소드들은 엄청난 입체적 공간을 마련해주고 있다.

선線, 평안, 균형, 무심 그리고 선禪
명확해 보이기도 미묘해 보이기도 한 색에 푹 담가 적신 듯, 혹은 처음부터 바탕이었던 색들이 말갛게 표면 위로 올라오는 듯 보이는 작가 법관의 작품들이 이러하다. 최대한 근접하여 자세히 봐야지만 식별이 가능한 세밀한 점點과 선線으로 구성이 된, 한 눈에 아우르기 위해 뒤로 물러서면 거대한 색면色面으로 한 눈에 담기는 작품이다. 작품을 '제대로' 보기 위한 물리적․심리적 시․공간의 반경이 이렇듯 한없이 깊고 넓혀지는 이유는 작가 법관의 수행修行적 행위의 연장선으로 찍히고 그려지는 점과 선이기 때문이다. 사이즈가 작지 않은 수많은 작품들이 심리적으로도 전혀 불편하거나 거슬림 없이 우리 눈에 들어와 마음에 스며드는 이유도 역시, 작가가 마음의 눈으로 보는 자성自性을 붓끝으로 옮기는 행위의 과정이자 흔적이기 때문이다. 예술적 영감을 직감적으로나 전략적으로 가시화하는 시각예술창작자의 예술적 행위 또는 이들에 의해 형성된 예술사조로서의 거대한­경향의­흐름, 혹은 예술의 시대적 실천 등과 같은 우리의 시각예술적 용어와 그 선상에서 단순 분류하기에는 적잖은 오류가 있어 보인다. 물론 동양적 사상에 기반한 볼프강 라이프Wolfgang Laib의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보는 자연 순환적 작품이나, 행위­과정­만을 남겨 평면회화로 가시화한 잭슨 폴락Jackson Pollock 등과 같은 시각예술가들이 있다. 우리에게 명상적인 편안함으로 정신적 치유를 잘 전했고, 꺼내기 힘든 인간의 무의식을 캔버스에 낱낱이 민낯을 쏟아내는데도 성공했다. 그들의 바람대로, 예술의 역할대로. 

작가 법관의 작품 속 끊이지 않는 선과 그 폭에 담겨지는 간헐적 점들은 거의 보이지 않는 질감Matière으로 어우러져 있다. 자신만의 조형적 언어로 화폭을 구성하려는 지극히 평범한 시각예술가들의 행위와도 거리가 있는데, 스케치 없이 단숨에 하지만 지속적으로 꾸준히 그저 찍을 뿐이라고 작가가 언급한 부분은 이를 더욱 확실케 하는 요소이다. 그래서 가까이 보면 반듯하지 않고 꿈틀대는 점과 선들은 그들끼리 마찰 없이 평온하게 하지만 긴장감 있게 서로 엉키거나 뭉침없이 조화롭게 위치해 함께 녹아 있다. 반듯하고 정리된 채 즐비하게 나열, 중첩되어 있다.  

 "수행을 통해 얻은 마음의 평안을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습니다. 작품이 그러하겠지요." 작가 법관의 무심한 듯 한 고백은 그의 작품에서 더욱 평안함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실제 그의 작업은 추상 뿐 아니라 만물의 생명을 듬뿍 안은 구상회화의 형식으로도 생성되었다. 편안하고 어여쁘게 그려진 형상의 작품들은 보는 이들에게 재미와 기쁨을 선사했지만, 작가 입장에는 뚜렷한 형상이 그려진 작품들은 그 형상에 다시 시선과 마음이 잡히는듯하여 형식을 변화한 것이다. 시선과 마음이 잡혀 머무르지 않기 위해 오히려 형상을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그린 행위는 어느덧 형상에서 벗어난 점과 선으로 귀결된 것이다. 붓끝으로 전달되는 자기성찰(맑게 보려는)적 태도는 현상, 상황, 대상에 대한 머무름이 없이 자신의 마음을 닦아 맑은 거울로 만들어 유지하려는 작가 법관의 평온함이 작품으로서 우리를 평안히 감싼다. 

