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종만 / 생명력의 붓질화

박영택

이종만은 주변에 있는 생명체를 그린다. 자신의 생활 반경 내에서 눈길을 주면 걸려드는 자연, 생명체를 재현하는 것이다. 새와 꽃 들이 그것이다. 대부분 꽃을 그린다. 그런데 아름다운 꽃을 의도적으로 선택하고 배치해서 그린 것이 아니라 길가에 혹은 집주변이나 공터에 또는 들판에 거칠게 핀 것들을 그 상태 그대로 그렸다. 흔하게 널려있는 것들이고 매우 비근한 식물들이다.

이종만이 그린 대상은 자연계에 속하는 것들이지만 집주변이나 삶의 언저리에 버려지듯 놓여진 것들이라는 인상이며 조금은 시들고 처진 것들이자 소멸의 직전에 겨우 멈춰서있다는 느낌도 준다. 있는 힘껏 활짝 폈다가 ‘아쌀’하게 저버리는 꽃의 한 순간이 절정처럼 매달려 있는 것이다. 자연계의 모든 생명체는 시간과 죽음의 고비를 피할 수 없다. 작가는 그렇게 조금씩 빛이 바래고 시들고 말라가며 기어이 사라져 갈 생명체의 어느 한 순간을 기억하고 기념하듯 그렸다. 그가 보는 자연, 생명체는 그림에 익숙하게 등장하는 소재들이지만 그 대상들을 관습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아니고 그 외형 너머에 자리한 생명력을 가시화하고자 하는 의지 아래 포착된다.

절정에서 비껴나 쇠락하는, 소멸을 앞둔 존재의 아름다움이다. 생각해보면 생의 절정보다도 추락하는 것들이, 죽음을 향해 질주해나가는 것들이 보여주는 존엄성이 무척 감동적일 때가 있다. 그렇게 버텨온 지난 생의 날들을 추억하게 하고 힘껏 겪어낸 삶의 고뇌를 이제는 내려놓는, 의연하고 초탈적인 모습이 때로 경건함을 주는 것이다. 아주 하찮은 미물들의 생애도 그런 엄정한 생의 법칙과 과정을 예외없이 보여주며 사라진다. 그런 모습에서 인간들은 그와 동일한 한 생명체로서의 자신의 존재감을 비춰볼 것이다.

그가 그린 비둘기 역시 공해로 찌든 도시공간 안에서 바둥대며 몰려있는 모습이다. 그 모습은 아름답다기보다는 치열한 생존의 각축을, 목숨 달린 것들의 운명적인 생의 욕망을 다소 착잡하게 들여다보게 한다. 도시의 비둘기들은 고스란히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의 생의 모습을 반영한다. 차갑고 더러운 아스팔트와 보도위에서 쓰레기를 쪼아대며 검은 연기를 마시며 사는 비둘기들은 비좁은 공간에 머리를 박고 몰려다닌다. 작가는 그런 모습에서 생의 역동성을 또한 본다. 이렇듯 작가는 소소하고 익숙한 것들에서 묘한 아름다움 내지는 역동적인 생명력을 느낀 듯 하다. 그 같은 존재를 통해 새삼 살아 있다는 것, 산다는 것의 의미를 부단히 반추해보고자 하는 것 같다. 그리고 바로 그런 것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지독한 생명력, 생의 의지, 그리고 생동감 넘치는 존재의 눈물겨움!

작가는 그런 대상에서 접한 자신의 감동을 최대한 회화 언어로 극화하고자 했다. 칠했다기 보다는 날렸다는 느낌이 드는 이 붓질은 순수한 붓질의 응집이었다가 특정 대상을 연상시키기를 반복하면서 유동한다. 구상과 추상 사이에서 진동하는 붓질이자 대상에서 출발해 그로부터 최대한 달아나는 그런 그림이다. 구상과 추상표현주의가 섞이고 특정 대상의 묘사와 재현적 욕망을 순간 지우고 내적 감정을 밀어 올리려는 의욕이 중첩된 그림이다.

아니 재현한다기 보다는 그 대상에 대한 정서적 느낌을 잡아채려 한다. 분명 구체적인 대상의 재현이면서도 그로부터 조금은 튕겨져 나가 급박한 붓질과 색채를 지닌 물감의 질료들이 상당히 분방하고 뜨겁게 맥박 치는 유형의 그림이다. 추상표현주의적인 구상화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일정한 단위의 붓질들만이 속도, 시간을 달리하면서 평면 위를 긁어나가듯이, 문질러나가듯이 위치해있다. 결국 다채로운 색상들을 머금은 붓놀림이 구체적인 대상을 빌어 그 대상을 바라보는 화가 자신의 내면, 감동받은 것을 드러내려는 그런 그림일 것이다. 자연대상에 대한 경의적 시선을 보내고 색채가 화려하며 속도감 나는 붓질과 감정의 과잉들이 감촉된다. 인상주의적 구상화가 더 감정적으로 치우치면 재현적 윤곽이 뭉개지면서 그로부터 색채와 물감의 질료들이 빠져나와 유동하는 그런 상황성을 안기는 것이다.

나로서는 이 표현적인 붓질에서 다분히 동양화 모필의 운용을 연상한다. 서체적인 붓질이자 대상의 내면을 시각화하기 위해 추출한 선이고 생명을 지니고 있고 시간의 지배를 받는 대상의 존재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붓질이다. 이런 붓질의 인식은 주목되는 부분이다. 현재 이 작가의 작업은 붓질의 극화와 여전히 구상적인 대상의 묘사 사이에서 절충되다가 더러 어느 쪽으로 기울기도 하는 편차를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아울러 감정의 과잉이 붓질의 과도한 누출로 번지는 경우도 있다.

이종만의 그림은 생명체를 물감이라는 질척한 매체로 형상화한다. 작가의 그림은 특정 대상을 안겨주지만 동시에 물감의 상태를 보여준다. 질료성 자체가 그림의 내용을 만든다. 꽃이고 새이지만 결국 붓질이다. 회화는 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데 그 손은 몸과 분리될 수 없는 그런 손이다. 이종만의 그림 역시 선험적 질서에 의해 지배되는 눈이 아니라 욕망과 감정으로 뒤척이는 몸/손의 결과물인 것이다.

이종만의 그림은 자연대상의 재현이 아니라 그 안에 깃든 생명력을 붓질과 물감의 질료로 표현하고자 한다. 결국 눈에 보이는 외형 너머, 그 안에 잠복한 보이지 않는 ‘기운’을 어떻게 형상화 하느냐의 과제를 안고 가는 그림이다. 그래서 그는 붓질, 선으로 그것을 시각화하려 한다. 동양화가 선으로 이루어진 그림은 결국 생명현상을 포착하려는 시도에 따른 것이다. 어쩌면 이종만의 회화는 전통적인 동양화 붓질과 시선을 은연중 내재화해서 이를 체화한 결과일 수 있을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