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

  • 전시분류

    외국작가

  • 전시기간

    2023-12-07 ~ 2024-03-03

  • 참여작가

    강은엽, 구수현, 김범, 김홍석, 김신록 & 김홍석, 키리 달레나, 파이어룰 달마,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 마이클 리, 리웬, 림차이추엔, 무제 프로젝트(장은하, 텡옌후이, 루하 피피타), 안젤리카 메시티, 보니타 엘리, 이우환, 이미래, 이이란, 히만 청, 히만 청 & 르네 스탈, 탕다우, 게리 로스 파스트라나 & 조이 둘레이 & 임정수, 파트타임

  • 전시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2124.8800

  • 홈페이지

    http://sema.seoul.go.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히만 청,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 Heman Chong, 
The Part In The Story Where Our Accumulating Dust Becomes A Mountain,2023



서울시립미술관, 싱가포르미술관, 퀸즐랜드주립미술관과 함께
12월 7일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 개최



전 시 명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

전시기간
2023. 12. 7. (목) ~ 2024. 3. 3. (일)

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3층

전시부문
기획, 국제

전시작가
강은엽, 구수현, 김범, 김홍석, 김신록 & 김홍석, 키리 달레나, 파이어룰 달마,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손혜민, 유소윤), 마이클 리, 무제 프로젝트(장은하, 텡옌후이, 루하 피피타), 리웬, 림차이추엔, 안젤리카 메시티, 보니타 엘리, 이우환, 이미래, 이이란, 히만 청, 히만 청 & 르네 스탈, 탕다우, 게리 로스 파스트라나 & 조이 둘레이 & 임정수, 파트타임스위트, 브라이언 푸아타, 에밀리 플로이드, 디 하딩, 함양아, 아만다 헹, 홍명섭, 홍미선, 홍이현숙, Sasa[44]

전시주최
서울시립미술관

협력기관
싱가포르미술관, 퀸즐랜드주립미술관

전시후원
호주 인프라·교통·지역개발·통신·예술부, 주한 호주 대사관, 대한항공, (주)디아이 오드


- 2023년 서울시립미술관 기관 의제 ‘공유’에 주목,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세 기관의 소장품을 씨앗 삼아 새로운 모양의 관계 맺기 시도

- 서로 다른 우리(이야기)를 잇는 도구로써 소장품의 역할을 재고하며, 소장품이 촉매하는 ‘대화’와 ‘상황’과 ‘운동’을 통해 공동의 경험과 가치 짓기를 실천하는 전시 

- 소장품뿐만 아니라 이를 확장하는 연구 프로젝트, 퍼포먼스, 워크숍, 신작 커미션 등 총 31명/팀의 69점이 만드는 실천의 연쇄가 76일 동안 펼쳐질 예정




□ 서울시립미술관(관장 최은주)은 2023년 12월 7일(목)부터 2024년 3월 3일(일)까지 서소문본관에서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The Part In The Story Where Our Accumulating Dust Becomes A Mountain)》를 개최한다.

□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는 2023년 서울시립미술관 기관 의제 ‘공유’를 통해 동시대 미술관의 역할을 살펴보는 전시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립미술관은 싱가포르미술관(Singapore Art Museum, SAM), 퀸즐랜드주립미술관(Queensland Art Gallery | Gallery of Modern Art, QAGOMA)과 함께 서로 다른 우리가 공동의 무엇을 짓고자 할 때 필요한 실천 속에서 공유의 의미와 가치를 재검토한다. 세 기관은 소장품을 비롯한 미술관의 유무형의 자산에 관해 대화하고, 경험과 지식을 나누고 교차시킴으로써 공공재로서의 미술관의 역할과 새로운 앎의 모양을 재고해 본다.
 
□ 이번 전시에서 소장품은 서로 다른 우리의 이야기를 공유하기 위한 실천의 ‘도구’이자 ‘촉매제’가 된다. ‘사랑하기’, ‘추상하기와 침묵하기’, ‘번역하기’, ‘세우기’, ‘섬하기’, ‘물갈퀴만들기’ 등 실천의 행위를 따라 군집을 구성하는 작품들은 ‘대화’와 ‘상황’과 ‘운동’을 만들며, 관객에게 공동의 경험과 가치를 짓는 실천에 함께 하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전시는 공유의 장, 공동으로서 동시대 미술관의 역할을 재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공유를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전시는 관객들이 함께할 때 완성된다. 이번 전시는 여러 상황과 모임을 제공하며 전시 기간동안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참여의 기회를 제안한다. 특히, 전시 개막 주간에는 12월 7일(목)부터 10일(일)까지 공공 미팅, 작가와의 대화, 모임, 상황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의 의미를 나누고 실천을 도모할 예정이다.
 
