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39)한국근대미술 60년전 팸플릿, 입장권 외, 1972

김달진

 

한국근대미술60년전 팸플릿, 1972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후, 1972년 지금은 없어진 경복궁 안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한국근대미술60년전’은 1900-60년대까지 우리나라 근대미술 작품을 발굴하고 정리한 역사적인 전시로 동양화 44명 122점, 서양화 78명 192점, 조각 9명 22점, 서예 17명 36점으로 148명의 372점(당시 보도자료)이 한 달 간 공개된 우리 미술사에 남을 중요한 전시이다. 그동안 소홀했던 우리 근대미술의 유산들을 찾아내고 한 자리에서 되돌아 보는 자리 였다. 창덕궁 유물 창고에 소장되었던 조선미술전람회 8회 특선 이영일의 <시골소녀>, 11회 특선 이마동의 < 남>, 18회 입선 심형구의 <포즈> 등이 발견되었다. 청와대, 국회, 한국은행, 간송미술관, 홍익대 기관, 이병철, 설원식, 원형목 개인, 작가 소장품 등이 출품되었다.


한국근대미술60년전 팸플릿|23×23|국립현대미술관|1972.6.27-7.26|34쪽
한국근대미술·한국근대미술60년전 도록|32×25|국립현대미술관|1973|164쪽
한국근대미술60년전 보도자료|27×19|문화공보부|1972.6.22|68쪽
김종하 한국근대미술60년전 감사패|20×14|문화공보부|1972
한국근대미술60년전 입장권|7×9|국립현대미술관|1972
경복궁 입장권|8×12|경복궁|1972
한국근대미술60년전 스크랩북 기사 36종|김달진|27×20|1972



한국근대미술60년전 입장권, 1972


우리 박물관에 소장 중인 ‘60년전’ 자료는 7건이다. 보도자료는 등사판에 밀어 갱지에 찍은 자료로 그 당시 상황을 자세히 알 수 있는 출품 수 및 선정수, 추진위원 명단, 참고자료, 작가별 선정작품 목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전시작품 들의 소장자(처)와 주소가 들어있는 중요한 증거물이다. 당시 상황을 증언하는 기사 스크랩을 보면 지금은 한국화 가격이 형편 없지만 당시 이당 김은호<선녀도>가 850만원을 호가 한다고 보도하였다.


내가 1972년 고등학교 3학년 7월 18일 화요일 관람한 ‘60년전’ 팸플릿에는 작품을 보며 남긴 작가의 호, 생몰년, 작품 특성 등 메모가 빼곡하게 적혀있다. 당시 고등학생의 경복궁 입장료는 70원, 전시 입장료는 50원, 팸플릿은 200원이었는데 이 메모들이 지금에 와서 중요한 아카이브 자료가 될 줄은 전혀 몰랐었다. 이 전시를 보며 서양명화 인쇄물을 모으던 것에서 우리 근대미술 자료를 더 열심히 모아야겠다는 자각이 생겨난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되었다.


---


60 Years of Korean Modern Art

Museum for Modern and Contemporary Art, 1972 


The exhibition <60 Years of Korean Modern Art> was organised three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MCA in 1972 in the now non-existent branch of the Museum in Kyongbokgung Palace. It was a historical exhibition dedicated to discovering and examining the Korean modern art created between 1900 and 1960. It included works such as <Countryside Girl> by Lee Young-Il which was in the possession of Changdong Palace and which was included in the 8th Chosun Art Exhibition's special selection, Lee Ma-Dong's <People> which was included in the special selection of the 11th edition, Shim Hyeong-Gu's <Pose> which was displayed in the 18th edition etc. Pieces from the collections of Cheongwade (The Blue House), the National Assembly, Bank of Korea, Kansong Museum, Hongik University, and artists Lee Byeong-Cheol, Seol Won-Shik, Won Hyeong-Mok were also displayed.

 “When I (Director Kim Dal-Jin) visited the exhibition on July 18th 1972 in my 3rd year of high school I densely wrote down on the pamphlet various notes and details such as the artists’ names, dates of birth and death. At that time I really could not have imagined that my memos will become such valuable historical documents. In those times the entry fee for Kyongbokgung Palace was 70 won, for the exhibition 50 won and the pamphlet cost 200 won. This exhibition was a turning point in my life, an awakening that made me realise that I, who had until then collected pictures of Western masterpieces, now had to work even harder to collect documents on modern Korean art.” - reminiscences the Director.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