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29)인간다운 삶과 예술 활성화 위해 예술교육 혁신해야

정중헌

화가 전광영 선생이 자신의 작품이 실렸다며 호주 교과서 한권을 보여줬다. 영국 옥스포드에서 출판한 AㆍRㆍTㆍ2-PRACTICE로 저자는 마가렛 마쉬 등 3인이었다. 정부 승인 교과서로, 미술사와 미술실기 수업을 받는 공사립 고교생들이 마지막 학년 때 시험을 치루기 위해 공부하는 책이라고 한다. 책의 볼륨도 컸지만 안에 실린 내용은 고교 교과서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로 광범위했다.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세계 미술의 역사와 현상을 해설하고 케이스 스터디할 수 있게 작가별 컬러작품 사진을 곁들여 편집해 놓았다. 세잔느, 반 고흐에 이르는 고전작가들은 물론이고 최근 각광받는 현대작가와 작품들을 망라한 것을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책표지에 안젤름 키퍼의 작품을 실었고 제스퍼 존스, 바스키아, 리히텐슈타인, 사이 톰블리, 게르하르 리히터 등의 작품과 해설을 실은 것이다. 교과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의 전통미술과 현대미술도 다루고 있다. 한국편에는 19세기 전통 조각보가 소개됐고 현대작가로 한지조형작가 전광영의 2001년 작품, 그리고 서도호씨에 대한 설명이 실렸다. 한국의 현대작가 - 전광영의 해설도 매우 함축적이다. 예를 들면 작가 전광영의 독특함은 그의 탁월한 공간감각과 그만의 재료를 이용한 작업과정에 있다면서 구체적인 작품설명을 곁들이는 형식이다.

신년에 호주 교과서 얘기를 꺼낸 이유는 예술교육의 수준이 우리와 너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고교 때 고전에서 현대미술까지 폭넓게 섭렵하는 호주 고교생들과 입시과목에만 매달리는 우리 현실은 수평비교가 무리일 정도다. 우리 대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교양이 어느 수준일까를 굳이 떠올리지 않아도 한국의 예술교육은 너무도 뒤떨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호주 고교생들이 사이 톰블리나 안젤름 키퍼 같은 현대작가들을 안다는 게 부럽다는 얘기가 아니다. 그들은 이런 방대한 내용의 교과서를 익히고 실제를 분석한 후 에세이 형식으로 시험을 치른다. 체계적인 이해와 논리적인 사고, 무엇보다 이같은 예술교육을 통해 창의력을 키운다는 현실이 부러운 것이다. 나아가 고교졸업 수준으로 사회에 나와서도 예술 감상이나 취미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꿩 먹고 알 먹는 교육의 효율성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 대학을 나와도 미술이 무엇이고 클래식 발레 연극을 제대로 이해하는 관객층이 넓지 못하다. 마흔이 넘도록 전시장, 공연장에 한번도 안가 본 것을 자랑처럼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다. 그 근본 원인이 어려서부터 예술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이해가 어렵고 공짜라고 해도 흥미를 갖지 못하는데 있다. 이런 예술문외한들이 많다보니 전시장이 한산하고 공연장은 객석이 차지 않는다. 지난해 예술계가 고전을 면치 못한 이유는 관객을 감동시킬만한 창조적인 작업이 부족했다는 것이 첫째지만 영화외의 장르에 기본관객이 절대 부족한 탓이 더 크다. 공연관계자에 따르면 인터넷으로 움직이는 고정관객수가 몇 천 명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니 혼신을 다해 작품을 발표해도 관객이 없어 적자에 허덕이고 의욕마저 잃게 되는 것이 우리의 딱한 현실이다. 21세기에는 문화와 예술을 모르면 생존이 어렵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 5일 근무제에 따라 휴식시간이 늘고 고령화에 따른 잉여시간을 허송세월로만 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예술을 즐기거나 체험해야 삶에 생기를 찾을 수 있고, 예술가들 또한 예술소비가 활성화되어야 의욕과 보람을 느끼며 창작에 임할 수 있다.

2006년 벽두에 예술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예술을 이해하고 즐기는 인구가 늘어야 예술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문화시대의 최대 무기인 창의력 배양은 예술교육에서 싹트기 때문이다. 미래의 문화생활은 오늘날 우리 청소년들이 받는 교육에 달려있다. 예술교육은 미래의 수용자 참여도에 대한 가장 확실한 지표의 하나이다.

창조적인 아메리카를 표방한 미국의 21세기 전략은 인문학의 부활과 예술교육의 활성화다. 우리도 창의력으로 세계와 경쟁하고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예술교육부터 혁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