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현권/ 경계 너머로, 흐르는 물을 바라보다

고충환

이현권/ 경계 너머로, 흐르는 물을 바라보다 


한강 시리즈. 흐르는 것은 우울하다. 다만 흐를 뿐인데, 왜 우울한가. 같은 말을 흘러가는 것은 우울하다, 라고 고쳐 쓰면 그 이유며 의미가 좀 더 손에 잡힌다. 흘러가는 것은 우울하다. 흘러가 버린 것은 우울하다. 거기에 내가 본 것, 내가 알고 있었던 것은 이미 흘러가 버리고 없다. 그러므로 흐르는 것이 불러일으키는 우울한 감정은 사실은 부재에 대한 감정이고, 부재가 불러일으킨 감정이다. 매 순간 존재가 부재로 변신하는 현실(아님 현장)을 목격하고 있다는 사실, 시시각각 내가 보고 알고 있었던 것을 더 이상 볼 수도 알 수도 없게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사실, 그리고 그렇게 나의 감각과 인식이 가 닿을 수 없는 세상 밖으로 밀려나 버렸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사실이 우울하다. 그렇게 존재가 부재가 돼 사라지면서 남긴 잔영을, 어쩜 존재의 희미한 그림자를 그리워하는 감정이 우울이다. 
작가는 근 10년간 줄곧 <한강>을 찍었다. 한강을 찍는 내내 우울했다고 한다. 그렇게 우울한 자기감정을 한강에 투사하고 싶었고, 실제로도 작가가 찍은 한강 사진을 보면 우울한 감정이 밀어 올린 서정적인 아우라가 감지된다. 우울한 감정은 유독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이 강한 사람의 타고난 자질이다. 천성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쩜 작가의 한강 사진이 불러일으키는 우울한 감정에는 어느 정도 자연스러운 부분이 있다. 이에 비해 보면, 작가는 한강을 찍는 자신의 사진 행위가 혹 한강과 함께 흘러가는 역사의 도도한 흐름에 동참하는 계기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말하고 있지만, 그건 사실 지엽적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어쩜 역사의 도도한 흐름이라는 말(그리고 생각) 자체가 어느 정도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그러므로 막연한 부분이 없지 않다. 그보다는 우울한 감정이 더 실제적이고 구체적이고 즉물적이다. 
앞서 흐르는 것은 우울하다고 했다. 그러나 흐르는 것을 보고 우울하다고 느끼는 감정은 보편적인 감정도 저절로 주어지는 감정도 아니다. 흐르는 것에서 부재를 보고, 존재의 희미한 그림자를 보아낸, 존재의 존재론적 조건(아님 한계)에 대한 인식 그러므로 무상함을 읽어낸 사람의 감정이다. 그렇게 한강도 무상하게 흐르고, 작가도 무상하다고 느낀다. 작가의 한강 사진에는 그렇게 우울하고 무상한 감정이 물안개가 피워올린 피막처럼 내려앉아 있다. 

1년 시리즈. 한강에는 한강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아파트와 다리와 수변시설 같은 문명의 흔적이 있고, 흙과 물과 바람과 공기와 같은 자연도 있다. 그중 작가는 한곳에 필이 꽂힌다. 잡풀들 사이사이로 작은 꽃나무들이 자라는, 흔한 야산 혹은 야트막한 언덕 같은 곳이다. 아마도 반쯤은 저절로 눈에 밟혔을 곳 중 하나일 것이다. 그 한 곳을 작가는 일 년 동안 찍었다. 그래서 제목도 <1년>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적어도 겉보기에 이렇다 할 사건도 이목을 끌 만한 행위도 없어 보이는 흔한 장소, 그것도 같은 장소를 일 년 동안이나 찍었을까. 일 년이라는 기간에는 무슨 의미심장한 의미라도 있는 것일까. 
잡풀들도, 꽃나무들도, 야산도, 야트막한 언덕도 흙과 물처럼, 바람과 공기처럼 자명한 것들이다. 사람들은 자명한 것들을 안 봐도 비디오라고 생각한다. 보고도 보지 못하고, 사실은 모르는데 이미 안다고 생각한다(이처럼 보고도 보지 못하고, 모르는데 안다고 생각하는 현실을 전복하기 위해 아방가르드는 낯설게 하기 전략을 도입하기도 한다). 작가는 그렇게 사람들이 어쩜 간과했을지도 모를 자명한 것들을 찍는다. 그 자명한 것들에는 사실은 사건도 행위도 없는 것이 아니었다. 생명이 자라고 늙고 병들고 죽는 치열한 사건이 있었고, 생사를 무한 순환 반복하는 자연의 순연한 행위가 있었다. 작가는 그렇게 자명한 것들, 사실은 더 이상 자명하지 않은 것들(사실을 말하자면, 자명한 것은 없다), 치열하고 순연한 것들을 찍고 싶었다. 그렇게 작가는 실제로 무엇을 찍었는가. 시간이다. 그 자체로는 형태도 색깔도 없는 시간을 재현하고 가시화했다. 
한강도 흐르고, 시간도 흐른다. 한강이 흐르면서, 존재를 부재로 흘려보내면서 시간을 재현하고 있다면, 1년 시리즈에서 시간은 중첩되면서, 한 곳에 층층이 쌓이면서 자기를 가시화한다. 그렇게 흐르는 것들, 쌓이면서 흐르는 것들은 무상하다. 그리고 그렇게 운명적으로 무상한 것들이, 다시, 우울한 감정을 불러온다. 

