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30)공영방송의 무식한 미술문화 읽기

김종근

얼마전 나는 두개의 각기 다른 TV 프로그램을 보면서 참으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하나는 모방송의 '즐거운 문화읽기'라는 문화 프로였다. 나는 가끔 이 프로를 본다. 내가 이 프로를 그나마 가끔 보는 것은 민영이든 공영이든 불구하고 별 볼만한 문화적인 프로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나라 방송이 문화는커녕 별 시시껄렁한 쟁반 노래방 같은 프로, 연예인들 가십이나 잡담 중심의 시시콜콜 한 프로가 안방문화를 망치고 있다. 그런 마당에 이 프로가 공연 예술 문화를 서투르게나마 읽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를 모셔다 놓고 비디오 아트의 현재를 설명하면서 '우리나라 비디오아트의 역사가 10년'이라는 자막과 함께 전혀 어울리지 않는 큰 제스츄어를 쓰는 아나운서의 멘트 장면에서는 정말 아연실색할 따름이다.

그것은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프로를 만드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것이 안되어 있다는 것 때문이다.<내가 알기로 그 프로의 남자 아나운서는 모 대학의 다중매체 학부의 교수로 알고 있다. 물론 다중매체를 다루는 교수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 사실들은 알아야 하지만 설령 모른다고 해도 바로 전 미술전문지의 편집장이 나와 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이야기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런 오류를 하다니. (끝까지 정정도 없이) 물론 다양한 예술의 지식을 다 알 수는 없는 것이지만 그래도 정도가 너무 심했다는 것이다.

최초의‘비디오 아티스트’로 알려진 백남준. 그는 1963년 3월 부퍼탈의 파르나스 화랑에서 요셉 보이스 공연에 의거한 <음악전-일렉트로닉 TV>라 이름하는 믹스트 미디어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국내에서 최초로 비디오 작품을 선보인 사람은 대구 실험미술의 대부이자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작고한 박현기이다.

그는 이미 1977년 대구의 K-STUDIO에서 15분 짜리 기록비디오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국내 최초로 비디오 작품을 선보였다. 그렇다면 한국 비디오의 역사는 26년 정도로 말해야 할 것이다.

경악 두번째는 '스승과 제자'라는 프로에서는 멀쩡히 생존해 있는 여류화가 천경자씨를 작고작가로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살아있는 작가를 죽은 작가로 , 비디오 아트 역사가 27년이든 ,40년이든 그러한 사실 자체가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문제는 이러한 프로를 만들면서 단 한번이라도 만들기 전에 연구나 공부하는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아니면 미술계에 자문을 구하던가 그런 노력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그러한 가장 기본적인 노력도 없이 과연 문화를 어떻게 즐겁게 읽을 수 있을까? 전문가를 키우지 않고 수시로 바뀌는 일간지 미술담당 기자들의 오류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이 우리를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