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Surrealism and Korean Modern Art
4.17 - 7.6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MMCA Deoksugung

김영환, 〈폐허의 오후〉, 1973, 캔버스에 유화 물감, 97×130cm, MMCA 소장
Kim Younghwan, 〈Afternoon in Ruin〉, 1973, oil paint on canvas, 97×130cm, MMCA Collection
국립현대미술관은 20세기 한국미술사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근대미술 작가를 발굴하고 재조명하기 위해 2019년 처음으로 개최한 《근대미술가의 재발견: 절필시대》 이후 두 번째 시리즈로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을 개최한다. 프랑스에서 시작된 초현실주의는 인간 정신을 구속하는 모든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꿈꾸며 예술로써 삶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혁명적인 운동으로 1920년대 말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한국 미술계에서는 1930년대 말 김환기, 이중섭, 유영국 등 일본 유학생들을 통해 시도되었으나 식민과 전쟁, 분단으로 인해 이후 적극적으로 전개되지 못했다. 비록 한국미술사에서는 초현실주의가 주류가 되지는 못했지만 김욱규, 김종남, 일유 김종하, 신영헌, 구로 김영환, 향보 박광호 등 6인의 작가는 추상미술, 실험미술, 민중미술 등 당대의 전위를 뒤쫓는 대신 자신만의 초현실주의적 세계를 탐구하고 완성했다. 전시는 총 2부로 구성되며 국내외 30여 기관 및 유족, 개인 소장 미공개 작품 및 아카이브 등 약 300여 점이 전시된다.
《Surrealism and Korean Modern Art》 is the second exhibition in the series of “Rediscovery of Korean Modern Artists,” an exhibition aimed at discover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modern artists who had been neglected in 20thcentury Korean art history. While surrealism may never have risen to the mainstream of Korean art, certain artists dedicated their lives to it in spite of the world’s lack of attention. Six artists in particular-KIM Ukkyu, KIM Chongnam, KIM Chongha, SHIN Youngheon, KIM Younghwan, and PARK Gwangho-explored and perfected their own surrealistic visions rather than pursuing the era’s prevailing avant-garde approaches of abstract, experimental, and Minjung art.
This exhibition is designed to provide a more diverse perspective on art history by discovering and introducing lesser-known artists in Korean modern art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