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36)부산비엔날레 2018 크리스티나 리쿠페로 전시감독과 외르그 하이저 큐레이터

김달진

하단에 영어원문 콘텐츠가 있습니다.
The english interview script is included.

선택과 변화, 이전과 달리 참여작가를 절반인 70여 명으로 줄이고 사회적 의제에 집중하는 올해 부산비엔날레를 설명하기 좋은 용어다. 이번 2018년 부산비엔날레의 크리스티나 리쿠페로 전시감독과 외르그 하이저 큐레이터를 만났다.





Q. 어떤 계기로 팀을 구성하게 되었나?
A. 서로 알고 지낸 지는 오래되었지만, 2016년에 하룻밤 동안 공연, 음악회, 영화상영 등을 진행한 ‘모나코에서의 잠 못 이루는 밤(Nuit Blanche Monaco)’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본격적으로 협업하기 시작했습니다.

Q. 이번 부산비엔날레만의 경쟁력은?
A. 분리된 영토(Divided Territories)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전시를 기획한 점이 특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주제를 위해 우리는 많은 작품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습니다. 올해 2월부터 참여했기 때문에 비엔날레 오픈까지 다소 짧았던 기간과 한정된 예산을 고려하여 초청작가 수를 최대한 늘리는 일이 무책임한 결정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65명(팀)의 한정된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전시를 꾸려나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잘 알려진 국제적인 미술행사의 최근 경향을 살펴보면 작가 초청으로 규모를 부풀리는 것을 지양해 오히려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우리는 전문적인 관람객마저 여러 전시공간과 수많은 전시작품에 기진맥진해지는 대규모 미술전시의 시대는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Q. 전시를 통해 스토리라인을 구성해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비엔날레 주제의 물리적, 심리적 분리는 어떻게 다루어지는가?
A. 전시의 목적은 단순히 분단된 영토라는 주제를 조명하거나 언급하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작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반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일부 작품은 이 주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지만 어떤 작품들은 보다 정신적이고 역사적이며 개념적인 방식으로 여러 부차적 주제를 다룹니다. 목표는 널리 알려진 작품과 다소 생소하거나 새로 제작한 작품을 함께 전시해 예상 밖의 결과를 도출하고 관람객이 의문을 제기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소재를 통해 제시되는 전시내용은 풍부하고 다층적일 것입니다. 점차적으로 공간을 드러내는 소설처럼 관람객들이 우리가 제시한 주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동선과 특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이번 전시 구성의 특이점입니다.

Q. 대표작 한 점을 소개해달라.
A. 공통의 맥락 속에서 단 하나의 작품, 혹은 단 하나의 제안에 집중하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우리의 윤리(Ethics)에 어긋나는 일이기도 합니다. 개별적인 작품이 모여 전체를 이루는 데 기여하고 있는 와중에 하나의 목소리를 강조하는 것은 왜인가요? 관람객이 무엇을 느껴야 하는지 미리 말하고 싶진 않지만 단지 즐겁기만 한 기분 좋은 전시를 기획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이 역사적 트라우마나 디스토피아적 미래와 관련이 있는 불편한 소재(Uneasy Material)와 대면하게 함으로써 사유를 이끌어내도록 기획되었습니다. 덴마크 영화감독 라스 폰 트리에의 유명한 말처럼 좋은 작품이란 다소의 불편과 고통을 수반하는 것이지요.

Q. 비엔날레 준비 과정은 어땠는지?
A. 우리는 필수적으로 시작 단계부터 한국적인 상황이나 맥락을 고려해야 했습니다. 비엔날레의 전체적인 구조와 개념에 관해 한국의 큐레이터, 예술가, 비평가인 박만우, 백지숙, 이영욱, 임민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단과 논의 했습니다. 게스트큐레이터인 박가희는 아시아의 젊은 세대 작가들을 조명하는 기획을 준비했습니다.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태도로 전시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지적 수준이나 전시구성에서도 협업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Q. 기대하는 점은?
A. 이번 전시가 제한된 감상시간 동안 가능한 많은 작품을 ‘소비’하도록 강요하는 전시가 아니라 관람객의 시선을 붙잡고 흥미로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전시가 되기를 바랍니다.

