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춤추는 낱말 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2-09-01 ~ 2022-11-20

  • 참여작가

    강서경, 다나카 고키, 티파니 샤, 제이슨 위, 출라얀논 시리폰, 에이-멜팅 팟(박다함 & 신보연), 좀펫 쿠스비다난토, 캠프, 홍영인, 황예지 등 총 14명(팀)

  • 전시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문의처

    02.2124.8800

  • 홈페이지

    http://sema.seoul.go.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춤추는 낱말 Scoring the Words》



전 시 명  《춤추는 낱말 Scoring the Words》
전시기간  2022. 9. 1.(목)~11. 20.(일) 
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2, 3층 
전시부문  사진, 영상, 설치, 퍼포먼스 등 총 18점
전시작가  강서경, 다나카 고키, 티파니 샤, 제이슨 위, 출라얀논 시리폰, 에이-멜팅 팟(박다함 & 신보연), 
              좀펫 쿠스비다난토, 캠프, 홍영인, 황예지 등 총 14명(팀)

후      원  몬드리안 펀드  
전시기획  박가희 학예연구사
              박윤영, 장은하 코디네이터


- 2014년부터 서울시립미술관이 진행해 오고 있는 ‘비서구 지역 전시 시리즈’의 일환으로 올해는 동시대 아시아 미술에 주목
- 2022년 전시 의제인 ‘시(poetry)’를 공동의 의식을 담은 대중의 노래로 해석하고 아시아를 둘러싼 문화적, 집단적 현상 조망  
- 공동의 정서를 모의하는 사건으로서 다양한 행동과 연결을 시도하는 ‘접근점’ 프로그램 운영 
- 서울, 방콕, 뭄바이, 반둥, 암스테르담 등에서 활동하는 작가, 기획자, 연구자, 음악가 등 총 14명(팀)의 실천들이 70일 동안 다양한 형태로 펼쳐질 예정



□ 서울시립미술관(관장 백지숙)은 2022년 9월 1일(목)부터 2022년 11월 20일(일)까지 서소문본관에서 《춤추는 낱말》을 개최한다.

□ 《춤추는 낱말》은 2014년부터 서울시립미술관이 진행해 오고 있는 ‘비서구 지역 전시 시리즈’의 일환으로서 올해는 아시아를 조망한다. 아시아에 기반을 두고 혹은 아시아를 둘러싼 논의에 천착해온 다국적 작가, 기획자, 연구자, 음악가 등 총 14명(팀)의 다채로운 실천들로 채워진다.
 ㅇ 전시는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이슈를 하나의 주제로 내세워 국가, 인종, 민족으로서 아시아의 정체성을 규명하거나 재현하기보다는 아시아 특유의 풍토적인 경험과 개별적인 특질들을 살펴봄으로써 아시아적인 사유와 성질을 유추해나가는 장소가 된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유동하는 담론의 장이자 사유의 장으로서의 아시아를 제안한다. 
 ㅇ 전시는 인종과 국적에 따른 작가 선정이 아닌 아시아에 기반을 두고 혹은 아시아를 둘러싼 논의에 천착해온 다국적의 창작자들이 참여한다. 서울을 기반에 두고 활동하고 있는 강서경, 황예지와 브리스톨에서 활동하고 있는 홍영인을 비롯해 다나카 고키(교토), 티파니 샤(홍콩 출생, 뉴욕 활동), 출라얀논 시리폰(방콕), 좀펫 쿠스위다난토(욕자카르타), 헤라 찬(샌프란시스코 출생, 암스테르담 활동)&에드윈 나스르(베이루트 출생, 암스테르담 활동), 사샤 카라리취(암스테르담 활동), 캠프(뭄바이) 등 총 14명(팀)의 작가, 기획자, 연구자, 음악가들이 초대되었다. 

□ 이번 전시는 2022년 서울시립미술관의 전시 의제인 ‘시(poetry)’를 공동의 심상을 담은 대중의 노래이자 저항 언어로 해석한다. 
 ㅇ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주체로서 동시대 아시아를 둘러싸고 동시다발적이며 다양한 방향으로 펼쳐진 현상들을 관찰하고, 이에 대해 쓰고 말하는 창작자들의 실천을 일종의 시로 간주한다. 드로잉, 콜라주, 영상, 퍼포먼스, 워크숍, 라디오 송출 등 다채롭게 펼쳐지는 이들의 실천을 통해 전시는 오늘날 아시아에서 공동의 의식과 감각이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양태로 발현되는지를 다각도로 살피며, 나아가 ‘함께함’의 의미를 재고해 본다.
 
