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사설> ‘문화융성’ 강조한 朴대통령 취임사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취임사에서 문화융성을 경제부흥ㆍ국민행복과 함께 3대 국가 경영 키워드로 제시했다. 국민행복 시대를 열어 가는데 경제적 풍요와 함께 문화적 가치를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역대 대통령들의 대선 공약이나 취임사 등에 문화 정책 강화 내용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 구색 갖추기 정도의 원론적 수준에 머물렀지 이처럼 전면에 세운 적은 없었다. 매우 이례적이며 적극 환영할 일이다. ‘문화 대통령 박근혜 정부’ 5년에 거는 기대가 크다.

실제 취임사에서의 언급 강도도 높았다. 가령 “21세기는 문화가 국력인 시대, 국민 개개인의 상상력이 콘텐츠가 되는 시대”라며 그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나, “새 정부는 우리 정신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사회 곳곳에 문화의 가치가 스며들게 해 국민 모두 문화가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 등이 그런 맥락이라 하겠다. 특히 “문화로 더 행복한 나라를 만들겠다”며 “새 시대의 삶을 바꾸는 ‘문화융성’의 시대를 국민과 함께 열어가자”는 당부도 주목할 만하다.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되면 그 다음은 문화 욕구에 눈을 돌리게 마련이다. 그러나 문화는 돈을 많이 푼다고 일거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문화예술회관을 짓고, 각종 축제와 다양한 문화 행사를 여는 등 과거보다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런 정도로 문화적 가치와 소양이 높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문제는 그 속에 담기는 내용이다. 즉 콘텐츠의 질이 문화 역량의 척도이자 국가 경쟁력인 것이다.

더욱이 문화는 정서를 풍요롭게 해주는 1차원적인 기능을 넘어 산업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미 한류 같은 문화 콘텐츠는 산업적 가능성이 충분히 확인된 상태이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문화적 상상력이 풍부한 창조적 인재를 길러내는 것은 이제 국가적 과제다. 지난해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이 세계를 휩쓸었고, 한국 영화 관객이 사상 처음 1억명을 넘어섰다. 프로야구 관중이 700만명을 넘어서며 1000만명 시대로 나아가는 상황이다. 문화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어느 때보다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사회 통합에도 문화의 기여도는 매우 높다. 문화강국으로 거듭날 때 비로소 당당한 선진국의 반열에 들 수 있다.

남은 것은 실천의지다. 문화를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문화예술인들이 마음 놓고 창작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게 우선이다. 특히 문화가 첨단 기술과 융합해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면 일자리도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 문화 재정 비중이 적어도 2%는 넘어야 해결되는 일들이다. 문화기본법 제정 등 문화기반 확대 조성도 시급하다. 정치권도 적극 협조하면 그 성과는 더욱 배가될 것이다.

- 헤럴드경제 2013.02.26
http://nbiz.heraldcorp.com/view.php?ud=2013022600024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