이분의 일 시리즈. 여기에 한강의 전형적인 포맷이 있다. 화면이 강과 하늘로 나뉘면서 그 접촉면에 경계선이 보이는 포맷이다. 그 대상이 물에서는 수평선, 땅에서는 지평선, 그리고 산과 하늘이 맞닿은 경우에는 공지선이라고 부르는 선이다. 작가의 경우에는 한강을 소재로 한 것인 만큼 수평선이라고 보는 것이 맞겠다. 작가는 한강을 찍다가, 어느 순간, 그 경계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저 주목했다기보다는 빨려 들어갔다고 보는 것이 맞겠다. 앞서 한강에는 한강만 있지는 않다고 했다. 아파트와 다리와 수변시설 같은 문명의 흔적이 도처에 있다. 한강을 보면, 한강보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들이다. 그렇게 눈을 선점한 것들을 기화시키면서까지 경계선 자체에 주목하게 만든 것으로 치자면, 경계선이 작가를 견인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그렇담 경계선이 작가를 어떻게 움직였을까. 작가의 어떤 기질이 경계선에 반응했을까. 여기서 다시, 우울한 기질이 호출된다. 앞서 우울한 기질은 유독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이 강한 사람의 타고난 자질이라고 했다. 우울한 기질은 체질적으로 사태의 본질을 향한다. 자기중심적이라는 말로 이해해도 되겠다. 흔히 이치에 밝다는 세상 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그 기질은 지엽적인 것들을 넘어 사태의 중심을 향하고 구조를 정조준한다. 그러므로 경계를 소재로 한 사진에서 작가는 본질주의자, 환원주의자, 그리고 구조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드러낸다. 
구조적으로 볼 때, 한강은 수평선을 경계로 강과 하늘이 맞닿아있다. 그렇담 하나의 풍경으로 하여금 이처럼 강과 하늘로 나누는 경계란 무엇인가. 도대체 경계가 무엇이길래 하나의 세계를 강에 속한 세계와 하늘에 속한 세계로 나누는가. 경계란 실재하는 것인가. 아님, 실재하지 않는 것인가. 실제로 가닿을 수 있는 감각적 대상인가. 아님, 생각만으로 존재하는 관념적 대상인가. 감각적 대상이든 관념적 대상이든 도대체 의미 있는 대상인가. 말하자면 경계란 그 속에 무슨 의미심장한 의미라도 내장하고 있는 것인가. 그렇다고 전제한다면, 도대체 그때의 의미란 뭔가. 그리고 결정적으로, 경계 너머에는 무엇이 있는가. 주지하다시피 그 너머를 전제하지 않는 경계는 모순이고 오류다. 정리를 하자면 경계에 대한 의문은 경계 자체의 실제 여부와 함께, 경계 너머로 모인다. 
이처럼 사태가 경계에 맞춰진 만큼, 경계 자체에 오롯이 초점을 맞추기에 한강은 좀 번잡스럽다. 그래서 작가의 사진은 한강에서 바다 쪽으로 옮아간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이분의 일> 시리즈다. 원래 한 개의 세계를 서로 다른 두 개의 세계로 나누는 경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면 되겠고, 그런 만큼 경계 자체가 주제인 경우로 볼 수가 있겠다. 그렇게 작가가 찾아온 바다는 경계와 대면하기에 꼭 맞는 대상이다. 마치 경계와 독대하기 위해 거기에 그렇게 있었던 것 같다. 세상의 모든 문제와 씨름하다가 누더기가 된 몸을 이끌고 마지막으로 자기를 찾아오는 사람들을 위해 오래전부터, 아마도 아득한 전설 속에서부터 거기에 그렇게 기다리고 있었던 것 같다. 
그렇게 작가는 바다 앞에 카메라를 세운다. 경계가 잘 보이는 장소와 지점을 찾아 카메라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어스름해지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마침내 사위가 어둑해지면 잘 보이던 경계가 어둠에 묻혀 보이지가 않게 된다. 멀쩡하게 잘 보이던 경계가 마침내 보이지가 않는다? 작가가 찍고 싶었던 게 경계가 아닌가. 그렇담 처음에 잘 보이던 경계가 아닌, 또 다른 경계를 찍고 싶었다는 얘긴데, 그 또 다른 경계란 뭔가. 처음의 경계와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그렇게 다른 것이지만, 여전히 경계인가. 아님, 경계와는 다른 무엇? 