□ 특히 이번 전시는 작품의 감상을 넘어 관객들과 함께 다양한 행동과 사건을 모의할 수 있는 ‘접근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함께함’의 감각과 ‘연결’의 경험을 만들어간다. 관객들은 사전 모집을 통해 워크숍, 공연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퍼포먼스 작품의 퍼포머가 되어 보다 적극적으로 전시에 참여할 수 있다. 
ㅇ 또한 다양한 이들의 목소리를 담은 오디오 가이드 ‘함께 부르는 노래’를 기획하여 관객과 함께 만드는 사건으로서의 전시를 제안한다. 8월 1일부터 사전 모집을 통해 선발된 참여자들은 전시와 작품에 대한 질문과 코멘트 등을 발의하고, 이를 반영한 작품해설을 직접 녹음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오디오 가이드는 전시장에서 많은 관객들과 만나며 전시 관람 중 혹은 후에 이들이 스스로 질문을 가지고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백지숙 서울시립미술관장은 “갈등과 교류가 공존하는 국제 정세가 한층 무겁게 다가오는 시기에 펼쳐지는 이 전시는 미술을 통한 연결의 의미를 다시금 환기하며 '함께 한다'는 감각과 경험을 되살려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본 전시는 사전예약 없이 관람 가능하고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도슨팅 앱을 통해 음성으로 작품 및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전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 및 자료와 프로그램 일정은 미술관 공식 SNS를 통해서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 관람 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sema.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ㅇ 전시도슨팅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서울시립미술관’을 검색하여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전시장의 QR코드를 통해서도 작품해설을 들을 수 있다.
 ㅇ 미술관 대표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 instagram.com/seoulmuseumofart
     트  위  터: twitter.com/SeoulSema
     페 이 스 북: facebook.com/seoulmuseumofart
     유  튜  브: youtube.com/seoulmuseumofart



■ 기획의 글 

지옥은 타임라인에 있다

조금만 더 시간을 주세요

나는 마법의 방패를 걸치려 하네

우리는 우리 자리를 잘 지키고 있습니다

함께할 때, 우리는 다수가 된다

다정한 세계가 있는 것처럼


여기 한 편의 시가 있습니다. 사실 이 시는 앞으로 여러분이 경험할 전시 《춤추는 낱말》에 등장하는 작품에서 발췌하거나, 작품과 연관하여 생산된 작가의 말을 선별하여 재배열한 것입니다. 이 시는 각 작품이 만들어진 당시의 맥락을 함축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맥락의 시공이 교차하는 세계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 시를 어떻게 누릴 것인가는 여러분이 발 디딘 곳의 사회적 분위기나 사적인 감정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그리고 일정 부분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어떤 장면이나 공동의 정서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시어가 품은 미묘한 정서와 다양한 사유는 우리 생각을 확장시키고, 나아가 집단적인 (무)의식과 감각, 생동하는 힘을 만들기도 합니다.

《춤추는 낱말》은 2022년 서울시립미술관의 전시 의제인 ‘시(poetry)’를 사유하며, 전시를 한 편의 시로서, 창작자들의 실천을 공동의 심상(정동)을 자아내는 시어로 바라볼 것을 제안합니다. 그리고 그 실천의 언어가 일렁이는 담론의 장이자 표현성의 영역으로서 ‘아시아’를 바라봅니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군중의 노래이자 저항의 언어로서 시의 속성을 아시아에 기반을 두고 혹은 아시아를 둘러싼 논의에 천착해 온 창작자들의 실천에 포개어 봅니다.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진 아시아의 정치, 사회, 문화 운동 및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해 쓰고 말하는 창작자들의 실천을 통해 오늘의 아시아에서 공동의 의식과 감각이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모습으로 발현되는지 다각도로 살핍니다.

총 14명/팀의 작가, 기획자, 연구자, 음악가의 실천이 펼쳐지는 이번 전시는 하나의 보편적인 지역 정체성을 규명하거나 동시대의 현상을 재현하기보다는 운동 속에 내재된 풍토적인 경험과 특질의 차이를 살피며, 그것이 담지하는 아시아적인 사유와 성찰이 무엇인지 유추해 봅니다. 식민, 독재, 개발 등 동시대 아시아에 여전히 남은 역사의 힘을 꿰뚫고 이미지와 사물의 기표로 담아낸 실천들은 수면 아래 놓인 현실의 균열을 감지하고 이에 대항할 언어가 되어 돌아옵니다. 현실의 감각과 공동의 심상을 촉매하는 이들의 언어는 동시대 집단 운동의 양상과 방법을 은유하기도 하고, 실제로 일시적인 공동의 경험을 모의하기도 합니다. ‘연결됨’과 ‘함께함’에 바탕을 둔 운동들의 개별 양상은 국경을 넘고, 서로를 일으켜 세우며, 우리로 하여금 이전과 다른 의미의 ‘개인’과 ‘집단’을 발견하게 할 것입니다.

