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잘못 끼워진 첫 단추 실망스런 문화계 인사

탁계석

쇠고기 파동으로 전국이 혼미한 상황에서 현 정부의 문화계 인사가 나왔다. 한마디로 실망스럽다. 예술의전당 사장, 국립합창단 지휘자, 국립오페라단장 인사가 그것이다. 창작을 배려한 것으로 보이는 국립오페라단장을 제외한 두 자리는 시한에 쫓긴 흔적이 역력하다.

예술의 전당사장의 경우 우선 추천에서 거론 되었다고 하는 4명의 인사 중 세 사람이 고사를 할 만큼 초기 인선에서 실패했고 이를 다시 거론하는 것에 부담을 느껴 내려진 허술한 판단으로 보인다.

예술의전당이 갖는 대내외적 위상과 오페라하우스 화재로 겪고 있는 현황의 어려움을 감안하면 이런 졸속 인사가 몰고 올 행보가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다. 정작 좀 더 여유로운 시간이 주어질 수도 있었겠지만 유인촌 장관의 광화문 포럼연설로 빚어진 코드 인사 퇴출 논쟁이 새롭게 태어난 유문화 시스템의 작동을 그만큼 더디고, 살얼음 판을 딛는 조심 행보로 치닫게 한 것은 아닌지 모른다.


결국, 결과적으로는 혁신적인 문화정책을 기대하고 있던 보수진영의 기득권에게 조차 실망스런 잘못된 첫 단추를 꿰고 만 것 같아 걱정스럽다. 그 본질이 깊이를 읽어 내는 안목의 결핍이라면 이는 예사로운 문제가 아닐 것이다.

오늘 우리가 처한 문화계 구조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이를 혁파하지 않으면 문화계 역시 혼돈의 상황을 벗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 과거 잃어버린 10년이라고 했던 이들이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다시 까진 상처에 고통을 주는 일이 벌어져서는 되겠는가.


과거 관례대로라 해도 벌써 새 정부의 문화 청사진이 나올 시점이 훨씬 지났다. 국민들에게 이 정부의 문화정책이 어떻게 흘러갈지에 대한 대략의 방향이라도 짚어 주는 성의가 필요하다. 고작 대선 선거 공약에서 흘린 기억에도 남지 않을 구호 외에 그 어떤 구체적인 방향 있었는가 묻고 싶다. 단지 공공성을 강조해 문화기관이 수익논리에 빠지지 않도록 하겠다는 장관의 의사가 표명된 정도다.


조금만 수소문해도 인물의 능력을 검증할 수 있을 터인데 아직도 ‘카더라’ 하는 소수의 폐쇄적인 귀동냥에 의해 인사가 결정되는 것 같아 답답할 뿐이다. 누가 누군지 모른 인사추천위위 구성도 의심스럽다.

더구나 각 기관장 후보에 대한 장관의 면담이 있었다면 이의 책임은 전적으로 장관의 몫이다. 자료를 올린 이들도 동시에 책임을 느낄 수밖에 없을 대목이다.




우선 예술의전당 사장 김민씨에 대한 검증이다. 그가 한 실내악단을 이끌어 오며 우리 실내악 운동에 견인 역할을 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동시에 그가 학장 재임 중에 맡았던 코리안 심포니 이사장으로서의 경영은 무성의했다. 이로서 코리안 심포니는 재정 악화, 예술력 감퇴 등의 무기력증을 앓아야 했다. 공직 보다 사적인 것에 우선하는 인식을 엿 볼수 있는 대목이다.

때문에 그는 악단 단원들의 재신임 평가에서 거부권을 당할 정도로 불신이 컸다. 그럼에도 예술의전당 사장직에 의사를 굽히지 않았고 당시 현직 사장의 퇴임과 맞물려 서로 자리 맞바꾸기를 감행하려 한다는 빈축도 샀다. 한 번 도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가 정치력을 발휘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는 낙점에 성공했다.


그리고 국립합창단 나영수 지휘자 역시 몇 번의 자의반 타의반으로 물망에 올랐었다. 지난번 예술감독 김명엽 지휘자 역시 이런 와중에서 어부지리로 자리를 얻게 된 것이란 점은 합창계가 다 알고 있는 공공연한 비밀. 결국 나영수 지휘자의 도전 여파로 국립합창단의 사운드가 하락했다는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는 입장인데 다시 컴백이라니, 이 역시 웰빙 감각의 문화 처방이다.

과연 나영수 지휘자의 낙점 역시 무엇에 초점을 두었는지? 궁여지책일수 있겠지만 ‘새 술은 새 부대’란 격언을 무색케 하는 인사임에 분명하다. 그는 이미 오랜 세월을 국립과 함께 고락을 해왔다. 그래서 “국립합창= 나영수”의 캐릭터가 만들어진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의 합창계 공적은 모두 인정하고 있다. 박수 치고도 한 참 있다가 떠난 사람이다.

우리 합창계가 한 인물에 그토록 오랜 시간을 집착할 수 밖에 없는 것은 공공합창의 한계를 말한다. 새로운 신진 세력을 키우는데 등한시 해왔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세계의 합창단들이 하루가 멀다하지 않고 밀려오고 있는 현실에서 국립합창단은 과거의 명성도 잃었고, 오늘은 심각한 정체성 문제로 진로를 고민하고 있다.





지금 세계 합창은 눈부신 도약과 시시각각 청중 변화에 민감한 콘텐츠 경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멋진 백발의 노장은 조국에 대한 마지막 봉사라 할지 모르지만 그에게 다시 키를 맡긴 건 전문성 있는 선택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 보다 좀 못해도 새로운 세대에게 자리를 주는 것이 역사의 순리요, 승자의 관용이요, 진정한 이 시대 어른의 참 모습이 아니겠는가.

물론 예술에 국경도 없고 나이도 초월한다. 그의 나이가 전적인 문제는 아니다. 순수 예술 평가에서도 이제 한국합창의 미래를 위해서도 차세대 성장 동력을 키우는 쪽으로 가닥을 잡는 것이 경쟁력 확보에서도 옳다고 본다.


국립오페라단 인선의 경우에도 고민이 많았을 줄 안다. 내노라하는 성악계 원로, 오페라 단장들의 설왕설래가 난무했고 인물 주변의 자극성 폄훼 발언이 혼탁함을 주었을 것이다. 국립오페라의 경우 전임 단장이 역대 어느 단장 보다 훌륭한 작업을 많이 해 국립을 업그레이드 시킨 것이라 평가한다.

이제 한 번 쯤은 작곡가 출신 단장이 열악한 창작을 살려야 한다는 명분에서 성악가 독주 시대에서 오페라 구조를 뒤 짚어 보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란 점에서 그나마 다행스런 인선으로 보인다.

앞으로 문화계 인사가 줄을 이을 것이다. ‘공모제’에서 추천제‘로 가면서 비밀스런 인선이 아닌 객관성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인사의 최적정선을 찾기 위해 문화부가 모든 것의 주최가 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제한적인 공개 토론방식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망명가들이 삼고초려만 기다리는 것도 시대에 맞지 않고 그렇다고 누가 추천되었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혹 마음이 있어도 안티가 많은 사람의 경우 ‘카더라 그물’에 걸려 명함도 내밀어보지 못하는 억울함은 없어야 하겠기에 그렇다. 바라건데 가뜩이나 혼미스러운 정국에 문화계 인사가 쇠고기 파문처럼 인물에 대한 거부감으로 확산 되지 않기를 바란다.

탁스 뮤직 http://blog.naver.com/musictak/9003195524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