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O2/민화의 세계]강태공조어도

정병모

중국선 왕에게 공손한 강태공, 조선에선 당당한 강태공, 왜?

강태공이 후에 주나라 문왕이 되는 서백에게 공손하게 인사를 하고 있다(왼쪽 그림). 이 작품은 통치자의 입장에서 그린 강태공 이야기 그림이다. 양기성(梁箕星), ‘태공조위도(太公釣渭圖)’, ‘예원합진 (藝苑合珍)’에 수록, 종이에 채색, 가로 29cm, 세로34cm, 일본 야마토분카간(大和文華館). 강태공과 서백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오른쪽 그림). 뒤도 돌아보지 않는 강태공의 눈치를 살피는 서백의 모습에서 감상자는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강태공조어도(姜太公釣魚圖)’, 종이에 채색, 가로 57cm, 세로 90cm, 파리 기메동양박물관.

《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후보 진영에서 인재 구하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누구를 발탁하느냐에 따라 선거의 성패가 갈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방(劉邦)은 항우(項羽)를 대파하고 한나라를 세운 비결에 대해 “항우는 사람을 쓰지 못했지만, 나는 사람들을 잘 활용해 중국을 차지했다”고 말한 바 있다. 공자는 지혜가 무어냐는 물음에 “사람을 잘 선별하는 것(知人)”이라 답했다. 》

인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민화로는 ‘삼고초려도(三顧草廬圖·유비가 제갈량을 세 번이나 찾아가 정성을 들인 고사를 그린 그림)’와 지금부터 살펴볼 ‘강태공조어도(姜太公釣魚圖)’가 가장 유명하다. 강태공은 중국 주(周)나라 때 사람이다. 보잘것없는 시골 노인이었으나 서백(西伯·후에 주나라 문왕이 됨)의 발탁으로 제후에 오른 기적의 주인공이다. 그는 평생 위수(渭水)에서 낚시로 소일했는데, 낚싯바늘에 미끼를 끼우지 않은 채였다. 미끼 없는 낚시에 물고기가 걸려들 리 만무했지만, 그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

당시 서백은 은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현인이 필요했다. 그는 태사의 점괘에 따라 위수로 사냥을 떠나 그곳에서 강태공을 만났다. 천하의 정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서백은 강태공의 비상함에 감탄해 그를 자신의 수레에 태워 대궐로 돌아왔다. 강태공은 서백의 희망대로 은을 멸망시키는 큰 공을 세우고 제후국인 제(齊)나라의 임금이 됐다. 이 이야기는 인재의 중요성과 더불어 기다림의 지혜에 대한 교훈을 우리에게 전한다. 

○ 같은 이야기, 상반된 해석

18세기 초 궁중 화원들이 그린 화첩인 ‘예원합진(藝苑合珍·일본 야마토분카간·大和文華館 소장)’ 가운데 양기성(梁箕星)이 그린 ‘태공조위도(太公釣渭圖)’가 있다. 그림 속 산 위로는 창과 깃발들이 뾰족 솟아 있는데, 이는 서백이 꽤 많은 병사를 대동하고 왔음을 보여준다. ‘몸은 마른 등걸같이 시들어가고 마음도 모든 것을 포기한 상태’이던 강태공은 두 손을 모아 공손히 그를 맞는다. 화면 가운데에는 커다란 버드나무가 있다. 버드나무는 ‘역사적 만남’을 강조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만남 혹은 이별의 상징이었다. 양기성은 영조어진과 세조어진을 그릴 만큼 인물화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은 이다. ‘예원합진’에서는 서정적이면서 사실적인 그의 필치가 잘 드러난다.

같은 강태공 이야기지만, 민화 ‘강태공조어도’(파리 기메동양박물관 소장)는 양기성의 그림과 정반대의 인식을 보여준다. 등 뒤로 병사들이 떠들고 있지만 강태공은 꼼짝 않고 낚시에 열중이다. 서백은 사모를 올려 쓴 단정치 못한 모습에 강태공의 눈치를 보는 표정이 역력하다.

여기서는 강태공과 서백의 처지가 바뀌었다. 70세가 넘도록 기다렸던 기회가 왔지만, 강태공의 태도는 오히려 당당하다. 그의 등 뒤로 말과 개 울음소리, 사람들이 떠드는 소리가 들려왔다는 이야기가 전하지만 민화에서는 정도를 지나쳤다. 병사들은 상관이 무슨 일을 하든 말든 시끌벅적한 모습이다. 엄숙한 분위기가 감도는 양기성의 그림에서 볼 수 없는 인간적인 풍경이다.

이것은 서민의 입장에서 바라본 강태공 이야기다. 그림은 권력 있는 사람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여 권위를 깎아내리고 힘없는 사람은 당당하게 표현하여 위상을 높였다. 이와 더불어 중국 이야기를 조선의 것으로 재해석한 면도 돋보인다. 중국이 아니라 조선의 옷에 조선인의 면면을 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것이다. 이는 오랫동안 귀에 익은 탓에 어느새 강태공 이야기가 우리의 것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구수한 옛이야기 그림

이처럼 역사서를 비롯해 문학, 경전, 설화 등의 교훈이 되는 옛이야기를 그린 그림을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라 부른다. 판소리 춘향가 중 이도령이 춘향의 방 벽을 둘러보며 읊은 ‘사벽도사설(四壁圖辭說)’에는 △엄자릉이 낚시하는 ‘엄자릉조어도(嚴子陵釣魚圖)’ △도연명이 벼슬을 마다하고 오류촌에서 국화를 따며 은거해 사는 ‘귀거래사도(歸去來辭圖)’ △유비와 제갈량의 ‘삼고초려도’ △진나라 말기 난세를 피해 상산에 숨어 사는 네 노인이 바둑을 두는 ‘상산사호도(商山四皓圖)’ △이태백이 술에 취해 물속에 뜬 달을 건지려는 ‘태백취월도(太白醉月圖)’ △백이와 숙제가 주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을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고비를 캐서 먹는 장면을 그린 ‘백이숙제도(伯夷叔齊圖)’ △오강(烏江)을 건너 후일을 기약하라는 조언을 듣지 않고 항우가 자결하는 ‘항우오강도(項羽烏江圖)’ △한양 광충다리(廣沖橋·지금의 광교)의 춘화(春畵) 등 많은 그림이 등장한다.

마치 갤러리를 방불케 하는 컬렉션이다. 그런데 이들 그림은 춘화만 빼면 모두 고사인물도다. 그만큼 서민들 사이에서 고사인물도의 인기가 높았던 것이다. 그 이유는 고사인물도에 흥미로운 이야기가 펼쳐져 있는 데다 교훈까지 담겨 있기 때문이리라. 이러한 고사인물도를 보노라면, 할아버지가 손주를 무릎 위에 앉혀놓고 구수한 옛이야기를 들려주거나 주인과 손님이 그림에 얽힌 이야기를 주고받는 모습이 눈앞에 선하게 떠오른다.


- 동아일보 2012.10.13

http://news.donga.com/3/all/20121012/5007230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