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3)생활예술과 문화산업의 길

장동광

지난 12월 14일부터 17일까지 코엑스에서 《2023 공예트렌드페어》가 열렸다. 2006년 창설 이후 매년 개최된 이 공예미술장터는 18회를 맞이했다. 공예의 실용적 가치를 대중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개최해 온 전국 공예계 관련공방, 업체, 공예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연례적인 한마당이자 큰 장터이다. 작년 7월 공진원 원장으로 부임한 이후 관성적인 태도로 공예페어를 추진해 오진 않았는지 이번 행사 추진상황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그래서 이번 행사에서는 주제전·특별전 대신 그간 17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아카이브전을 기획했다. 이러한 결정의 중심 의제는 ‘오늘날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예는 과연 어떤 가치와 의미를 담보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 미래적 지향성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성찰해 보는데 있다.



《2023공예트렌트페어》 전경 ⓒ 사진: 장동광


《2019시카고소파》 전경 ⓒ 사진: Chicago SOFA


잠시 눈을 돌려 미국의 상황을 한번 살펴보자.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유형의 공예페어가 창설된 배경에는 《소파 SOFA(Sculpture Objects and Functional Art)》 페어가 있다. 1993년 미국 뉴욕에서 창설되어 30년간 변화와 부침 끝에 현재 시카고로 거점을 옮기고 명칭도 《Intersect Chicago/SOFA Chicago》로 변경하였고 매년 개최해왔으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잠시 연기되어 2024년도 차기 행사를 준비 중이다. 한때 미국에서 관람객이 많이 찾은 10대 유명페어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될 만큼 인기가 높았던 이 SOFA의 과거와 현재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소파’의 명칭에는 이제 ‘Design’을 추가하여 ‘Sculpture Objects, Functional Art and Design’으로 명명된다. 우리말로 번안하자면 ‘조각적 오브제와 기능적 예술과 디자인’이다. 한마디로 ‘공예(Crafts)’라 할 수 있을 개념을 이처럼 복잡다단한 해석적 의미 연쇄를 담은 데서 동시대 미국 예술 개념의 한 단면이 엿보인다. 이른바 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바우하우스의 망명자들과 뉴욕과 시카고에 뿌리내린 뉴 바우하우스(New Bauhaus)운동의 영향이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건축을 중심으로 공예, 회화, 조각, 그래픽 디자인 등을 교육과 현장에서 통합적으로 추구하려 했던 총체예술(Total Art)의 흐름을 읽게 해주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현재 영국이 개최하는《컬렉트(Collect)》는 런던공예주간(London Craft Week)과 연계하여 영국 공예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공예아트페어이고, 프랑스 파리의 《메종오브제(Mason & Objet)》는 생활공예와 디자인 페어로 그 지속성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밀란디자인위크(Milan Design Week)》를 개최하며 주로 가구, 조명, 인테리어 용품 등 디자인페어로 설계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제작자와 소비자를 연결한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는 《암비앙테(Ambiante)-국제소비재박람회(International Consumer Goods Fair)》가 주거, 실내디자인, 선물용품 등을 중심축으로 삼는다. 종합하자면, 영국은 미술공예운동(Art and Craft Movement)의 발신지답게 공예와 디자인을 동등한 가치로 조명하는 반면, 미국은 생활예술 개념으로서 조각과 디자인을 다루고,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은 홈데코레이션으로서 실용적·예술적 디자인을 중심으로 공예 관련 국제적 페어를 개최하는 셈이다.

우리나라 《공예트렌드페어》가 국제 경쟁력과 차별성을 지니려면 어떻게 그 좌표를 설정해야 할까. 필자는 그 핵심을 전통의 산맥에서 찾고 있다. 수공예적 기술과 제작기법, 한국적 미의식의 재조명과 창달, 그 현대적 변용에 있다고 본다. 나아가 공예와 문화산업적 기제들과 결합하여 미래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문화산업의 개념인 기술시대의 복제성 즉 원본성의 확장으로서 인쇄, 사진, 영상, 메타버스적 활용기제들과 연계하여 새로운 생활예술로서의 가치를 향해 한국공예의 부흥, 21세기형 국제페어의 출항을 준비해야 할 당위성이기도 하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