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71)한국미술의 글로벌화 -⑤미술산업의 발전전략

<한국미술의 글로벌화>
① 위기의 국내미술시장이 살길은?
② 글로벌 스탠다드란 무엇인가?
③ 글로벌아트페어의 조건
④ 해외진출을 위한 필수조건 
⑤ 미술산업의 발전전략

한국미술의 글로벌화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미술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미술생태계는 창작부문, 유통부문, 소비부문 그리고 미술관련산업부문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여태까지 미술에 대해 논의할 때 앞의 세 부문만 얘기하고 ‘산업으로서의 미술’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다. 미술산업에 대해 얘기하면 심지어는 “우리나라에 미술산업이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라고 의문을 제기하거나, 미술을 산업적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해 미술의 순수성을 해치는 상업주의적인 발상이라고 거부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면 미술산업이란 과연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미술과 직접 관련되는 산업이 있는데 아트페어와 같은 미술전시산업, 미술품운송산업, 미술품보험산업, 미술품보관창고산업, 미술품보험산업, 홍보산업, 미술교육산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요즘 서로 다른 분야간의 융합이 세계적인 추세라 미술과 다른 분야와의 융합으로 새로운 산업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는데 ‘예술과 기술(Art & Technology)’, ‘예술과 금융(Art & Finance)’, ‘예술과 법(Art & Law)’과 같은 분야가 있다. 이러한 미술산업 및 미술과의 융합산업이 활성화 되면 미술시장도 커지게 되며 미술생태계 전체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이것은 결국 미술계 전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제1차 한-영 창조산업포럼

특히 ‘예술과 기술(Art & Technology)’는 현 정부가 국가발전의 핵심동력으로 삼고 추진하고 있는 ‘문화’와 ‘ICT’의 결합인 창조경제의 대표적인 예이다. 그런데 창조경제에 논의와 활동이 주로 ICT 분야에서만 활발하고, 나머지 하나의 축을 다루는 미술계 쪽에서는 이에 대한 움직임이 너무 없어서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난 번 제 1차 한-영 창조산업포럼에서 영상, 애니메이션,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대한 논의만 있었고 미술분야에 대한 논의는 아무것도 없었던 점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면 이러한 미술산업이 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산업은 비즈니스이기에 우선 어떤 비즈니스를 시작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비즈니스 아이디어가 있어도 투자자금이 조달되지 않으면 실행될 수 없기 때문에 투자자금조달 파이프라인이 확충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IT산업이 발전 할 수 있었던 이유도 IT벤처에 투자를 하려는 벤처캐피탈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술분야산업에 투자를 하는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들이 많이 생겨나고 이들의 투자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미술산업분야의 창업자들도 여태까지 일방적인 후원만 요청하는 형태의 투자자금마련방식에서 벗어나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사업계획(Business Plan) 과 타당성조사 (Feasibility Study)를 준비하여 투자를 요청하는 전문적인 자금조달방식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해외에서는 미술관련 SNS사업모델을 가지고 벤처캐피탈로부터 수 백만달러를 투자 받아 사업진행을 하고 있는 벤처들이 여러 곳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이런 예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을 보면 앞으로의 세계미술산업계에도 우리나라가 현재의 미술시장처럼 고립될 위험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미술관련사업의 창업자들은 대부분이 자신의 주관적이고 단순한 초기단계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자기를 믿고 사업자금을 대줄 물주를 찾거나 소개 받으려고만 한다.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객관적 분석자료나 시장조사결과도 없고, 투자자에게 투자의 대가로 무엇을 제공할 지도 제시하지 않고 무조건 대박나는 엄청난 아이디어이니까 돈만 대라고 요구한다. 이러한 방식의 투자요청에 대해 실제 투자를 할 투자자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미술계와 미술산업이 발전하려면 미술산업에 대한 투자제도가 빨리 형성되고 발달되어야 할 것이다.


- 김형걸(1962- ) 고려대 법학과 동 대학원 법학박사(국제거래법).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 Law School 법학석사. 미국 Paul, Weiss 법률회사, 한솔그룹,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서 해외투자, 투자유치를 담당했고, 한국화랑협회 사무국장을 거쳐 현 Goodwill Advisory 대표.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