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정옥 / 망진(望診)으로 본 자연

박영택

김정옥-망진(望診)으로 본 자연



김정옥의 눈은 남다르다. 눈 일까, 마음일까? 작가는 식물의 형상에서 인간의 모습을 본다. 추출해낸다. 인간과 자연은 동일한 생명체가 되었다. 서로 닮은 꼴이다. 눈에 보이는 대로 보고 그리는 게 아니라 이른바 망진(望診)이라 해서 연상과 상상을 통해 자신의 몸에 대한 느낌으로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눈이 아니라 ‘몸’이 관(觀)하는 것이다. 몸이 관한다는 것은 몸이 지닌 온갖 감각과 정신이 바라보는 대상과 조응하고 서로 유기적 연관을 맺는 일이다. 여기서 나의 몸과 자연, 대상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접목된다. 몸은 자연과 동일시된다. 식물의 잎맥과 핏줄은 겹쳐지고 내장기관과 온갖 꽃나무가 또한 섞인다. 작가는 말하기를 자연과 인간의 닮은 점이 유한하다는 것과 욕망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란다. 그렇게 유사한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그림이 된다. 작가는 해부된 몸속의 각 기관을 하나의 사물로 간주하여 자연물과 연결해 표현함으로써 인체와 자연의 모호한 경계를 형상화하고 또한 서로 공유하고 있는 유한한 삶과 생장 욕구,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유사성의 법칙이란 전통사회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닮은 꼴에 따른 이 유사성은 근대 이전 미술의 ‘에피스테메’였다. 그러한 인식은 인간과 자연계가 분리되거나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같은 속성을 지닌 것으로 보는 이른바 범신론적이고 정령신앙적인 측면이 녹아있다. 오늘날과 같은 시기에 그 같은 유사성의 시각으로 자연과 인간의 몸을 겹쳐 보는 작가의 의도가 흥미롭다. 그것은 탈근대적인 시각이자 동시에 우리 전통문화와 미의식에 깃든 세계관과 정신의 새로운 해석으로 가능한 일이다. 그에 덧붙여 단지 눈이 아니라 마음의 눈과 상상력을 동원해 자기 주변의 미미한 대상, 하찮다고 여기거나 너무 흔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그로부터 동일한 생명체의 속성과 의미를 헤아려 본다.
따라서 김정옥의 그림은 식물을 통해 인간의 몸을 바라보고 다시 인간의 몸에서 식물을 찾는 행위이자 이 두 존재 사이에서의 여정을 통해 자신과 관계하는 모든 것들을 성찰하고 그리고 자기 몸에 대한 기억들을 반추하고 고백하는 일이 된다.
우리 선인들은 동물성의 이 인간 육체를 중화하고자 하면서 늘상 식물성을 동경해왔다. 자연을 관하고 그로부터 생의 이치를 반복해서 일러 받았던 것이다. 인간 몸의 모태는 자연이고 모든 행동거지 역시 그 자연에 비추어 가다듬었다. 산수화와 사군자 역시 그러한 인식을 그림으로 표출한 예이다. 결과적으로 인간이 산이 되고 물이 되는가 하면 나무나 풀, 돌이 되고자 열망했던 이들이었다.
김정옥은 식물과의 유사성을 지니 몸을 그린다. 그것은 오랫동안 관찰하고 주의 깊게 들여다보는 일로 인해 가능하다. 부드럽게 유영하고 관능적으로, 열정적으로 꿈틀거리는 선들이 나무줄기와 잎맥, 풀과 사람의 핏줄, 내장기관을 그려나간다. 이 둘은 경계없이 서로 뒤섞여있다. 몸 안의 장기들이 자연풍경을 이룬다. 조금은 그로테스크하고 환상적이지만 무척이나 재미있는 발상이자 시각이다. 부드럽게 밀려올라오는 분채의 맛과 감각적인 선들이 뒤엉켜 화면전체를 진동시킨다. 나는 이러한 선의 맛이 더없이 좋다. 김정옥의 그림은 다른 어떤 것보다도 선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해 보인다. 오랜 시간 축적한 드로잉 솜씨가 식물성의 존재를, 그 무서운 생장력과 침묵과 부동으로도 온 지면을 덮어나가는 힘을 매력적으로 가시화한다. 그 위로 부드러운 건조감으로 스치고 적시는 채색은 선의 맛을 극대화 하는 이 작가만의 채색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