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장소영 / 인연(因緣)

김영호



장소영 / 인연(因緣) 



김영호 | 중앙대교수, 미술평론가

화가 장소영이 네 번째 개인전을 연다.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겸해 활동하고 있는 화가의 회화 작업에 대해 글을 쓰는 마음은 조심스럽다. 예술대학원에서 맺은 사제지간(師弟之間)의 연을 넘어 화가로서 본인의 노정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니 그렇고, 화가의 작품을 감상하고 공유하는 대중 관객에게 작품의 정당한 가치와 평가를 내리는데 도움을 드려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하지만 나는 이미 지난 세 번째 개인전의 서문을 쓴 바 있다. 전시 준비 과정마다 화가의 작업실을 방문해 창작 공간이 품은 기운을 가늠하면서 화가의 예술세계에 대한 열정과 의지를 확인하고 격려도 해 왔다. 장르의 경계가 사라진 현대미술계의 상황은 작가의 활동에 긍정적 관심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작품이란 삶의 결실이므로 화가의 예술적 성취는 화가의 개성과 표현의 진정성 그리고 조형능력에서 온다는 사실을 그녀는 알고 있다.

화가 장소영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 자신이 사용하는 화구(畫具)는 캔버스와 물감 그리고 붓이 기본이지만 긋고 칠하고 묘사하고 재현하는 전통적 그리기 방식을 떠나 있다. 캔버스에 바탕을 입히는 작업에서 붓이 쓰이지만 이 경우 역시 대상을 묘사하려는 의도에서 온전히 벗어나 있다. 장소영이 채택한 기법은 드리핑(dripping)이다. 화면에 물감을 뿌리는 방식으로서 드리핑은 20세기 초현실주의자들이나 추상표현주의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으니 그 나름의 역사와 족보가 있다. 이들 경우는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거나, 그린다는 행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모더니즘 미술의 귀납적 결실로 다루어져 왔다. 장소영이 채택하고 있는 드리핑 기법은 실험적 형식이라는 평가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장소영의 작업에서 화가가 지닌 개성적 형식과 그것을 통해 드러내려는 의미의 차별성을 발견할 수 있다. 

화가 장소영이 사용하는 색상은 오방색(五方色)이다. 이러한 색상의 선택은 물론 작가의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오방색을 사용한다 해서 그가 사용하는 색상의 테두리를 다섯 가지로 제한할 필요가 없다. 오방색인 청·적·황·백·흑의 다섯 색이 양(陽)을 나타내는 색이라면 오방색의 중간색 그룹인 오방간색(五方間色)인 녹(綠)·벽(碧)·홍(紅)·유(騮)·자(紫)가 음(陰)을 나타내는 색으로 더불어 사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사찰의 단청에 녹색이 적색과 함께 자리잡고 있는 것은 음과 양, 즉 오방정색과 오방간색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는 삼라만상의 이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장소영의 작품에서 황색 바탕에 녹색과 적색이 주조를 이루는 경우는 중앙에 음과 양이 함께 어우러진 세상의 이치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해석의 방식은 일반 관객들에게 강제할 것은 아니다. 관객들은 자신의 시선을 사로잡는 보색(補色)으로서 녹색과 적색의 병치혼합(竝置混合) 효과에 더 관심을 기울일 수도 있다. 그리고 드리핑 되어진 색료들이 만들어 내는 섬세한 질료적 효과에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소영의 작품을 감상하는 방식의 하나로 ‘몸의 경험’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몸의 경험이란 신체의 부분이자 다섯 감각기관의 하나인 눈을 통한 시각 경험이다. 신체로서 눈이 시각 작용을 하며 색을 경험하는 것이다. 몸이 색에 반응하면 신체에 울림이나 떨림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험은 안구가 색의 파동을 받아들여 시각뇌를 진동시키는 현상이다. 이를 지각(知覺) 작용이라 부른다. 몸의 지각 작용은 오묘하고도 신비한 것이어서 색의 파동을 받아드린 시각뇌는 몸을 진동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평가하며 가치를 매기게 된다. 이른바 인식(認識) 작용의 단계로 몸이 반응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어떤 작품에서 자신의 기억을 떠올리고 심지어는 종교적 이념이나 철학 사상을 대입시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해 내기도 한다. 장소영의 작품이 관객들에게 감상되는 과정은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작가가 드리핑의 기법으로 시도한 오방색의 교합이 불교의 인연(因緣)과 연기(緣起)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때 작가와 관객 사이의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화가 장소영의 작품에서 눈여겨 볼 또 하나는 재료를 다루는 화가의 행위다. 그녀가 즐겨 사용하는 물감에는 아크릴 외에도 석채(石彩)가 있다. 석채는 캔버스의 밑칠용으로 사용되는데 돌가루 입자의 굵기에 따라 화면에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 낸다. 예를 들어 대지(大地)나 마당의 이미지가 그것이다. 이렇게 조성된 캔버스라는 공간에 화가는 물감을 흩뿌리는 것이다. 화가의 몸짓은 화폭에 선을 남기고 그 위에 또 다른 선이 겹쳐지며 유기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물감의 농도에 따라 뿌려진 물감들 사이에 혼합이 이루어지며 건조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기포(氣泡)가 일기도 한다. 이렇듯 필연 속에 생겨나는 우연의 효과는 오직 작가가 캔버스 위에서 시도하는 행위의 결과다. 화가의 행위는 흰 고깔로 곱게 단장한 승려가 마당에서 추는 춤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화가가 꿈꾸는 인연과 연기를 상징하는 춤이다.   
     
이상에서 보듯 장소영의 작품은 색의 의미와 드리핑의 행위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난 선의 상징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위에 뿌려지고 겹쳐진 물감의 층위에는 화가가 품었던 시간과 공간이 깃들어 있다. 때로는 선으로 때로는 점이나 면으로 채워진 화면은 표정도 다양하다. 작가는 이번 전시회의 제목을 <인연>으로 정했다 한다. 이 제목은 전시된 모든 작품들을 해석하는 하나의 열쇠가 될 것이다. 이 열쇠를 통해 들여다 본 작가의 작품 세계가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일은 전적으로 관객들의 몫이다. 하지만 장소영의 작품이 지향하는 세계가 인연과 연기의 세계라는 점을 관객들이 인정하게 된다면 더없는 성과일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