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유림/헤테로토피아의 지평에서 숲을 보다

김영호



김유림/헤테로토피아의 지평에서 숲을 보다 

김영호 | 중앙대교수 미술평론가


우리는 저마다 유토피아의 세계를 마음에 품고 살아간다. 본질적으로 다가갈 수 없는 비현실적인 공간이다. 가고 싶지만 갈 수 없는 이상향인 유토피아는 우리의 일상 밖에 존재하는 세계로 불리우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토피아의 개념에 이의를 제기하고 새로운 공간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다. 1960년대 중반에 창안되어 공간 인식에 새로운 지평을 연 헤테로토피아가 그것이다. 현대 프랑스를 대표하는 철학자의 한사람인 미셸 푸코에 의해 창안된 헤테로토피아는 한마디로 ‘현실화된 유토피아’다. ‘실제로 위치를 한정할 수 있지만 모든 장소의 바깥에 있는 장소들’이자, 유토피아가 현실 안에 존재하면서 이상적 기능을 수행하는 장소가 헤테로토피아의 세계다. 다른(heteros)와 장소(topos)를 합쳐 만든 신조어 헤테로토피아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꿈과 현실이 교차하는 그림속의 세계로 해석할 가능성이 주어진다.  

김유림의 숲은 우리에게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다가온다. 가고 싶지만 갈 수 없는 이상적 세계인 유토피아와 현실로 존재하는 실재의 장소가 마주치는 풍경을 그린다. 달리 표현하자면 현실에 속한 꿈의 공간이라 할까. 좌절과 우울이 지배하는 ‘피로사회’에서 두 아이를 키우는 어머니로, 한 남자의 아내로 살아내는 냉혹한 현실은 떠나고 싶지만 그리할 수 없는 세계다. 여고 시절처럼 지나고 나면 아름답게 기억될 시간이지만 현실에서는 끊임없이 도피하고 싶은 세계라 할 수 있다. 이상과 현실이 마주치는 헤테로토피아의 세계는 화가들에게 주어지는 치열하고도 숙명적 장소로 다가온다. 작가는 이러한 자신의 세계에 <사려니 숲>이라는 제명을 붙였다. 그리고 그 숲의 이미지를 온통 푸른색으로 표상해 놓았다. 몇몇에는 삶의 연속적 흐름을 나타내는 <블루의 시간>이라는 제명으로 공간에 시간의 개념을 더해 놓았다.           

김유림이 선택한 사려니 숲은 제주시 봉개동에서 서귀포시 남원읍에 이르는 약 15km의 숲길을 끼고 있다. ‘신성한 숲’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려니 숲은 기생화산인 절물오름, 괴평이오름, 물찻오름, 붉은 오름, 사려니오름 등을 품고 있는데다 온대 산지의 자연림이 함께하고 있어 독특한 생태계를 품고 있는 곳이다. 신화와 무속의 공간이기도 하다. 제주에서 나고 자란 김유림이 제주의 사려니 숲을 그림의 소재로 택하게 된 것은 자연스런 일일 것이다. 대학 시절 출사와 사생의 과정을 거치며 친숙해진 숲 그림이 어느덧 작가의 작품 트랜드가 된 것은 숲의 풍경에 개성적인 색채로서 블루를 사용하게 되면서였다. 이른바 블루와 숲의 조합으로 표상된 사려니 숲은 작가의 실존적 상황을 드러내는 매우 특수한 공간이 되었다. 사려니 숲은 작가가 추구하는 이상향이자 냉혹한 현실을 반영하는 심리의 공간으로 표상되었고, 그것은 헤테로토피아적 장소가 되었다.       

김유림이 사용하는 푸른색은 다양하다. 코발트 블루(Cobalt Blue), 울트라 마린 블루(Uitramarine Blue), 그리고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는 작가가 즐겨 사용하는 안료 들인데 저마다 독특한 분위기를 보여준다. 가령 코발트 블루는 그에 있어 따뜻함과 차거움이 함께하는 느낌의 색이자 위로의 색으로 분류된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프러시안 블루는 차거움이 지배하는 색, 이른바 냉정함의 색이다. 그리고 군청색으로 불리우는 울트라 마린 블루는 차분하게 가라앉은 밤바다 같이 심연을 드러내는 색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렇듯 작가가 다루는 푸른색들은 다양한 시간대와 분위기를 나타내는 재료들이다. 작가는 이러한 푸른색의 색감으로 표현된 블루의 시간을 새벽녘으로 정했다. 동트기 직전의 숲은 여행중인 이방인들이 좀처럼 경험하기 어려운 시간이다. 어둠이 사라지고 산새와 풀벌래들이 잠에서 깨어나는 시간이자 자연에 생명현상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새벽을 헤치고 나온 여명이 대지를 밝히는 때가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블루의 시간이다. 

블루의 시간은 사려니 숲이라는 현실 공간에 흐르는 시간이다. 그것이 작가의 예술세계로 영입되면서 비현실이고 이상적인 공간으로 변모한다. 이른바 유토피아와 실제의 세계가 서로 얽혀 존재하는 헤테로토피아의 장소로 재설정되는 것이다. 캔버스 앞에 선 작가는 이러한 변이의 과정을 주도하며 자신의 조형 방식을 모방 이상의 기법으로 펼쳐 보인다. 이때 그의 그림을 지배하는 주된 조형 언어는 자유분방한 선묘다. 삶의 공간에 세워진 캔버스 앞에서 벌어지는 세밀하고도 거친 한바탕의 몸짓은 어느덧 앙상한 가지가 되고 나무둥치가 되며 그 사이를 흔들리는 이파리들을 탄생시킨다. 행위로 남겨진 푸른 선묘들은 작가가 펼쳐내는 삶과 그곳에서 얻은 온갖 상념의 흔적으로 표상된다. 작가가 행위를 하는 동안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세계가 환각처럼 펼쳐진다. 작가에게 사각의 캔버스는 벗어나고 싶지만 떠날 수 없는 현실이자 이상적 세계가 만나는 타협의 공간이며 기억을 소환하는 꿈의 장소로 다가온다.         

작가의 드로잉 방식을 가만히 살펴보면 선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크게 구분해 보자면 덧그리기와 스크래치의 방식이 순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감을 덧칠하는 방식과 얹혀진 물감을 긁어내는 방식의 차이점은 작가가 드러내는 숲 그림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형식의 변화에 따른 내용의 변화이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을 것이다. 분명한 것은 이러한 미묘한 형식 실험은 향후 작가의 숲 그림에 어떤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배경과 주제의 관계를 역전시키는 방식은 작가가 취하게 될 헤테로토피아의 세계에 대한 연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유림이 사용하는 고유한 색채와 선율 그리고 질감과 터치는 모더니스트들이 고수해 온 형식주의를 넘어서 있다. 그의 작품은 무의식과 같은 비가시적 세계를 드러내며 동시에 작가의 개인적 삶의 메시지를 함께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김유림의 작품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은 현대 지식사회의 특성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상대적이고 불확정적인 세계의 표상이기도 하다. 작가의 사려니 숲 풍경은 고독과 아름다움이 뒤섞인 세계이자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가 하나로 구현된 제3의 장소를 드러내고 있다. 그의 작품이 높게 평가될 수 있는 사연은 창작 의도의 진정성과 더불어 동시대성을 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2022.8
          







김유림, 사려니숲 no-3, 117x241, Oil on Canvas, 2014





김유림, 사려니숲_블루6, 91x195cm, Acrylic on canvas, 202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