나아가 전시는 창작자들의 실천이 정동의 언어로서 현실에 어떤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실험하는 사건의 현장이기를 자처합니다. ‘연결’과 ‘접촉’을 시도하는 장소이자 프로그램인 ‘접근접’을 마련하여 다양한 행동과 사건을 통해 함께함의 감각과 연결의 경험을 모의해 봅니다. 이곳에서 여러분은 재현된 공동과 연대의 모습이 아닌, 동시적인 경험과 성찰로서의 공동체를 경험하게 됩니다. 시가 쓰이고, 읽히고, 확산되어 노래가 되면서 다수의 의식을 잇는 언어가 되듯이, 이 전시가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으로써 우리 안에 일시적이나마 공동의 감각을 일으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함께한다는 것, 우리가 공동의 무엇을 도모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다시 질문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홍영인, <Prayers No. 1-39>, 2017. 면에 자수(인조견사) 악보, 사운드 설치, 43 × 48 × 4.5 cm(×31개), ed. 1/3 + 1 AP. 
이미지 제공: 작가, 주영한국문화원, 런던.
이 작품은 Korea/UK Season 2017–18의 일환으로 주영한국문화원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출라얀논 시리폰, <조금만 더 시간을 주세요(아카이브)>, 2020. 1,768개 디지털 프린트, 59개의 박스, 6개의 나무 선반, 
29.7 × 21 cm(×1,768개),, 32 × 22.8 × 2.3 cm(×59개), 43 × 32 × 27 cm, 65 × 32 × 27 cm, 65 × 32 × 27 cm, 65 × 32 × 27 cm, 
65 × 32 × 27 cm, 15 × 32 × 27 cm, ed. 3 + 1 AP. 
이미지 제공: 작가, 방콕 시티시티 갤러리. 사진 촬영: 수파콘 스리사쿨.

   
좀펫 쿠스위다난토, <천국에서, 그들>, 2018. 샹들리에, 드럼, 마스크, 사운드, 손모형, 천, 가변설치. 
아라리오 갤러리 《시차적응법》(2018) 설치 전경. 
이미지 제공: 작가, 아라리오 갤러리.


티파니 샤, <홍콩에서 로드무비는 불가능하다>, 2021, 스틸컷. 7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2분 7초; 30분 30초; 34분 11초; 28분 45초; 35분 3초; 33분 8초; 40분 31초. 
이미지 제공: 작가, 펠릭스 가우들리츠, 빈.

 
강서경, <검은 유랑>, 2016-2018. 남서울미술관 《확장된 매뉴얼》(2018) 설치 전경. 
이미지 제공: 서울시립미술관. 사진 촬영: 김경태.
  

사샤 카라리취, <우리가 더 이상 정치 이야기를 안 해도 돼서 너무 좋습니다>, 2016, 스틸컷.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6분. 
 
 
두토 하르도노, <‘인 하모니아 프로그레시오(In Harmonia Progressio)’를 위한 변주와 즉흥연주>, 2016-2017. 
제시된 악보에 따른 퍼포먼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누산타라 현대미술관에서 퍼포먼스 전경. 
이미지 제공: 작가. 사진 촬영: 두토 하르도노.


헤라 찬 & 에드윈 나스르, <만들어가는 역사>, 2021/2022. 여섯 편의 라디오/토크 프로그램과 출판물. 
이미지 제공: 헤라찬과 에드윈 나스르.


<에이-멜팅 팟 2022: 발발>, 2022, 공연과 강연 프로그램.
에이-멜팅 팟 로고, 이미지 제공: 에이-멜팅 팟(박다함과 신보연).



캠프, <만에서 만으로 또 만으로>, 2013, 스틸컷. HDV, SDV, VHS, 휴대전화 비디오(가변), 
스테레오 오디오, 카메라폰에 내장된 음악, 83분. 이미지 제공: 작가.


두사디 헌트라쿨, <이름 없는 인물들>, 2020. 세라믹, 23.5× 10 × 6.5, 23 × 9.5 × 7.5, 21.5 × 8 × 7, 
18.5 × 8.5 × 8, 19 × 7.5 × 7, 19.75 × 6 × 6, 22 × 6.5 × 6.5 cm. 
이미지 제공: 작가, 방콕 시티시티 갤러리.


황예지, <거기에 있는 이들>, 2022.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원목 액자, 가변 설치. 
서울시립미술관 커미션. 이미지 제공: 작가.


제이슨 위, <의결을 위한 토론장: 예행연습>, 2019-. 리브레토 퍼포먼스, 의상, 폴리에스터 패널에 프린트, 스트링, 가변설치, ed. 1 + 1 AP. 파라 사이트 《커튼》(2021) 설치 전경. 
이미지 제공: 작가, 파라 사이트.


다나카 고키, <임시적 연구: 제4회 워크숍, 함께함의 가능성. 그들의 입장.>, 2015-2016, 스틸컷. 
일본 히타치오타시 니시야마 켄수조에서 6일 간의 워크숍 공동 수행, 비디오 도큐멘테이션, 총 241분. 
이미지 제공: 작가, 비타민 크리에이티브 스페이스, 아오야마 메구로.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