사위가 어둑해질 즈음 경계가 어둠에 묻혀 보이지가 않을 때, 정작 작가의 눈(그러므로 어쩜 카메라의 눈)에는 비로소 경계가 보이기 시작한다고 했다. 바로 작가가 그토록 보고 싶고 찾고 싶었던 경계일 것이다. 다시, 그게 진정 경계인가. 사실 그건 눈이 보아낸 경계는 아니었다. 어둠 속에서마저, 차라리 어둠 속에서야 비로소 자기를 열어 보이는 경계란, 사실은 경계가 아닌, 경계의 잔상이고 잔영이다. 경계의 기억이고 고집이고 그리움이다. 경계를 지각하는 것은 눈의 일이고 감각에 속한 일이지만, 경계의 잔상이 감각을 넘어 인식의 끝자락에 편입되고 등록되면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렇게 작가는 감각적인 경계와 관념적인 경계, 감각되는 경계와 경계의 관념이 서로에게 열리면서 몸을 섞는 경계, 지경, 차원의 극적 순간을 포착하고 싶었다. 
실제로 작가의 사진을 보면 선명한 경계, 손에 잡히는 경계 대신, 애매한 경계, 지워진 경계, 사실은 막 지워지려고 하는, 막 사라지려고 하는, 어쩜 더 깊어지려고 하는 경계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렇게 경계를 풀고, 하늘과 바다가 막 한 몸이 되기 직전의 극적 순간을 보여준다. 그 극적 순간을 지나치고 나면, 아마도 경계는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없을 것이다. 어둠이 경계와 함께 경계의 잔상마저, 지각된 경계와 함께 경계의 기억마저 삼켜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작가는 혹 경계를 빌미로 사실은 무경계를 찍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경계를 찍는다는 것은 어쩜 무경계로 건너가기 위한 수순 같은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렇게 경계와 무경계의 경계 위에서 포착한 바다가 화면의 안쪽으로 열리는 그 끝을, 화면 속으로 확장되는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인간의 감각과 인식이 가 닿을 수 없을 만큼 먼, 아득한, 막막한, 공허한, 어쩜 무상한, 그래서 다시, 우울한 감정에 젖게 만든다. 그리고 연민을 자아낸다. 그 깊이 속에서 헤어나올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마침내 그 깊이 속으로 사라져도 좋을 것, 이라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자연과 풍경은 다르다. 주지하다시피 자연은 스스로 그러한, 원래부터 그런,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자연에 관한 한 인간의 의미부여를 위한 틈은 없다. 자연이 보기에 인간(그리고 인간의 의미부여)은 그저 짚으로 만든 개처럼 보일 뿐이다(노자). 자연은 인간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반면, 풍경은 다르다. 자연이 객관적 지평이라면, 풍경은 주관의 소산이고, 인문학의 한 경우에 해당한다. 감정이입을 매개로 자연과 인간이 서로 관계하는 것으로부터 풍경은 생겨나고, 자연이 풍경으로 변신한다. 그렇게 아득한, 막막한, 공허한, 무상한, 그리고 우울한 풍경이 비로소 가능해진다. 
앞서 흐르는 건 우울하다고 했다. 한강도 흐르고 시간도 흐른다. 그래서 작가가 찍은 한강 사진도, 일 년 동안 쌓이면서 흘렀을 시간 층을 보여주는 익명적인 숲(아님 수풀) 사진도 우울하다. 유독 자기반성적인 경향성이 강한 사람의 타고난 자질이기도 한 우울한 기질은 지엽적인 것을 넘어 곧장 사태의 본질을 향한다. 그렇게 가닿은 한강의, 시간의, 그러므로 어쩜 흐르는 것들의 본질이 경계다. 그렇게 작가는 바다 앞에 섰고, 거기서 경계를 찍으면서 사실은 무경계를 찍고 있었다. 경계와 무경계의 경계를 찍고 있었다. 그렇게 자기만의 풍경을 열어놓고 있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