있지 않고 없는 것 그것조차 분별하지 않는 마음, 즉 치우침 없는 균형의 무심無心은 선線으로 스며들어가 선禪으로 또한 나온다. 작가 법관 작업에서의 균형은 중용으로서의 가운데가 아닌 통함을 의미한다. 서로 통해있다는 것, 순회한다는 것은 정중앙이 아닌 때마다 달라지는 그때의 가장 최적의 중심이자, 그러한 균형은 늘 움직일 수 밖에 없다. 점과 선을 찍는 시공간은 매번 달라지기에 그 순간 그 때의 가장 최적의 흔적인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작가 법관에게 균형은 감각이 아닌 이치의 깨달음이다. 그러기에 그의 점과 선은 가까이에서 보면 바르지도 정형적일 수 없으나, 멀리서 보면 평안하고 바르다. 수 천 번, 수 만 번의 계산 없는 행위는 그의 무지․무념․무상․무심에서 이치에 대한 감각으로 그려진다. 균형은 대상의 정중앙이 아닌 무게를 만들고 또 이겨내는 것이다. 작업과 하나가 된 작가 법관의 행위는 자유롭고 가장 최상의 평온함과 숨으로 에너지를 담고 우리에게 스미고 있다. 일체만물을 보되 내 마음으로 가져오지 않는 일, 마음을 닦아 자신을 보는 일, 진리를 간구하는 일, 모든 생명을 섬기고 인간의 존엄성 회복에 골몰하는 마음은 작업으로 옮겨지며 드러나듯 드러나지 않는 형식을 취한다.

"큰 소리에도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물에 젖지 않는 연꽃과 같이
저 광야를 가고 있는 코뿔소의 외뿔처럼
혼자 가라"
-『숫타니파타』, 석지현 옮김-

작가 법관의 '무심의 숨'은 선禪으로 다시 돌아간다. 모든 관점을 자신에게 돌려놓고 붓끝으로 자신을 타진했던 행위는 붓을 통해 다시 선으로 작가에게 투영되어 돌아오고 우리는 작가 법관의 무심의 숨, 결을 보게 된다. 

사족蛇足 : 필자의 고백과 바람
익숙한 구체적 형상을 뭉개 직관력을 요구하는 추상회화의 경우 늘 그렇듯 경중을 막론하고 우리는 긴장감을 안고 작품을 마주한다. 예민한 식견을 장착하고 세심한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시각적 식별력과 더불어 일렁일 수 있는 감수성정도까지는 부담스럽지만 챙겨야하는 지참물로 준비한 채 선보아야하는 추상회화가 그간 우리에게 얼마나 격 있는 고급스러움으로 숨 막히게 그 자태를 뽑냈는지, 그 기세는 여전히 더욱 더 예술이라는 든든한 배경을 업고 우리 앞에 펼쳐질 전망이다. 그래서 사실은 좋은 작업과 좋은 작품을 가려내는 것이 그 누구든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하기에 더더욱 저마다 색다르게 점, 선, 면을 두룬 작품들 홍수 속에서 신뢰할 만한 전문가의 확신에 찬 손가락 가리킴이 간절한 때이기도 하다. 안 그래도 숨 막히는 화이트 큐브 안에서 더욱 분명하고 강하게 가리킬수록 근사한 작품 앞에서 고개 끄덕일 수 있는 그나마 숨통 트이는 공간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문제라기 보다는 참 난감하고 민망한 이 같은 상황에서 시각예술분야에 발들인 그 누구도 이 혐의에서 완벽히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어쩔 수 없이(?) 혼란의 중심에는 창작자가 태풍의 눈처럼 고요히 위치해 있다. 창작력, 매체를 다루는 능수능란한 기술력 등의 여하를 떠나 예술 앞에서의 진지한 태도, 자신의 작업에 대한 완벽한 책임감을 기품 있는 추상형식에 마음을 조금씩 놓아 헤이해진 작업들 역시 좋은 작품만큼이나 많이 부유하고 있다는 현상도 완전히 부인하기는 힘들 것이다.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보며 마음을 맑은 거울처럼 닦아내는 수행으로서의 선禪한 숨이 스민 선線, 선과 점이 중첩되어 선한 무심한 결로 나오는 작가 법관의 작품에 조심스럽지만 과감히 필자는 손가락을 향했다. 무관심과 무책임이 아닌 작가 법관의 무심한 작품을 향해.

필자에게 스며나오는 고백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무지막지 행여 달을 가리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한 염려, 그리고 바람이 있다면 다만 무심한 달이 그 빛을 수면위로 포근히 덮을 때 빛에 반짝거리며 반응하는 물결 속에 조용하고 무심히 떠 있는 부표浮漂정도의 표시였으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