 ㅇ 2023년 12월 8일 금요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로비에서는 <공공 미팅>이 열린다. <공공 미팅>은 전시를 만드는 과정에서 세 기관이 지속적으로 나눈 대화를 공공에 내어놓는 자리로서 세 기관의 큐레이터와 3개년 프로젝트의 출판을 맡은 애프터올의 에디터들이 참석하여 대화를 만들어 갈 예정이다. 대화와 함께 임정수 작가의 퍼포먼스 <그 몸뚱어리는 이미 그림자를 잃었습니다>도 준비되어 있다. 

 ㅇ 2023년 12월 9일에는 참여 작가 디 하딩,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손혜민, 유소윤)을 초대하여, 작가와의 대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 그 외에도 전시 기간동안 히만 청과 르네 스탈의 <읽지 않은 책의 도서관>, 히만 청의 <기하학에 관한 이야기>, 구수현의 <관람시간>이 진행된다. 전시된 작품에서 출발하여 각자의 대화를 구성해 보는 ‘대화 모임’과 세 기관의 무제 작품들을 토대로 만들어진 연구 프로젝트인 <무제 프로젝트>의 워크숍 등이 예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관람객들에게 예술 작품과의 깊은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인 이해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최은주 서울시립미술관장은 “올해 서울시립미술관의 기관 의제인 ‘공유’를 개념이 아닌 실천으로 강조하는 이번 전시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는 소장품을 공유를 위한 실천의 도구로 제안하면서, 소장품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 그 과정에서 과거의 기억이 아닌 현재에 살아 숨 쉬는 소장품은 관객들과 만나며 미술관이 공동체 구성을 위한 장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는다. 관객이 단순한 관람자가 아닌, 창작 과정의 일부가 되도록 초대하며, 이를 통해 미술관은 새로운 관계와 지식의 공간으로 변모하고, 관객에게 더 깊고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서울시립미술관은 싱가포르미술관과 퀸즐랜드주립미술관과의 협력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적 시각과 경험을 관객들과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이번 전시는 세 기관이 함께 만들어 가는 3개년 소장품 프로젝트의 첫 번째 프로그램으로, 세 기관은 해마다 초대/주최기관을 바꾸며 ‘소장품’을 중심에 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할 예정이다. 기관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은 변화한다. 2023년 서울시립미술관의 전시를 시작으로, 2024년에는 퀸즐랜드주립미술관에서 주도하는 프로그램, 2025년 싱가포르미술관이 주도하는 프로그램이 펼쳐질 예정이다. 2026년에는 세 프로그램을 ‘공유’의 관점으로 엮어낸 단행본이 런던에 소재한 출판사 애프터올(Afterall)을 통해 출간될 예정이다. 

□ 본 전시는 예약 없이 무료로 관람 가능하며 서울시립미술관 전시 도슨팅 앱을 통해 음성으로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전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와 자료를 순차적으로 미술관 공식 SNS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 관람 일정과 관련한 상세한 정보는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sema.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ㅇ 전시도슨팅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서울시립미술관’을 검색하여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네이버 오디오클립을 통해서도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

ㅇ 미술관 대표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 instagram.com/seoulmuseumofart
    트  위  터: twitter.com/SeoulSema
    페 이 스 북: facebook.com/seoulmuseumofart
    유  튜  브: youtube.com/seoulmuseumofart

이우환, 〈항(項)―대화〉, Lee Ufan, Relatum―Dialogue 2009


아만다 헹, 〈대화를 합시다〉, Amanda Heng, Let’s Chat1996-


안젤리카 메시티, 〈미래완료진행형〉,Angelica Mesiti, Future Perfect Continuous, 2022


디 하딩, 〈함께 숨쉬다〉, D Harding, We breathe together, 2017-


키리 달레나, 〈지워진 슬로건〉, Kiri Dalena, Erased Slogans, 2014

김홍석, 〈사랑의 구멍〉, Gimhongsok, The (w)hole of love, 2007


게리 로스 파스트라나—조이 둘레이, 임정수와 협업, 〈메아리증〉, Gary-Ross Pastrana in collaboration with Zoe Dulay, Echolalia,  2009


브라이언 푸아타, 〈벗어난 교육(실수의 기회)〉, Brian Fuata, Errantucation (mist opportunities), 2021


홍미선, 〈Code 2〉, Hong Misun, Code 2, 1994

홍미선, 〈Code 10〉, Hong Misun, Code 10, 1994
홍미선, 〈Code 11〉, Hong Misun, Code 11, 1994


히만 청, 〈기하학에 관한 단편 소설〉, Heman Chong, A Short Story About Geometry, 2009


이미래, 〈히스테리, 엘레강스, 카타르시스 섬들〉, Mire Lee, Hysteria, Elegance, Catharsis_ the islands,2017


히만 청과 르네 스탈, 〈읽지 않은 책의 도서관〉, Heman Chong and Renée Staal, The Library of Unread Books, 2016


에밀리 플로이드, 〈문제가 곧 해결책(무제 모음)〉, Emily Floyd, (From an untitled suite),2008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RBSC),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프로덕션 회사소개〉, Rice Brewing Sisters Club (RBSC), Rice Brewing Sisters Production_ About Us,  202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