크리스티나 리쿠페로(Cristina RICUPERO)
런던 ICA전시부분 협력감독(2000-04), 헬싱키 노르딕현대미술관 큐레이터(2000-05), 광주비엔날레 유럽섹션 커미셔너(2006), 2016 SeMA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자문위원 등 역임

외르그 하이저(Jörg HEISER, 1968- )
미술전문지 프리즈(Frieze) 편집자 역임(1997-2017), 현 베를린예술대 교수.




Seoul Art Guide

Q. How come did you become a curatorial team from the beginning? Please describe the story.
A. We have known each other for a very long time but actually only really collaborated on a project rather recently, in 2016. It was called ‘Nuit Blanche Monaco’, which was actually a festival, a one night-day festival where performances, music concerts, film-video screenings and all sorts of events where held during one whole night until the next day. Since then we decided to collaborate together.

Q. What is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and Busan Biennale? What makes this edition of Busan Biennale more distinguished?
A. We can say that the specificity of our biennial is that it was conceived and set-up as a focused thematic exhibition on the topic of divided territories, not only in Korea but all over the world. We actually conceived this project before applying for it, which is in a way a sort of coincidence. The theme allowed us to use a substantial number of existing pieces, on which the theme in many cases will shed new light. In view of the short time frame (we were only hired this February) and the limited financial means available, we also decided to work with a limited number of artists, around 68, some of which may have various works in the show, any larger list would be irresponsible. Also, thinking of recent examples like Sculpture Projects Munster in Germany (38 artists) or the last Istanbul Biennale (56 artists), large scale, internationally renown exhibitions have actually benefited from a reduction of the number of artists. We think the time of the mega-exhibition, exhausting even the most professional visitor with ever more venues and artworks, is over.

Q. I heard that the storyline will be unfolded throughout the exhibition. What is your plan to cover the Biennale’s theme, a territorial and psychological division?
A. The exhibition’s aim is not to serve as a mere illustration or commentary to the main topic of divided territories. Instead, participating artists will deal in different ways with the overall theme. Some works will directly address the subject matter whereas others will function in a more mental, historic or conceptual way through sub-themes.
The main purpose will be to create surprises and raise questions by bringing together well-known artworks, side by side with relatively unknown pieces and new productions. The content will be rich and multi-layered presenting a wide variety of material. As for the architecture, the main idea is to create a special environment that would guide the viewer through routes containing different chapters of our main narrative. Just like in a novel that slowly unravels and gradually reveals spaces for the audience.

Q. At the press conference, held in last April, I remember that you gave a very detailed explanation of Smardar Dreyfus’s <Mother's Day> (2006-8, video/installation). What i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the artwork has?
A.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highlight one single work and proposal in such a collective context. It is actually against our ‘ethics’, why would we give more importance to one single voice whereas we strongly believe every single approach in our show contributes to create a whole? We don’t want to be prescriptive about what people are supposed to feel, but we are not intending to make a „feel good“ show that just pleases. The work is also meant to irritate, and provoke you into thinking by way of confronting you with the sometimes uneasy material, often to do with traumatic history or dystopic futures. As the Danish director Lars von Trier, who is also participating, has famously declared, a proper artwork needs to be ”like a stone in your shoe“. That said, there are certainly moments of utter beauty, as well as comic relief.

Q. So far, how was the process of preparation of Busan Biennale 2018?
A. It was absolutely essential for us that we work from and with the South Korean context right from the start. The central idea was to set-up a board of consultants mainly constituted of Korean curators, artists, critics to discuss the overall structure and concept of the Biennial. They are Manu D. Park, Beck Jee-sook, Youngwook Lee and Lim Minouk. Gahee Park is Guest Curator, mainly focussing on a younger generation of Asian artists. An attitude of openness and flexibility towards programming was central to our approach. Rather than making purely subjective and unilateral choices, our proposal was to opt for partnership, both at the intellectual level and in terms of creating a platform.

Q. What is your next plan?
A. It is a bit too early to speak of what will happen next as our top priority now is to open the Busan Biennale properly in the next few weeks and be able to give all artists the best means to present their projects. Nevertheless, we hope that our exhibition will raise interesting, compelling questions to the audience and that the themes and ideas will have time to grow on the viewers, as they are not forced to “consume” as many artworks as possible within the limited time of their visit.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